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뉴스
"
바로
"(으)로 총 8,579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상] 온도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과학동아
l
2017.01.18
섭씨 5000℃가 넘는 플라스마의 극한 고온, 영하 200℃에 가까운 액체질소의 극한 저온은
바로
이런 입자들의 운동에너지를 통해 잴 수 있습니다. 재밌는 건 17세기 초에는 과학자들이 버터나 지하실, 사람 혈액의 온도를 온도를 나타내는 기준으로 삼자고 주장했다는 사실입니다. 온도를 인간의 ... ...
“줄기세포 이식으로 피해입은 환자 많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17
중요한 건 위험을 감수할 수 있을 만큼 혜택이 있느냐는 점이다. 유효성 연구를 건너뛰고
바로
사람에게 사용할 경우 정말 치료 효과가 있는지 아니면 위약 효과 (플라시보 효과)인지 알기 어렵다. ● 니콜라스 페리(Nicolas Ferry) 프랑스 세인트루이스병원 세포치료학부 수석과학자, 전 유럽의약품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5] 범고래 암컷이 나이 마흔에 폐경기를 겪는 이유
2017.01.17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이런 유형에서는 번식투쟁이 일어나지 않는다. 코끼리가
바로
이런 경우다. 반면 사람과 침팬지, 고릴라는 대체로 암컷이 무리를 떠난다. 우리말에 ‘시집온다’는 표현은 있어도 ‘장가온다’는 표현이 없는 이유 아닐까. 이 경우 한 무리에서 수컷은 서로 혈연관계이지만 ... ...
[인터뷰] 옥션에서 장애인품 전용관을 탄생시킨 주역들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7.01.17
병원 이외에 정보를 얻기 힘듭니다. 장애인 가족이 가장 불행하다고 느낄 때가
바로
정보의 부족으로 막막할 때 입니다. 예를 들어 밖에 나가면 어떤 장애물에 걸릴지 모른다는 불확실성, 이것이 사람을 불행하게 만듭니다. 먼저 나가본 분이 경험을 공유하고 다른 사람이 이를 보면 이런 불확실성을 ... ...
[후루룩촵촵] 풍미 깊은 식빵을 만들어라!!!
동아사이언스
l
2017.01.16
손으로 잡아당기면 결대로 주욱 찢어져 글루텐이 잘 형성된 것도 확인할 수 있어요.
바로
구워 따뜻한 식빵은 고소한 풍미와 폭신한 식감으로 마치 뭉게구름을 구워 먹는 듯한 감동을 선사합니다. 글루텐의 쫄깃함과 이스트의 부드러움을 살려 직접 구운 식빵으로 특별한 하루를 시작해보세요! - ... ...
빙하기에 아마존 열대우림은 어떻게 버텼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1.15
들어 있던 석회질 물질이 동굴 바닥에 쌓여 딱딱하게 굳은 돌출물이다. 석순은 동굴
바로
위쪽의 강수량과 생물체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비가 많이 올수록 천장에서 떨어지는 물방울이 많아져 석순이 빨리 자란다. 물방울에는 석회질 물질뿐 아니라 숲에서 나온 물질도 들어있다. 분석결과 ... ...
수소 원자, 어디에 있는지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15
방식이다. 표지 이미지에서 수소 원자가 마치 후광을 내는 것처럼 표현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후광으로 보이는 것이 사실은 수소 원자가 있을 수도 있는 위치인 것이다. 연구팀은 PEDT가 유기물과 무기물 모두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보였다. 표지로 선정된 ... ...
[작심일일 운동기② VR운동] ‘플랭크’ 버티는 시간, VR로 늘릴 수 있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1.15
짧게 느껴지지만, 뜨거운 난로에 손을 대고 있는 2분은 2시간처럼 길게 느껴진다. 이것이
바로
상대성이다.” 알버트 아인슈타인은 상대성이론을 상황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는 시간에 빗대어 설명했다. 실제로 즐거운 일을 할 때에 비해 고통이 따르는 일을 할 때 시간은 더 더디게 느껴진다.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렛잇고 대신 이번엔 ‘아윌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15
의 주제가 ‘나 언젠간 떠날 거야’에서 ‘리프라이즈’ 버전으로 강조된
바로
그 후렴 부분의 코드 진행이 ‘C-G-Am-F’ 코드로 이어집니다. 아주 정확히 일치하네요. 제가 칼튼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렛잇고’ 악보와 ‘나 언젠간 떠날 거야’ 악보에서 ‘C-G-Am-F’ 코드를 발견했을 때의 ... ...
[괴짜 과학자 시리즈①] 손으로 번개를 잡은 남자
동아사이언스
l
2017.01.15
번개의 충격을 받은 열쇠가 전지와 똑같은 효과를 냈거든요. 이 실험을 통해 탄생한 것이
바로
오늘날의 '피뢰침'입니다. 프랭클린의 실험은 오늘날 일명 '연날리기 실험'으로 불리며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무모하게 따라하진 마세요! 1753년에 비슷한 실험을 했던 한 과학자는 ... ...
이전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