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체험] 두근두근 생애 첫 코딩, 스크래치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엄마가 현관문에 들어서면 알람이 울리는 발판’, ‘좋아하는 사람끼리 손을 잡으면 하트가 핑크빛으로 물드는 장치’처럼 상상 속에만 있던 발명품이 현실이 될 수 있을까?이곳 삼성전자 투마로 솔루션랩에서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아주 쉽게 게임, 동화책, 또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발명품으로 ... ...
- 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회사 상사에 대한 분노다. 상사의 지시로 10년 간 적외선, 적색 LED를 연구했지만 성과가 없었다. 회사에서는 쓸모 없는 인재로 찍혔고, 모든 책임이 내게 돌아왔다. 결국 회사 창업자와 담판을 통해 미국 플로리다주립대로 연수를 갔고, 여기서 파란색 LED를 만드는 데 중요한 질화갈륨에 대해 배울 수 ... ...
- [과학뉴스] 다이아로 반지? 이젠 뇌에 꽂아야지!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뇌심부자극술은 현재의 뇌심부자극술을 개선한 기술로 강도가 높은 다이아몬드 전극(사진)을 이용해 센서의 내구성을 높이고 뇌신경 전달물질의 측정 성능을 높인다.이 기술은 현재 미국 메이요병원 신경외과 캔달 리 교수팀과 장동표 한양대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교수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 ... ...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파악하지 못하던 자이푸르 시는 영국 보존연구소에서 개발한 스마트폰 앱으로 유기견 사진을 찍고 소리를 녹음했다. 어느 지역이 유기견 밀도가 가장 높은지, 이유가 뭔지 파악한 시 당국은 예방접종, 중성화, 동물보호소 이송 등 지역에 맞는 대책을 마련할 수 있었다.대규모 생태연구에도 응용할 ... ...
- 수달 VS 해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과학 수업에서 동물에 대해 배우고 있어요. 그런데 사진을 아무리 봐도 수달과 해달의 차이점을 모르겠어요. 비버도 비슷하게 생긴 것 같은데…. 너무 헷갈려요~. 오주은(서울 돈암초 5)수달수달은 육식을 하는 포유류인 식육목에서도 족제비과에 속하는 동물이에요. 몸길이 60~75㎝에 꼬리길이가 40~5 ... ...
- Part 1. 테러도 공식을 따른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세빛섬에서 터진 폭탄을 조사한 결과, 11월 5일 국회의사당에서 터진 폭탄과 동일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두 사건 모두 같은 조직의 소행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누가 왜 이런 테러를 저질렀는지 아직까지 밝혀진 게 없다는 겁니다. 세 번째 폭탄 테러가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도 모르는 상황이고요. ... ...
- [생활] 이슬람의 기하학 패턴을 찾아, 말레이시아로!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이슬람 하면 어떤 게 떠오르나요? 중동 국가? 차도르를 쓴 여인? 혹은 무장 세력까지? 이슬람이라고 하면 멀게만 느껴지는 친구들 많을 거예요. 그런데 이슬람의 기하학 패턴에서 수학의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아나요? 게다가 중동 국가까지 가지 않더라도 우리나라에서 그리 멀리 떨 ... ...
- [재미] 경험을 공유하는 축제의 장 2014 청심ACG대회 시상제수학동아 l2014년 11호
- 팀에게 돌아갔다. 행사장 로비에는 포토 존이 별도로 마련돼, 수상 학생들은 가족과 함께 사진을 찍으며 마치 방송국 연말 시상식의 주인공 같은 기분을 느꼈다. 이번 시상제에 함께 참석한 대구칠성초 5학년 이승형 학생의 어머니는 “본선을 경험하면서 아이가 성장한 것처럼 시상제를 통해서도 ... ...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수학동아 l2014년 11호
- 팀장님, 이번 사건 뭔가 이상하지 않습니까? 폭탄이 두 번이나 많은 사람들이 있는 곳에서 터졌는데 사망자 수와 부상자 수가 매우 적습니다. 그에 반해 두 번째 사건이 일어날 때까지 어떤 증거도 남기지 않을 만큼 계획이 치밀하고요. 혹시 폭탄 테러는 위장이 아닐까요?자동차 해킹도 가능해미 ... ...
- 얼굴 읽어 주는 수학수학동아 l2014년 11호
- 가장 비슷한 사진을 찾아낸다. 페이스북에서는 향후 이 ‘딥 페이스’를 활용해 맞춤형 사진 분류,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계획이다.우리나라에서도 얼굴 인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지난 2009년 김대진 포스텍 컴퓨터공학과 교수가 사람의 표정을 읽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데 이어, ... ...
이전3573583593603613623633643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