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적의 방역 정책 만드는 비결은? 수학!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후보 병원균을 미리 찾고 치료제와 백신도 개발하려고 했지만 갑자기 툭 튀어나온 바이러스 때문에 전염병이 크게 유행할 수 있어. 지금 코로나19처럼 말이야. 응? 그런데 수학자가 피해를 최소화할 전략을 알려준다고? 개학 일정을 정하는 수학적 방법코로나19 확산 사태로 초등학교 고학년생과 ... ...
- 우주가 와글와글? 떴다, 군집위성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책장에 꽂힌 책처럼 차곡차곡 쌓인 저 판들은 바로 ‘위성’이에요. 똑같은 위성 60개가 쌓여 있으니, ‘위성 다발’이라고 부를 수 있겠네요. 불과 2주 전, 이 위성 다발이 한꺼번에 우주로 흩뿌려졌답니다. 지금 우주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우주가 ... ...
- 군집 위성, 지구의 안팎을 모두 살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군집 위성은 통신용으로만 쓰이는 게 아니에요. 지금도 여러 군집 위성들이 지구 주변을 돌며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지요. 앞으로는 군집 위성이 대세가 될 거라는데, 어떤 이점이 있기에 군집 위성들이 꾸준히 개발되고 있는 걸까요?우리나라에서도 2021년, 지구 주변 우주 환경을 관측하는 군 ... ...
- [핫이슈] 트롤 : 월드 투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안녕? 난 팝 트롤 마을에 사는 ‘파피’야. 최근 우리 팝 트롤 마을에 위기가 닥쳐서 어과동 친구들과 상의하고 싶어. 우리 얘기 좀 들어볼래? 록 트롤 마을의 여왕 ‘바브’를 막아라! 최근 나와 친구들은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됐어! 우리가 사는 팝 트롤 마을 말고도 5개의 트롤 마을이 더 있다지 ... ...
- [매스크래프트] #8. 광복절 75주년 특집!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의 태극기 작도수학동아 l2020년 08호
- 1945년 8월 15일은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해방한 기쁜 날입니다. 이를 기념하는 광복절에는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애쓰신 분들을 기리며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야 하죠. 그래서 퓨처킴은 우리 선조들의 숭고한 희생이 깃든 서대문형무소 역사관과 그 벽에 걸린 태극기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 ...
- [별헤는수학] 초신성 사냥꾼 ‘날이면 날마다 오지 않는’ 초신성수학동아 l2020년 08호
- 폭발한 초신성 ‘SN 1604’는 밤하늘에서 금성 다음으로 가장 밝게 빛났다고 합니다. 독일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가 이 초신성을 관측한 기록을 남겨 ‘케플러 초신성’이라는 별명이 붙었죠.자랑스러운 사실은 조선시대 조상들이 케플러보다 더 정밀한 기록을 남겼다는 것입니다. ... ...
- [에디터노트] Why Explore Space?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스툴링거 박사는 현미경 개발을 예로 들었다. 흑사병이 유럽을 휩쓸던 400여 년 전, 독일의 한 마을을 다스리던 백작은 작은 생물(미생물)을 볼 수 있는 렌즈를 연구하던 인물을 성으로 데려와 연구를 지원했다. 성주가 흑사병으로 고통받는 마을 주민은 돌보지도 않고 쓸데없는 일에 돈을 ... ...
- [한페이지 뉴스] 장내미생물이 바이러스 감염도 막는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치쿤구니야 바이러스(CHIKV·Chikungunya virus)는 모기에 의해 전파되며 고열과 관절통을 동반하는 감염병을 일으킨다. 감염자의 절반은 증상이 없지만, 환자 일부는 심하면 몇 주동안 증상을 겪기도 한다. 그동안 과학자들은 환자마다 이처럼 병의 심각성이 다른 이유를 알지 못했다. 마이클 다이아몬드 ... ...
- [때문에 과학] 2탄. 큰 귀 코끼리, 짙은 피부 북극곰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열을 더 빨리 식힐 수 있다. 학계에서는 이런 진화를 영국의 생물학자 조엘 알렌과 독일의 동물학자 카를 베르그만의 이론에서 만들어진 ‘알렌 베르그만 법칙’으로 설명한다. 이 법칙에 따르면 더운 지역에 사는 동물은 돌출 부위가 크고 몸의 상대적인 크기는 작다. 즉 몸의 표면적을 늘리는 ... ...
- [인포그래픽] 화성, 어디까지 가봤니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화성을 향한 인류의 도전은 1960년 옛 소련이 ‘마스닉 1호’를 발사하면서 시작됐다. 마스닉 1호는 로켓 문제로 대기권을 벗어나지 못해 실패했지만, 4년 뒤 미국의 ‘마리너 4호’는 중력도움(flyby·행성의 중력을 이용하는 근접비행)에 처음 성공하며 냉전에서 촉발된 우주 탐사 경쟁에 불을 붙였다 ... ...
이전3573583593603613623633643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