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4,59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03
혼돈의 발견은 아마도 빙산의 일각에 불과할 지 모른다. 그러나 컴퓨터 기술에 힘입어 20
세기
과학이 거둔 실로 위대한 승리임에는 틀림없다.혼돈의 발견으로 혼돈과학이 등장했다. 혼돈과학이 시작되는 곳에서 고전물리학은 종지부를 찍는다. 미국의 물리학자인 조셉 포드는 혼돈과학을 20
세기
... ...
나쁜것, 좋은것, 혹은 양쪽 모두?
과학동아
l
199403
녹색의 잎을 달고 있고 역시 적보랏빛 꽃이 핀다.(시막이 옳았던 것일까?) 칡은 19
세기
에 일본 주재 미국 영사였던 토마스 호그가 미국으로 가지고 왔다. 1876년 필라델이피아 1백주년 기념행사에서 이 식물이 처음 소개되었고 플로리다주의 농부였던 플리스에 의해 널리 퍼졌다.가축들은 칡을 ... ...
세계 각국의 진기한 연
과학동아
l
199402
있는데, 연에 관심과 흥미를 갖고 연을 적극 이용한 역사는 그리 오래지 않는 듯 싶다.15
세기
동양과의 새로운 해상 수송로가 개척되면서 동양의 연이 소개됐고, 연으로 사람이 하늘을 날 수 있지 않을까하는 관심이 높아지게 됐다. 벤자민 프랭클린은 연을 이용해 천둥 번개가 전기현상임을 실험해 ... ...
디지털 고속도로 종합정보통신망
과학동아
l
199402
속도가 요구되므로 고속 대용량 전송매체인 광케이블의 채용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21
세기
에 각 가정에서 고선명TV 화상전와 전자신문 원격진료 등을 이용하려면 수십-수백Mbps의 광케이블을 깔아 광대역 ISDN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광대역 ISDN의 핵심기술은 다양한 속도의 다양한 서비스에 ... ...
사라진 이산화탄소의 행방은?
과학동아
l
199402
더 있으리라는 추측도 가능하다.인간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도 20
세기
이래 엄청나게 많은 열대우림과 산림을 파괴함으로써 산림이 없어지는 만큼 이산화탄소의 흡수가 줄어든다. 결국 대기중에 추가되는 탄소량은 정확히 추산할 수는 없지만 어림잡아 1년에 16억t에 달할 것으로 ... ...
설치류로부터 배우는 것
과학동아
l
199402
인류는 설치류나 그것에 기생하는 곤충이 옮기는 질병들 때문에 큰 고통을 받아왔다. 14
세기
에는 쥐벼룩이는 옮기는 세균(학명 : Pasturella pestis)이 일으키는 병인 흑사병에 의해 아시아와 유럽 인구의 75%가 목숨을 잃은 것으로 추산된다.지난 해에 약 45명의 미국인들이, 이들은 대부분 나바호 ... ...
1. 생물 속에서만 생명얻는 '불완전 생물'
과학동아
l
199402
그 전에도 정체를 모를 병원균이 돌아다녀 많은 질병이 유행했다. 문헌상으로 15-16
세기
부터 천연두나 광견병 또는 황열병과 같은 무서운 질병에 관한 인류의 경험이 소개된 것으로 보아 바이러스로 인한 질병은 오래 전부터 발생하고 있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1717년에는 터키에 와 있던 영국외교관 ... ...
지구과학- 운석충돌로 생성 직경 200km 넘는 것도
과학동아
l
199402
운석이 달의 표면에 낙하해 그 충격으로 구덩이가 형성됐다고 했다(그림2). 그러나 20
세기
후반에 이르기까지 운석충돌설의 최대 약점은 달표면의 크레이터가 모두 원형을 이루고 있다는 점이었다.이것은 크레이터가 충돌에 의해 만들어진다면 운석이 달 표면에 떨어지는 각도에 따라서 여러 형태가 ... ...
3. 변화무쌍한 돌연변이로 '싸움'과 '공존'의 이중전략 구사
과학동아
l
199402
감염자가 하루가 다르게 늘어나고 있다. 이를 바이러스의 확산이란 측면에서 보자면 14
세기
유럽에서 3천만명을 죽인 페스트, 1918년에 유행, 약 2천만명의 목숨을 빼앗은 인플루엔자(당시 스페인 독감이라 일컬어졌다)에 필적한다.또 인플루엔자바이러스도 치사율은 그리 높지 않지만 감염성이 매우 ... ...
갈라파고스
과학동아
l
199402
행동이 무척 느린 이 거북은 몸무게가 2백25kg 이상 되며 1백50년까지 살기도 한다.19
세기
부터 포경선들이 갈라파고스를 중간 기착지로 이용하면서 코끼리거북의 수난은 시작됐다. 보통 2백kg이 넘는 코끼리거북 몇 마리이면 포경선 선원의 식량과 좋은 단백질 공급원으로 족하다. 따라서 포경선들은 ... ...
이전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