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d라이브러리
"
직접
"(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의사도 모르는 의학이야기4 - 세월호 트라우마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전혀 맞지 않았어요. 주민들은 끔찍한 내전을 겪으며 ‘전쟁’ 이나 ‘폭력’처럼
직접
적인 단어를 입에 올리지 않고 ‘나쁜 일’ 정도 로 돌려서 표현해왔어요. 상처를 조장하거나 고통에 빠지는 것을 막으려는 노력이었지요. 하지만 미국인 치료사가 권장한 직설화 법은 오히려 현지인들에게 ... ...
[과학출판사를 만나다 1] 사이언스북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말한다.한양대 기초융합교육원과 함께 여는 ‘민음사 융합독서 아카데미’는 독자와
직접
만나 책에 담겨 있는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행사다. 5월 28일에는 사이언스북스의 대표작인 ‘오래된 연장통’의 저자 전중환 경희대 교수를 초청해 독자와 책에 대해 이야기할 예정이다 ... ...
화성 동토층에도 미생물이 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아주 비슷한 암석이었다. 이전에도 화성에는 물이 흘렀다는 증거는 많았지만, 이렇게
직접
적으로 물이 흐른 강 바닥의 자갈과 바위를 발견한 것은 처음이었다. 큐리오시티의 놀라운 발견은 다시 우리에게 희망을 줬다. 우리와 같은 고등생명체는 아니더라도 미생물 혹은 단세포 생물은 여전히 ... ...
구름 형성 원인 밝혔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구름의 형성 과정이 새롭게 밝혀졌다. 미국 카네기멜론대 연구팀 등으로 구성된 ‘CLOUD’ 프로젝트 팀은 구름이 만들어지는 초기에 산화 유기 ... 도나휴 교수는 “구름 입자가 만들어지는 초기 과정에 황뿐만 아니라 산화 유기물이
직접
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힌 첫 결과”라고 말했다. ... ...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자신의 이야기를 더 재미있고 정교하게 들려주고, 반복해주자. 매일매일의 이야기를
직접
말하도록 해주고, 이를 보다 짜임새 있게 재구성해주자. 그리고 즐거웠던 일들을 자주 반복해서 함께 이야기해보자. 나중에 어른이 되어서도 아이는 즐겁고 행복한 유년기의 기억을 보다 더 많이, 오랫동안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큰 즐거움이었다. 마침 충남 서천 국립생태원에서 드라마 대장금에 나왔던 야생화를
직접
만져보고 관련된 궁중요리도 맛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마련했다.드라마 ‘대장금’에는 야생화 200여 종이 등장합니 다. 우리 산과 들에서 자라는 투박한 야생화가 의 녀 장금의 손에서 사람을 살리는 ... ...
우리 학과 뭘 배우지?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지식은 기본이지.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잘 한다면 엄청난 장점을 가진 셈이기도 해.BEST
직접
와 닿는 학문!다루는 분야가 우리에게 무척 친숙한 ‘식품’이기 때문에 배우는 것이 어디에사용되는지 바로바로 체감할 수 있어! 식품포장지에 있는 성분표를 보고 우리 몸에 해로운 물질이 들어있지는 ... ...
에너지드림센터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서울 월드컵공원 안에 있는 평화의 공원에는 아주 독특하게 생긴 건물이 있어요. 바람개비처럼 날렵하고 역동적으로 생긴 이 건물은 ... 각각 다른 모양으로 생긴 풍차를 바람으로 돌려 보면서 에너지량을 비교할 수 있지요.
직접
체험해 보면 신재생에너지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답니다 ... ...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시렵니까? 게임의 법칙, 수학으로 만든다!
수학동아
l
2014년 05호
필요하겠죠? 하하. 페리아 연대기의 경우에도 기존의 게임 엔진을 사용하지 않았어요.
직접
개발했죠.게임 개발자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한 마디 해 주세요.솔직하게 말하면 게임을 전혀 안 해도 게임 개발자는 될 수 있어요. 그런데 게임만 하면 게임을 절대 못 만들어요.사실 게임 개발자에게 가장 ... ...
PART2. 일본까지 화산재 날려보낸 젊은 화산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화산재를 기반으로 한 연구가 있었으며, 1980년대 이후에는 일본 학자들이 울릉도로
직접
들어와 연구하기도 했다.우리나라 과학자들이 울릉도 연구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것은 2000년대 이후다. 필자와 연구진은 여러 차례 울릉도를 방문해 나리분지 안에 일본 학자들이 찾지 못한, 60m 두께의 새로운 ... ...
이전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