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그라미
원형
대양
원양
서클
화성
일치
d라이브러리
"
원
"(으)로 총 4,985건 검색되었습니다.
1. 비눗방울 표면에 붙어있는 은하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분광학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케크(Keck) 망
원
경과 같은 구경 10m급 망
원
경이 필요하다. 그러나 다행히도 여러 파장에서의 밝기를 측정하는 측광학적 방법으로도 어두운 은하의 적색이동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허블딥필드에서 비교적 밝은 은하수백 개에 대해 필자의 연구진이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그 만큼 부력이 작아진 잠수부는 가라앉는다. 하지만 손을 넣으면 잠수부속의 공기가
원
상태로 되면서 부피가 커지므로 떠오른다.만든 후 오랫동안 놔두면 물 속에 기포가 생기면서 잠수부가 오르락 내리락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는 병 뚜껑을 열어 기포가 나가도록 하면 된다. 페트병 ... ...
화폐에 등장하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정치적인 요소가 더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반면 우리나라 최고액인 1만
원
권에 등장하는 세종대왕은 오히려 정치가가 과학 발전에 기여해서 고액권에 등장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세종대왕은 한글, 자격루 등의 과학적인 업적을 남겼다.시대에 따라 바뀌는 존경받는 인물과학자 ... ...
별똥별을 온몸으로 맞은 21세기 어린왕자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있으면서 집에 발길을 들여놓지 않자 불시에 아버님이 천문대로 오셨던 일. 이 때 망
원
경에 빠져있는 이교수의 모습이 어떤 결과를 낳았는지는 쉽게 짐작할 수 있다.자신을 필요로 하는 곳 하나면 족해천문학 이외에 다른 것은 한번도 생각해보지 않았다는 이영욱 교수. 그런 그에게도 어려움은 ... ...
완성의 미 추구하는 컴퓨터 의사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의학박사 출신으로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을 개발한 특이한 경력의 소유자. 너무 신중해 돌다리를 두드려보고도 건너지 않을 거라고 평가를 받는 사람. 바둑을 배우 ... 그를 훌륭하다고 평가해도 자만하지 않고 중심을 갖고 정상의 길을 유지할 수 있는 가장 평범한
원
칙이 아닌가 싶다 ... ...
프톨레마이오스와 주전
원
이론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밤하늘에 그려지는 화성의 움직임을 잘 예측할 수 있다.프톨레마이오스가 확립한 주전
원
모델은 지구가 우주의 중심에 있다는 틀린 가정에서 출발했지만,당시의 관점에서 풀기 어려웠던 행성의 불규칙한 운동을 잘표현하고 예측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로서는 의미가 있었다.생각해보기 지구 자전의 ... ...
1. 태양계의 행성에 다다른 우주선들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백50kg짜리 역추진 로켓을 15분 동안 분사해
원
지점 1만1천7백km, 근지점 1천3백50km의 화성 타
원
궤도 진입에 성공함으로써 인류가 다른 행성에 처음으로 만든 ‘인공 달’이 됐다. 마리너 9호는 화성 전체 표면의 70%를 6천장의 사진으로 찍어 지구로 보내주었다. 특히 마리너 9호는 화성이 갖고 있는 두 ... ...
전세계 정보감시망 에셜론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못하면 감청 자체가 이루어지기 힘들기 때문이다.하지만 보안전문업체 스파이존의 이
원
업 부장은 “디지털 휴대폰의 경우 도감청이 불가능하다고 하는데, 외국은 이미 휴대폰 암호해독기가 활용되고 있을 정도로 암호해독기술이 뛰어나다. 우리나라도 국가적인 정보전을 위해 암호해독기를 활용한 ... ...
남십자성과 에타카리나 성운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겨울 밤하늘이 지고 난 북반구의 봄 밤하늘은 습도를 머금은 대기와 때맞춰 불어온 황사로 황량하기만 하다.그러나 이즈음 남반구의 밤하늘은 오리온과 시리우스 아래 ... 보이기 시작한다.그러나 서서히 동이 트며 별들이 사라지고 아쉬움 속에 카메라와 망
원
경을 닫고 잠자리에 들었다 ... ...
한국은 복제동물 최강국?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보급하기 이전에 소수의 몇마리를 대상으로 충분한 안전성 검증을 시행해야 하지 않을까.
원
래 소는 생후 18개월에 이르면 시장에 출하되기 시작한다. 어쩌면 2년 후 식탁에서 복제 쇠고기를 접할지도 모른다. ‘가축복제연구센터’의 출범과 함께 복제동물의 안전성을 검증하고 이를 국민에게 ... ...
이전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