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뉴스
"
부분
"(으)로 총 6,219건 검색되었습니다.
출연연 평가, 연구사업 5년 주기·정량지표 빼고 전문가 평가로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3
게 가장 큰 특징이다. 먼저 안정적 연구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연구사업 부문과 기관운영
부분
을 분리한다. 기관운영은 기관장 임기 주기별로 평가하는 현재의 방식을 유지하지만, 연구사업 평가는 세계적 수준의 중장기 연구를 강화할 수 있도록 평가주기를 5년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다만 현재의 ... ...
호주의 귀염둥이 ‘웜뱃’ 똥이 네모난 이유
과학동아
l
2018.12.03
제공 연구팀은 신축성 있는 웜뱃의 장이 모서리
부분
에서 더 잘 늘어나기 때문에 대장 끝
부분
에서 직육면체의 대변이 만들어진다고 설명했다. 직육면체 모양 인공물을 만들 때는 보통 거푸집을 사용하거나 절단을 해서 만든다. 양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어떻게 부드러운 유기조직이 ... ...
웃는 얼굴의 심해 생명체 ‘화제’
팝뉴스
l
2018.12.03
이 바다 벌레는 능글거리면서 사람을 바라보는 것 같다. 웃는 듯한 저 얼굴은 사실 입
부분
에 해당한다고 한다. 취향이 독특한 네티즌들은 이 생명체가 아름답고 귀엽다고 호평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 ...
[표지로 읽는 과학]3D프린터로 출력한 뇌 신경망 모형
동아사이언스
l
2018.12.01
연결부위)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다. 반도체 회로 역시 각각의 노드(회로가 연결된
부분
)의 시작과 끝이 분명하게 분리되도록 설계된다. 11월 29일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신경계와 닮은 물리적 네트워크를 설계한 뒤 3D(입체)프린팅 기술로 인쇄한 모형 뇌 신경망을 ... ...
'여우각시별' 드라마 속 웨어러블 로봇팔 현실로 성큼
과학동아
l
2018.12.01
같은 형태로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예전에는 신경이 끊어지지 않은 팔
부분
에 진동이 발생하는 모터를 붙이고, 로봇 팔에 달린 압력센서로 물컵을 쥐는 압력을 감지했다. 힘이 들어가는 정도에 따라 모터가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사용자는 스스로 훈련을 통해 어느 ... ...
[유전자 편집 아기 논란]점입가경 ‘유전자 편집 아기’
동아사이언스
l
2018.12.01
교정된 유전자를 지닌 세포와 그렇지 않은 세포가 섞여 일어남)과, 의도하지 않은
부분
을 수정하는 오류인 ‘오프타깃(off target, 표적이탈)’ 현상이 분명 나타날 것이다"라며 "(하지만) 우리가 방사선의 영향이 0이 되길 기다렸다가 PET나 X선 촬영을 하는 것은 아니지 않는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 ...
'질병의 공식'을 찾는 수학자들
수학동아
l
2018.12.01
치료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오른쪽위)경동맥 초음파 영상. 가운데 동그란
부분
이 경동맥 혈관의 단면이다. 오른쪽아래는 경동맥만을 분리해낸 뒤 원래 영상에 덧씌워 정확히 분리됐는지 확인한 것이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제공 지금까지는 의사가 환자의 경동맥(목 부위에 있는 동맥)을 ... ...
日도 희귀질환에 年 67억원 투자하는데...국내는 수십 분의 1 수준
동아사이언스
l
2018.11.30
맡고 있다. 마쓰바라 소장은 “현재까지 8000개 이상의 유전질환이 발견돼 있다”며 “대
부분
매우 희귀하고 진단도 어려우며 금세 진단을 받지 못해, 환자와 가족은 끊임없이 병원을 전전하는 ‘진료 오디세이’에 나서는 등 고통이 크다”고 말했다. 이런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마쓰바라 소장은 ... ...
[2018과학기자대회]”유전자 의료기술 성패, 규제의 날 끝에 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9
바이오 산업을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규제완화는 필요하지만 필요한
부분
에선 규제가 꼭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유전자 의료기술에 대한 언론의 역할도 강조됐다. 유 상무는 “유전자치료제가 마치 만병통치약처럼 언론에 보도되고 있다”며 “단편적인 지식에 익숙한 대중들에게 ... ...
[2018과학기자대회]"엉터리 유사과학은 논쟁거리도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18.11.29
이어진 토론에서 전문가들은 유사과학이 근절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시민들의 가장 약한
부분
을 찌르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유명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우리 국민에게 가장 중요한 가치는 건강인데 스스로 대처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언론이 함께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 ...
이전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