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3. 난분해성 폐수 걸러내는 나노막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분리막의 형태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
본
공정의 큰 장점에 속한다.분리막법을 이용한 무방류 시스템은 이미 적용단계에 있다. 좀더 우수한 분리막의 개발과 더불어 2-3년 내에는 그 수요가 급증할 것이며 시장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 ...
장거리 여행객 위협하는 이코노미클래스 신드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필요한 에너지를 내놓는다 이 과정을 내호흡 또는 세포호흡이라고 한다 호흡의
본
질은 이러한 세포호흡에 의한 에너지 생산이라고 볼 수 있다과학소설에서 흔히 등장하는 초광속 여행방법의 일종 우주공간이 중력으로 휘어 있는 것을 이용해 빛의 속도 이상으로 가속하는 기술을 말한다 영화 ... ...
① 일란성 쌍둥이와 복제인간 같은가 다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즉 다른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물려받기 때문에 유전정보가 100% 같지는 않다. 외모도 원
본
과는 차이가 날 가능성이 크다”라고 말한다.그렇다면 복제인간을 ‘시간차가 벌어진 일란성 쌍둥이’가 아니라 ‘시간차가 벌어지고, 서로 다른 세포질을 가진 일란성 쌍둥이’라고 불러야 정확할 듯하다 ... ...
나선은하에서 뿜어져 나오는 광속물질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불러왔다. 태양 마차가 궤도를 이탈해 온세상이 불타기 시작했던 것이다. 이 광경을
본
제우스가 마차를 향해 번개를 던졌고, 결국 파에톤은 별똥별처럼 긴 불꽃을 내며 에리다누스 강에 떨어져 죽었다.사실 전파은하 ‘0313-192’에서 나오는 제트도 에리다누스가 풍기는 죽음의 이미지를 지니고 ... ...
③ 배아복제 금지법은 세계 어디에도 없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법률안에 대해 문의하자 “해석상의 차이가 발생할 여지를 없애기 위해 각국의 법률 원
본
을 직접 대조하기로 하고 현재 외무부의 협조를 받아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고 밝혔다.법률 해석에 있어 차이를 보일 수 있는 또다른 요인은 ‘모라토리엄’이다.생명과학 특성 반영한 모라토리엄문자 ... ...
보지 않고 그린 코뿔소가 세상을 속이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직접 보고 그린 게 아니라 뒤러가 그린 펜화를 베낀 것입니다.문제는 뒤러 역시 코뿔소를
본
적이 없다는 것입니다. 단지 이곳저곳에서 들은 이야기를 바탕으로 자신의 창의력을 발휘해 그린 것이죠. 그래서 그림의 코뿔소는 목 뒤에 작은 뿔(그림 3 원 안)이 있고 중세기사처럼 철갑을 두르고 있으며 ... ...
인간 생명을 구하는 억대 인형 더미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가해지는 힘의 양을 정확히 측정하는 센서가 로드셀(load cell)로 더미가 갖고 있는 가장 기
본
적인 센서다. 충돌할 때는 또 머리가 엄청난 속도로 앞으로 튕겨지기 때문에 치명적일 수 있다. 이런 위험은 물체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센서인 가속도계(accelerometer)를 통해 어느 정도인지 측정할 수 있다. ... ...
인터넷으로 밝혀진 좁은 세상의 구조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도시 간을 운항하는 비행편이 연결선이 된다. 비행기 좌석 뒤편에 꽂혀있는 항공잡지를
본
적이 있는 독자는 항공노선지도를 쉽게 기억할 것이다. 대부분의 작은 공항들은 몇개의 주요 대도시들에 연결되는 적은 수의 연결선을 갖는 반면 대도시들은 많은 수의 연결선을 갖는 불균일한 네트워크를 ... ...
가치 있는 기업을 꿈꾸는 컴퓨터 의사 안철수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세계 10대 컴퓨터 보안회사로 올라서는 목표를 세웠다.안철수연구소는 최근 일
본
시장에 바이러스 사전 예방서비스인 VBS를 출시해 호평을 받고 있다. VBS는 이메일로 전파되는 바이러스가 발견되면 백신이 개발되기 전까지 이메일을 통한 확산을 막아주는 제품이다. ‘선택과 효율’이라는 평소 그의 ... ...
겨울 은하수 속의 진주 M37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두고 그 지역의 밤하늘이 별이 잘 보이는 곳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기도 했다.쌍안경으로
본
다면 이들 세 성단의 존재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작은 별들이 뿌려져 있는 배경 사이로 별들이 뭉쳐져 있는 별무리 셋이 보인다. 쌍안경의 시야가 넓다면 세 성단을 동시에 보는 일도 그리 어렵지 않다. ... ...
이전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