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제1회 한국과학대상 수상자 김진의 교수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출현시키는데 따라 나타난 질량분포의 불균등성은 이제까지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이 문제에 대해 김교수는 하나의 가능성을 조심스레 제시하고 있다. "뉴트리노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별 1조개가 모인 우리 은하와 같은 규모는 설명하지 못했지요. 그러나 아주 ... ...
PART3 위성체 2천년대 초에는 통신위성을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실질적으로 영구적인 수명을 갖는다. 그래서 이들 우주의 쓰레기 제거가 커다란 과제로
남아
있다. 1주일에서 1백만년까지의 수명 인공위성은 그 임무에 따라서 기상위성 지상관측위성 통신방송위성 항법위성 군사첩보위성 조기경계위성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 외에 우주공간 실험용 각종 ... ...
블랙홀은 결코 괴물이 아니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하는 존재가 되었다. 천체물리학 세계의 괴물과도 같은 블랙홀이 수수께끼로
남아
있는 퀘이사를 설명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한 것처럼 보이는 것도 앞의 예와 무언가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다. 나는 21세기의 천체물리학도 결국은 마찬가지라 생각한다. 일반상대론, 입자물리학과 같은 물리학은 ... ...
지구의 신비를 파헤치는 즐거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TV 뉴스에서도 우리의 남극기지 건설에 필요한 자재를 가득 실은 3만4천t급 남극개척호가
남아
메리카 남단에 있는 칠레의 발파라이소항구에서 남극행 최종점검을 하고 있으며 곧 현지로 출발할 것이라는 소식을 전해주었다. 기지는 킹 조지섬 바톤반도의 남위 62˚13′15″ 서경 58˚45′10″ 지점에 ... ...
우리 고유의 한선(韓船) 황포 돛단배가 복원된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신라시대에 이런 해상활동은 정점에 달해 장보고는 동지나 해상권을 장악했다.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이 당시의 세력이 인도네시아의 자바지방에까지 미쳤다는 주장도 있다. 아뭏든 분명한 것은 활발한 해상활동의 근저엔 우수한 조선술과 선박이 있었다는 점이다. 신라시대의 선형(船型)은 ... ...
미생물학은 생명과학의 총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있으며 분해가 어려운 물질을 분해시킬 수 있는 새로운 균주의 개발도 연구과제로
남아
있다. 이런 분야외에도 근자에 와서 주목받기 시작한 유전공학 또는 생명공학이라는 기술이 젊은 학도들에게 무한한 가능성을 주는 분야로 대두되고 있다. 생명공학의 다섯 분야 생명공학에는 다섯가지 ... ...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거의 비번식집단(번식하지 않은 무리)이며, 붉은부리갈매기도 적은 무리나마 그곳에
남아
있는 비번식집단들이있다. 무지개등과 장자등에서 16종 1천1 백여개체와 17종 1천1백여개체가 각기 관찰되었으며 무지개등 북쪽 (대마등과의 사이)에서 12종 4백80 개체와 갈매기등에서 15종 4백50개체가, 또한 ... ...
책의 혁명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그리고나서 그 결과물은 구워져서 일종의 인조석으로 만들어졌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남아
있는 서사시는 '길가메쉬'로 그러한 형태를 띠고 있다. 딱딱한 표현 위에 글을 쓰는 다른 형태들은(밀랍이 칠해진 판 위에 날카로운 도구로, 석판 조각위에 석필로) 유용할 지도 모른다. 그러나 책의 ... ...
은행잎 수출, 논쟁의 내막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제약회사측이 국산은행잎의 전국총생산량을 다 소화하지 못하고 있는데, 굳이
남아
돌아가는 은행잎의 수출을 금지할 필요가 있으냐는 반론을 펴고 있다. 이처럼 은행잎의 수출을 둘러싼 다툼이 6년째 끌어오자 관계당국에서 이 문제를 깊이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은행나무잎전쟁'으로까지 ... ...
정지위성발사에 성공한 중공의 우주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사상최초로 인공위성 스푸트니크1호를 쏘았을때의 충격은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에
남아
있지만, 묵묵히 이것을 보고 어떤 결심을 한 사나이가 중국에 하나 있었다. 그의 이름은 모택동. '우리도 이것을 우리의 힘으로 만들어 띄워야겠다'하고 그는 1958년 행동을 개시했다. 그는 1958년에 ... ...
이전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