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신"(으)로 총 9,42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힉스 입자가 질량을 준다는 말은 잘못”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질량을 가질 수 있을지는 해결되지 않았다. 이제 입자가 질량을 가지는 과정을 살펴보자.자신이 표준모형을 처음 만든 사람이라고 가정하고 새로운 모형을 만들어 본다고 생각해 보자. 우선 앞서 든 예에서 ‘자석의 스핀’ 역할을 하는 입자 네 개를 도입한다. 왜 하필 네 개냐 하면, 여러 ...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문제 정답을 모르는 사람이 지켜보자 한스의 수학 실력이 들통났다. 사실 폰 오스텐 역시 자신이 무의식적으로 신호를 보내고 있다는 사실을 몰랐을 뿐이다.말과 사람, 차이점과 공통점영장류인 사람과 유제류(발굽이 있는 동물)인 말은 포유동물이라는 것만 빼면 공통점이 없는 것 같다. 특히 ... ...
- 아인슈타인이 사랑한 냉장고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선전했다. 결국 한 대기업의 눈에 들어 미국 전체에 팔 수 있게 됐는데, 촌스럽게 생긴 자신의 외모를 선전에 이용해 오히려 톡톡한 인기를 끌었다.이 책에는 이런 소소한, 하지만 없는 생활을 상상하기 힘든 일상의 발명품 이야기가 가득하다.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오늘날 여성들에게는 너무나 ... ...
- 엔지니어의 이유 있는 자부심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엔지니어들은 충분한 자부심을 가져야 한다. 2006~7년에 느낀 중국 칭화대 공대 학생들의 자신감과 일본 도쿄대 공대 학생들의 자부심에 필자는 무척 놀랐다. 좋은 전자기기를 남들보다 잘 사용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보단 남들보다 좋은 전자기기를 계속해서 만들어 낼 수 있어야 한다. 현재 공대를 ... ...
- 동아리 활동으로 리더십, 학습, 봉사까지 OK!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이렇다. 일단 활동하면서 써둔 보고서의 제목을 컴퓨터 화면에 띄워 놓고 그 중에 뭔가 자신의 이야기를 쓸 수 있는 것을 생각한 후 자기소개서의 질문과 연결해 썼다. 어렸을 때 아버지께 혼난 이야기도 솔직히 썼다. 이를 통해 인성교육을 확실하게 받았다는 걸 드러냈다고 한다. 추천서는 3년 동안 ... ...
- 엘리베이터 안전요원 ‘니안 내리나’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8호
- 답을 맞히기 바랍니다.”“으악! 내가 가장 싫어하는 수학 문제! 덧셈 뺄셈 문제라면 자신 있는데….”문제의 답이 무엇일까? 썰렁홈즈가 답을 맞히도록 도와 주자.문제 1숫자를 잘 보고 물음표에 들어갈 사칙연산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사칙연산 +, -, ×, ÷는 단 한 번씩만 들어간다. 99층,도형 ... ...
- Part 2. 감기약 먹었는데 왜 변비가 올까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자주 찾는 약의 성분과 그 성분이 우리 몸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고 있다면 좀 더 자신에게 맞는 약을 고를 수 있을 것이다.감기약 먹고 변비에 걸렸다?감기에 걸릴 때마다 약을 찾는 사람이라면 한 가지 실험을 해 보자. 다음에 감기에 걸리면 약을 먹지 않아보는 것이다. 아마 감기가 낫는데 ... ...
- 잡생각 많은 당신, 걱정하지 마세요!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없다면 말 그대로 ‘내가 잘났다’는 뜻으로 해석할 것이다. 그러나 상대방의 마음에 자신의 관점을 투영하면 ‘꼴도 보기 싫다’라는 진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런 자기투영 능력이 없다면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할 수 없다는 건 너무 당연한 이야기 아닌가.그런데 이런 자기투영에 관여하는 뇌 ... ...
- 피부는 장식이 아니야과학동아 l2012년 07호
- 부제가 붙어 있다. 진지하게 연구되지 않던 피부의 모든 것을 다루고 있다는 자신감이 느껴진다. 반면 우리말 제목은 사회적, 정치적 ‘구별짓기’와 차별의 상징인 피부색을 다른 특징들보다 더 전면에 내세웠다. 차별은 민감한 주제다. 그래서 출간되자마자 많은 독자들이 책에 관심을 보였고, ... ...
- 눈으로 보는 뇌의 목소리과학동아 l2012년 07호
- 라는 장치를 이용해서 지구 자기장의 10억분의 1 크기의 자기장을 측정하는데 성공했고, 자신의 뇌에서 측정한 뇌자도 신호로 ‘사이언스’의 표지를 장식했다. 최근에는 뇌파, 뇌자도와 fMRI를 결합한 ‘멀티모달 신경영상’이라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fMRI는 현재 가장 정밀하게 뇌 활동을 ... ...
이전3583593603613623633643653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