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0,423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엇이든 바꿔 주는 함수
수학동아
l
201004
영어로 vertical axis라고 한다. 축과 축이 만나는 원점은 영어로 origin이다. origin은 ‘
시작
’, ‘탄생’, ‘근원’을 뜻하는 라틴어 origo(오리고)에서 유래했다.x값과 y값을 보기 좋게 표현하는 방법으로 순서쌍이 있다. 순서쌍은 (x, y)와 같이 괄호 안에 x값과 y값을 순서대로 적어 넣는 방법이다. 순서쌍은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04
방법을 찾기
시작
했다. 1990년대 중반부터 NASA는 천문학 논문 검색시스템을 구축하기
시작
했다. 당시에는 미국에서 발간되는 논문만 등록돼 있었다.천문학 선진국과 협력하는 유일한 기회라고 여긴 이 교수는 NASA 담당자에게 연락해 국내에서 발간된 영문학술지를 등록했다. 거대 망원경이 전무한 ... ...
스티브 맥커리의 ‘진실의 순간’
과학동아
l
201004
여름이 지나면 건조하고 추운 겨울(10월~이듬해 2월)이 오기 전에 장마(6월~9월)가
시작
된다. 바로 몬순 때문이다. 아라비아 해에서 발생한 수증기의 흐름이 인도양과 벵골 만으로 들어오는 남서해양풍의 영향으로 장마를 내린다. 벵골 만 주변에서는 특이한 열대성 저기압이 발생해 매년 그 지역을 ... ...
GMO는 인류 식량 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004
가져야 할 도덕상의 권리”라는 철학으로 무상에 가까운 공급을 주장했다. 소노라에서
시작
된 생산량 증대는 벼를 비롯한 다른 작물에까지 적용되면서 인류 상당수를 먹을거리 고민에서 해방시켰다. 이것이 세계 식량 문제를 거론할 때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 지목되는 ‘녹색혁명’이다. 볼로그 ... ...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창의적 연구성과 즐기러 오세요!”
과학동아
l
201004
어떤 지원을 받게 되나요?현 : 1997년 처음 27개 연구단이 선정되면서 창의연구사업이
시작
됐습니다. 지난해까지 모두 115개 연구단이 지정됐고 현재 47개 연구단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연구단에 선정되면 최대 9년 동안 매년 7억 원 내외의 연구비를 지원받습니다. 이 정도면 독창적인 연구를 해볼 ... ...
제9회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과학동아
l
201004
제9회를 맞는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가 3월 26일부터 접수를
시작
했다. 전국의 초·중·고등학생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대회는 과학논술과 과학독후감 2개 부문이 진행된다. 과학논술은 지정된 논제(홈페이지 참조)에 맞게 작성하고 과학독후감은 지정도서를 읽고 작성하면 된다. ... ...
전자의 또 다른 얼굴 ‘스핀’으로 정보 쌓는다
과학동아
l
201004
갖춰지지 않고, 연구비도 부족한 상황에서 실험을 계속하기가 어려웠다. “그때부터
시작
한 게 컴퓨터 시뮬레이션이었어요. 당시엔 장비가 부족해서였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기초 학문을 기반으로 아이디어를 강화시킨 게 빛을 본 것 같아요.” 김 교수는 열악한 연구 환경이 오히려 전화위복의 ... ...
창의적인 발명가 되는 비결
과학동아
l
201004
하지 말아야 한다. 모든 발명은 ‘더 편리하게 바꿀 수는 없을까’ 하는 생각에서
시작
한다.예를 들어 어머니들이 설거지하는 모습을 보면서 ‘설거지가 필요 없는 그릇’을, 신발주머니에 모래가 남는 모습을 보면서 ‘모래가 쌓이지 않는 신발주머니’를 생각할 수 있다. 또 비빔밥을 먹을 때 ... ...
진화론을 컴퓨팅에 접목하다
과학동아
l
201004
접했다. 교수가 된 뒤 박사과정 제자가 유전자 프로그래밍에 관심을 보여 함께 연구를
시작
한 게 구조복잡도 연구의 시발점이 됐다.다빈치적 사고가 필요그가 이끌고 있는 구조복잡도연구실은 인도와 베트남에서 온 연구원들이 국내 연구진과 호흡을 맞추고 있다. 미국, 유럽, 호주 등지에서 ... ...
지금은 사라진 그때 그 동물들
과학동아
l
201004
그들은 퉁실퉁실 살이 찐 모아새를 잡아먹기
시작
했다. 모아새의 개체 수가 점차 줄기
시작
해 14세기에 멸종돼 버렸다.2005년 모아새가 멸종된 이유는 성숙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알려졌다. 영국과 뉴질랜드의 동물학자들은 모아새 다리뼈에 있는 성장고리를 분석했다. ... ...
이전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