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대상"(으)로 총 4,036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계산화학의 선구자, 월터 콘2016.12.15
- 카네기공대를 거쳐 1960년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자리를 잡은 콘은 응집물질을 대상으로 이론물리학 연구를 진행했다. 응집물질이란 액체나 고체처럼 원자들이 서로 가까이 존재하는 물질이다. 양자물리학자들은 단일 원자나 원자 두세 개로 이뤄진 간단한 분자의 전자 에너지를 구하는 ... ...
- [사이언스 지식IN] ②독감 예방주사, 지금이라도 맞을까요?동아사이언스 l2016.12.15
- 있으신 분들은 고위험군에 속합니다. 흔히 영유아 포함 어린이를 ‘필수 독감 예방접종 대상자’라고 알고 있지만, 전문가의 말에 따르면 사실 어린이의 경우는 대부분 합병증 없이 자연적으로 치유가 잘 되는 편이라고 합니다. 오히려 임신부나 고령자, 평소 지병이 있는 사람들은 2차 감염이나 ... ...
- [사이언스 지식IN] ① 한달 빨리 온 독감...기말고사 기간 교실엔 빈자리 곳곳동아사이언스 l2016.12.14
- 법정전염병이나 독감 등 전염성 질환에 걸린 경우, 학교보건법 등에 따라 등교중지 대상자가 됩니다. 전염병에 걸렸음을 학교에 통보하면 학교장은 등교 중지 조치를 내리고, 이후 완치되어 다시 학교에 갈 때 진료확인서를 제출하면 학교에 빠진 기간이 결석으로 처리되지 않습니다. 독감에 걸린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게임이론의 개척차 ‘로이드 섀플리’2016.12.13
- 예년과 마찬가지로 과학저널 ‘네이처’와 ‘사이언스’에 부고가 실린 과학자들을 대상으로 했다. ‘네이처’에는 ‘부고(obituary)’, ‘사이언스’에는 ‘회고(retrospective)’라는 제목의 란에 주로 동료나 제자들이 글을 기고했는데 이를 바탕으로 했다. 올해 ‘네이처’에는 19건,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촛불시위 승리 원동력은? ‘분노’ vs ‘자부심’?2016.12.13
- 여부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했다. 연구자들은 약 100명의 동일한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두 번 설문을 했다. 처음은 집단행동이 시작되고 얼마 지나지 않은 2008년 초였고 두 번째는 승리와 실패를 각각 맛 본 직후인 2008년 7월 이었다. 학생들에게 학자금 폐지를 위한 집단 행동에 얼마나 동의하고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분자화석으로 지구 역사를 재구성한 화학자, 지오프리 에글린턴2016.12.12
- 예년과 마찬가지로 과학저널 ‘네이처’와 ‘사이언스’에 부고가 실린 과학자들을 대상으로 했다. ‘네이처’에는 ‘부고(obituary)’, ‘사이언스’에는 ‘회고(retrospective)’라는 제목의 란에 주로 동료나 제자들이 글을 기고했는데 이를 바탕으로 했다. 올해 ‘네이처’에는 19건, ... ...
- 그린란드 빙하, 완전히 녹아 사라졌던 시기 존재한다동아사이언스 l2016.12.11
- 늦게 시작돼 아직 명쾌한 답은 없는 실정이다. 사우디는 뒤늦게 10만 명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3년의 게놈 연구를 돌입했다. 연구는 KFSHRC를 중심으로 진행되며 정부가 투입하기로 한 예산은 4000만 달러(약 469억 원)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1] 잠과 꿈의 유전학 - 잠꾸러기 생쥐와 꿈 안 꾸는 생쥐2016.12.05
- 수면은 정보처리와 기억을 위한 시간일까. 다른 생명현상과는 달리 잠은 사람을 대상으로 뇌파 측정을 통해 이런 사실들이 가장 먼저 알려졌다. 따라서 정신의학에서 꿈을 매우 중요시한 프로이트의 관점을 지지하는 듯 했으나 그 뒤 다른 포유류나 심지어 조류에서도 렘수면이 존재한다는, 즉 ... ...
- 서민이 보수정당에 투표하는 이유2016.11.30
- 이미지라면 속도가 느릴 거라는 것이 연구자들의 생각이었다. 실제로 이런 방법은 어떤 대상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인식을 직접적으로 알아보기 어려울 때(특히 인종 문제의 경우 다들 겉으로는 좋다고 응답할 가능성이 높음) 간접적인 방법으로 많이 쓰인다. 그 결과 통제 조건의 여성들은 인종에 ...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2016.11.23
- 실제 이런 항체가 개발되고 있고 내년에 알츠하이머병과 헌팅턴병, 녹내장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이 진행될 예정이다. 진행을 늦추는 약물만 있을 뿐 치료제가 없는 신경퇴행성질환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 ...
이전3573583593603613623633643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