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학문의 길로 가고 싶은데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확장과 질적인 향상 등을 고려할 때 정부가 생각하는 15만명의 과학자수는 넘쳐
남아
나는 수자가 아니라고 본다. 과학자에 대한 수요는 그리 걱정할 일이 아니라고 본다. 문 순수히 학문생활을 한다 해도 보다 유망한 분야가 있을 수 있는지 알고 싶다. 특히 한국사회가 보다 필요로 하는 학문이 ... ...
각종 지원체계 강화 정비의 한해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1명을 제외한 5쌍동이가 예정보다 아주빠르게 제왕절개수술로 태어났다. 다섯쌍동이는
남아
2명 여아 3명으로 체중은 0.77kg에서 1.65kg였다. ■ 인공심장 이식수술 시도부천에 있는 세종병원은 4월 국내에서 처음으로 송아지에 인공심장이식수술을 시도했다. 10월26일 6차로 시도된 ... ...
황금과 불로장생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이루려던 노력의 흔적은 '동의보감'을 비롯한 이조시대의 의학서중에도 그다지 뚜렷하게
남아
있지 않다. 그 까닭은 한국 사상은 고대로부터 한국의 특산물인 인삼과 녹용을 가장 좋은 강장제로 믿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국인의 의약사상과 불로불사보다 현세와 미래의 평안을 희구하는 유교나 ... ...
세탁소관리를 자동화해보자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기록한다. 이 정보는 디스켓내에 "DELIVERY"라는 파일에 저장된다.●890~1080 : 배달이 안된채
남아
있는 세탁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그림2)에서 '4'를 선택한다.(그림4)에서 입력한 세탁물중 (그림9)에서 121번을 배달하였으므로 미배달 세탁물은 111, 131번으로써(그림11)과 같이 결과가 나타난다.●1190~1460 : .. ...
1천여점의 유물도 찾아냈어요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해저 3천6백m에서 인간의 뼈는 75년의 세월이 지나는 동안 칼슘이 분해되기 때문에 흔적이
남아
있기 어렵다고 생각했읍니다." -수심 3천6백m에서 물건들을 끌어 올리는데는 대단한 노력이 들었겠는데요. "그럼요. 물건들을 파손되지 않게 조심 조심 모으고 그것을 또 손상되지 않게 해상의 모선으로 ... ...
초능력의 세계를 본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받고 시판되고 있을 정도. 하지만 피라미드에 어떤 힘이 작용하는지는 불가사의로
남아
있고 과학적 규명이 안된 상태다. 유교수는 이 힘이 바로 '기'라고 주장하고 있다. 기는 에너지의 흐름이며, 한곳에 모인다는 것이다. 나아가 그는 자기장을 매개로 해서 '기'가 물질로 될 수 있으며, 반대로 ... ...
우리의 옛 선조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밝혀 졌다. 따라서 지구는 그 보다 더 오래 됐을 것이 틀림없다. 처음부터 손상되지 않고
남아
있는 운석들은 나이가 약45억년되었다고 보여지는데, 이것은 현재 지구와 태양계의 나이로 여겨지고 있다. 만약 여러분이 암석속에 파묻혀 있는 원인의 뼈를 발견한다면, 자연적으로 여러분은 암석의 ... ...
공부 잘하고 사무능률 올리려면 집중력을 높이자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있다. 한가지 공부나 작업을 그것이 끝나기 직전에 중단하면 공부 할때의 긴장상태가
남아
다음날 그것을 계속할 때 시간이 걸리지 않고 전날 수준을 곧 이어 해낼 수 있게 된다는 점이다. 즉 집중력의 '지속 테크닉'인 것이다.어떤 학생은 다음 날의 워밍업으로 오늘 풀던 문제를 조금만 남겼다. 어떤 ... ...
가장 중요한 화석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이 '도마뱀"은 깃털을 가졌던 것이다. 깃털의 흔적은 지금도 의심할 여지없이 생생히
남아
있다. 깃털은 꼬리끝까지 두 줄로 나 있으며 또 앞발(날개)에도 나 있다.오늘의 세계에서 알려진 모든 새는 깃털을 갖고 있으며, 또 새가 아닌 모든 생물에게는 그것이 없다. 따라서 이 화석은 대단히 오래 되고 ... ...
유병설/약학 약학은 생명체 다루는 종합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자기 학문을 존중하고 작은 진실을 소중히 여기는 학자였다. 그 인상은 뇌리에 생생히
남아
지금까지 나의 연구생활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우물안 개구리였던 나에게는 모든 것이 새로웠고 두번 다시 없는 기회였음은 말할 나위없는 일이다.밤낮도 없었다. 시간에 쫓기던 나머지 유독하기로 이름난 ... ...
이전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