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288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의 보석’ 흑진주 대량생산 가능해졌다
2015.12.16
흑진주를 국내 기술로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됐다”며 “흑진주의 색깔을 자유자재로
조절
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수확률을 높이는 방안도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열대에서 자라는 흑진주조개는 국내에서 발견되지 않는 종인 만큼 열대 생물자원을 확보해 연구 개발 및 산업 ... ...
[한파, 무섭지 않아요 ② : 보온력 측정의 비밀] 인간 대신할 ‘서멀마네킹’이라 전해라~
2015.12.16
실험용 챔버도 중요하다. 이 챔버는 마네킹이 서 있는 주변 환경의 온도, 습도를
조절
하기 위한 공간이다. 한쪽에 설치된 살수 장치로 비가 내리는 상황을 만들 수 있다. 의류의 보온력을 측정하는 일반 실험은 온도 21도, 습도 50% 정도의 조건에서 진행한다. 방한 의류라면 챔버를 영하로 만든 뒤 ... ...
‘털복숭이’를 ‘민둥 몸’으로 바꾸는 이것
2015.12.13
털이 없다. 초파리 세포 안에서 물질을 수송하는 ‘택배 상자’인 엔도솜(endosome)을
조절
하면 털을 만드는 줄기세포의 운명이 바뀌어 이런 ‘민둥 초파리’가 탄생한다. 엔도솜이 다르게 배달 돼 세포 내 물질이 다르게 분배되고 세포질이 균일하지 않게 나뉘는 바람에 세포가 분열할 때 두 ... ...
[우먼 동아일보 & 여성동아] 캘리포니아 호두 농장을 가다! FARM TO TABLE
동아닷컴
l
2015.12.11
또한 호두에 다량 함유된 불포화지방산은 당뇨 환자들의 체중 관리 및 인슐린 수치
조절
에, 알파리놀렌산은 뼈 건강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보고도 있다. 캘리포니아 호두협회 공인 영양사이자 컨설턴트 케롤 베르그 슬로안 씨는 “호두를 섭취한 남성의 정자가 그렇지 않은 남성의 정자보다 훨씬 ... ...
작은 칩으로 세포 분화
조절
했더니
2015.12.10
1월호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연구팀은 바이오칩으로 세포의 분화 환경을 미세하게
조절
하는 방식으로 세포 신호전달경로에 대한 수학적 모델을 제시할 수 있었다. - 서울대 제공 ... ...
현대차의 자존심 글로벌 名車 시동
동아일보
l
2015.12.10
앞차와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속도와 차선을 유지시켜 주고 도로 제한속도에 맞춰 속도를
조절
하는 ‘고속도로 주행지원 시스템(HDA)’, 차로를 변경할 때 사각지대 차량과의 추돌 위험상황이 감지되면 차선을 벗어나지 않도록 해주는 ‘후측방 충돌회피 지원 시스템’이 국산차 최초로 적용됐다. EQ9 ... ...
에너지 발전소 ‘미토콘드리아’ 눈으로 보니
2015.12.09
세포 내 기관인 미토콘드리아의 모습. - 위키피디아 제공 우리 몸은 세포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관인 ‘미토콘드리아’이 손상을 입거나 수명이 다한 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미토파지’라고 부르는 이 과정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으면 파킨슨 등 퇴행성 신경질환이 발생한다고 알려 ... ...
[Health&Beauty]난청 정도와 신경손상에 따라 보청기 기능 달라져야
동아일보
l
2015.12.09
등을 종합해 개인의 난청 유형을 제대로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또 처방된 보청기를
조절
하고 효과를 제대로 검사할 수 있는 청각사와 개인별 소리환경과 본인의 청취 요구사항 등을 분석하고 착용 후 추적관찰 및 교육하는 상담사가 필요하다. 즉 전문의와 청각사, 상담사의 팀워크를 통한 관리가 ... ...
살 빼고 싶다면 그저 추울 때 돌아다녀라
2015.12.08
연구를 진행한 미르코 트라이코프스키 연구원은 “환경에 적응해 에너지 균형을
조절
하는 데 장내 미생물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리는 직접적인 증거”라고 설명했다. ... ...
노화치료시대 열린다
2015.12.07
노화속도가 빠르다는 것. 잡아먹힐 가능성이 큰 쥐의 게놈에 생리반응을 정교하게
조절
하는 시스템을 갖춰봤자 1회용 컵에 금테를 두르는 셈이기 때문이다. 빨리 자라 한꺼번에 새끼를 많이 낳는 게 더 유리한 전략이다. 반면 코끼리처럼 새끼 때만 잘 넘기면 잡아먹힐 가능성이 거의 없는 동물은 ... ...
이전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