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을 공격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아무것도 모릅니다.일본에서 들어온 사이비 과학은 서점의 ‘건강’ 코너에서 특히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최근 유행한 나구모 요시노리 박사의 ‘1일 1식’도 한 예입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5월호 ‘최신유행 다이어트 정말 폭풍감량 해줄까?’를 참고하시면 됩니다.마지막으로 변명 비슷하게 한마디 ... ...
젤라틴이 만드는 쫀득함의 비밀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인 더 키친’ 연구원들은 기발한 아이디어를 주었어요. 아이스크림 믹스가 담긴
볼
을 얼음 대야에 얹는 대신 초저온(영하 약 176℃)인 액체질소를 직접 붓는 거예요. 액체질소를 붓자마자 빠르게 저어주면 5분 안에 아이스크림이 완성된답니다. 액체질소를 이용하면 구슬 아이스크림도 만들 수 ... ...
내 LTE만 느린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가시광선에 이르는 다양한 파장의 레이저는 무선이동통신의 ‘광대역폭’에 비유해
볼
수 있다.만약 1Tbps로도 모자란다면 광섬유를 한 가닥 더 쓰면 된다. 이 교수는 “유선 통신 기술은 이미 정점에 이르렀으며, 무선이동통신이 이를 따라잡으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가정에서 쓰는 ... ...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수학하는 동물들이 나타났다!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모두 공중에 떠 있다가 다시 앞발 두 개가 한꺼번에 착지하는 형태의 걸음걸이도 생각해
볼
수 있다.이언 스튜어트는 과연 이런 걸음걸이가 있을지 찾아보았다. 그리고 놀랍게도 카우보이 게임에서 야생마가 카우보이를 떨어트리기 위해 날뛰는 동작이 자신이 예측한 패턴과 똑같다는 것을 알아냈다 ... ...
홈스테이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있을 것 같았다. 그 갑작스러운 침묵이 무안했기 때문이었다.‘지금이 몇 시인지나 물어
볼
걸 그랬네.’몇 시간이나 지났을까. 한참 뒤에 다시 희나에게서 전화가 걸려왔다.“어제 그 소리 들은 게 몇 시쯤이야?”“나야 모르지.”“하긴. 됐고, 어느 방향이었어?”“공장에서 항구 쪽.”“그렇군. ... ...
보이지 않는 위험에서 살아남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7호
비법자, 그럼 유해화학물질 현장에서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할 살아남기 비법을 알아
볼
까? 서두르지 않으 면 체내에 산소가 부족해지고 피부가 손상되는 등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도 있어!신선한 공기 마시기독성 기체를 흡입했을 때는 빨리 신선한 공기를 마셔야 한다. 체내에 독성을 빨리 내보내야 ... ...
세상 모든 입체도형의 전개도를 그릴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중복된 것 있음), 그 밖에 다면체 53개를 분류하여 모두 119개의 다면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했다.그런데 웨인저가 새로 정의한 다면체는 일반 사람들은 물론, 수학자들조차 전개도를 찾기가 매우 어려웠다. 그래서 웨인저는 컴퓨터 프로그램 개발자의 도움을 받아, 누구나 다면체의 전개도와 그 ... ...
[life & Tech] 42° 고개를 들면 무지개가 보인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차를 안개로 향하게 하고 헤드라이트를 켜 보자. 만약 운이 좋으면 안개무지개를
볼
수 있다.앞으로는 무지개를 찾고 싶은 충동을 그냥 지나치지 못할 것이다. 무지개가 언제 나올지 우리 모두는 생각보다 뛰어난 직관을 갖고 있다. 그 느낌을 믿어보자. 습기가 가득한 날, 해와 머리를 잇는 가상의 ... ...
24시간 태양이 빛나는 북극 다산기지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주관하고 있답니다.다산기지에서는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는데요, 한번 알아
볼
까요?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인 이산화탄소는 순환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참 중요해요. 다산기지에서는 자동기상측정시스템 및 미기상극지연구소플럭스 측정시스템을 설치해 해양과 대기의 이산화탄소 교환을 연구하고 ... ...
영화 한 편을 5초 만에 총알 전송?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편하게 고화질 동영상을
볼
수 있어요. 하지만 막상 동영상을 내려 받으려면 시간이 많이 걸리거나 배터리가 빠르게 줄어드는 불편함이 있지요.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소형 칩이 새로 등장했답니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지능형RF연구센터 박철순 교수팀은 무선랜보다 5 ... ...
이전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