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뉴스
"
초
"(으)로 총 5,586건 검색되었습니다.
하재주 원자력연구원장 돌연 사임…사퇴 이유 석연찮아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물러난다. 정부 출연연구기관을 총괄하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관계자는 “이달
초
원광연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과 하 원장이 만난 자리에서 퇴진 문제가 논의된 것 같다”며 “자진 사퇴인지 해임 성격인지는 확인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하 원장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 ...
中, 핵융합 잰걸음…상용화 관건 ‘플라스마 1억도’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18.11.13
중국은 EAST를 이용해 고성능 플라스마 운전 조건인 ‘H-모드’를 세계 최장시간인 101.2
초
간 연속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당시 플라스마의 온도도 4000만 도에 불과했다. 한국이 KSTAR로 72
초
기록을 세웠을 당시 온도(7000만 도)보다 훨씬 낮았다. 다만 중국이 미래 에너지 개발을 ... ...
미국 민간 소형발사체 기업 로켓랩, 상업발사 문 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2
‘판도’를 바꾸는 중이다. 로켓랩은 그 가운데에서도 선두주자였다. 지난 10월
초
독일 브레멘에서 개최된 ‘국제우주대회’에 참석했던 브래들리 슈나이더 로켓랩 부사장은 “전세계 소형발사체 기업 가운데 2020년까지 실제로 고객의 위성을 궤도에 올릴 수 있는 (상업발사 가능) 회사는 ... ...
11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박성수 SKT 부장·김재환 네오크레마 대표
동아사이언스
l
2018.11.12
상대방의 얼굴 외에 주변공간까지 공유하는 서비스다. 기존에는 상호 지연시간이 2~2.5
초
에 달해 사실상 실시간 영상 공유가 불가능하고 얼굴 정도를 보는 데 만족해야 했다. 박 부장은 지연시간을 0.8
초
이하로 단축해 스마트폰으로 매끄러운 통화와 영상 전송이 가능해졌다. 박 부장은 “어려운 ... ...
여성 과학자로 사는 건 ‘산넘어 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11
남자’라는 고정관념이 조금씩 깨지고 있는 증거입니다. (왼쪽부터 순서대로) 세계 최
초
의 프로그래머 에이다 러브레이스 - Alfred Edward Chalon(W) 제공 / ‘버그를 잡다’는 표현을 널리 알린 컴퓨터 과학자 그레이스 호퍼 - James S. Davis(W) 제공 / 할리우드 배우이자 와이파이에 쓰이는 기술을 만든 ... ...
깃털처럼 가볍고 튼튼한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1.10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그래핀’ 공기 방울을 3차원 구조체로 조립해
초
경량·고강성·
초
탄성을 갖는 탄소소재 합성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그래핀은 평면 형태의 탄소 덩어리로 튼튼해 미래형 첨단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새의 뼈는 겉은 튼튼하고 속이 비었지만 독특한 내부구조로 ... ...
'누가 잘 접나' 달아오르는 폴더블폰 경쟁
2018.11.10
로욜의 플렉스파이. 로욜 제공 휴대전화 두 대를 겹친 ZTE의 액손 M 올해
초
중국의 ZTE가 출시한 액손 M은 휴대폰 두 대를 겹쳐놓은 듯한 폴더블폰입니다. 퀄컴 스냅드래곤 821프로세서를 탑재했으며 5.2인치의 화면 두 개를 결합해 2160×1920의 6.75인치 패널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액손 M은 ... ...
6개국 과학자 "중성미자 검출기로 비핵화 검증 가능"(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8.11.09
미국 버지니아공대 교수가 처음 제안하고 레이철 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원이
초
안을 썼으며, 한국과 중국 등의 연구자들은 의견을 보태는 형식으로 공동 기고문에 참여했다 ... ...
세포 한 개속 원자 하나 움직임까지 예측…슈퍼컴5호기 ‘누리온’
동아사이언스
l
2018.11.07
65편을 발표해 한국 계산화학 수준을 높인 김광수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 한국 최
초
의 슈퍼컴퓨터 도입을 이끈 성기수 전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이사장, 5호기 도입을 주도한 KISTI의 홍태영 선임연구원과 강지훈 책임연구원, 고동건 책임기술원 등 5명이 과기정통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 ...
“발달장애는 조기 진단이 중요… 뇌기능 일부 개선할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18.11.05
등 환자의 시료와 임상자료를 모으는 게 가장 시급하다. 현재 분당서울대병원과 KAIST, 기
초
과학연구원(IBS) 등이 순천향대부천병원 등과 함께 동의를 얻은 환자 혈액 시료를 확보하고 있다. 5000명의 시료를 모으는 게 목표지만, 아직은 연구 참여에 대한 거부감으로 1000여 명을 확보하는 데 그치는 등 ... ...
이전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