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으)로 총 10,29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특종 인공번개 쏴라~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쏘아 쓰레기를 녹이지요. 핫하하!”쿵쾅쿵쾅 쉴 새 없이 울려대는 새가슴을 쓸어내렸다. 인공번개는 여러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구나…. 앞으로는 인공번개가 아닌, 실제 번개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고 쓰레기를 처리할 날이 오겠지? 호탕하게 웃는 번개사냥꾼을 보고 이번에 특종을 잡았다는 ... ...
- 확산 모형으로 메르스 길목 막는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때문이다. 반면 인플루엔자, 사스처럼 잠복기가 며칠 안에 끝나는 질병의 모형은 집단 내 출생률과 사망률을 고려하지 않는다. 잠복기가 2주 안팎인 메르스도 마찬가지다.인플루엔자는 잠복기가 평균 이틀 정도로 짧아 잠복기를 고려하지 않는 SIR 모형도 적합하다. 메르스는 잠복기가 그보다 길다. ... ...
- 함께 나누는 수학 놀이 청주 중앙여중 파이(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가는 일이 당연했다. 노하우를 전수해 줄 선배들도 없어 막막했다. 게다가 그 동안 교내 동아리 활동이 많지 않았던 학교 분위기 때문에 선생님들의 지원도 충분하지 않은 편이었다.비용도 문제였다. 시중에서 7000원씩 하는 지오데식돔 키트를 활용하게 되면, 가진 예산으로는 80명에게만 기회를 ... ...
-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때문이다. 하지만 오늘날 물리학의 역사는 볼츠만의 손을 들어주고 있다.대한민국내에서 처음 통계물리학 연구를 시작한 학자는 조순탁 교수다. 과천에 있는 국립과학관에는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이 있는데, 그 곳에 이름을 올린 순수 이론물리학자는 아직까지 이휘소 박사와 조교수 딱 두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밝혔다.딥러닝은 기존 인공지능이 가장 어려워하던 음성인식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칵테일 파티 효과’라는 용어가 있다. 주변 환경에 개의치 않고 자신에게 의미 있는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는 심리 현상을 뜻한다. 인간은 여러 음성이 동시에 들려 오는 환경에서 ... ...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혈장에는 병원체에 대한 항체가 존재한다. 여기서 항체를 따로 분리해 대량으로 만들어내면 치료제가 된다. 하지만 항체를 분리해 배양하고, 또 임상실험까지 마쳐 치료제를 생산하는 데에는 적어도 5~10년은 걸린다. 지금 당장은 해결책이 될수 없다. 그래서 적은 양의 항체라도 들어있는 완치자의 ... ...
- 박종화 생명과학부 교수 - 늙지 않는 세상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노하우가 큰 역할을 할 것이다.새로운 기업의 CEO로서 그는 “당장 수익을 만들어내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하지만 돈을 벌려고 사업을 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제로믹스에서 수익을 낸 뒤 이것을 다시 회사에 투자하고, 이로써 건강한 사람이 많은 사회를 만드는 것이 그가 회사를 설립한 진짜 ... ...
- 내가 뭘 좋아할지 소프트웨어에게 물어 봐!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내 뉴스피드에 올라오고 있는 소식들은 나의 인간관계를 분석한 산물이다. 내가 뭘 좋아할지, 어쩌면 소프트웨어가 나보다 더 잘 알고 있을지 모른다. 공동기획 : ...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특성을 기계로 구현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상욱 한양대 철학과 교수는 “20~30년 내 인간을 뛰어 넘는 초지능이 나온다고 생각하는 학자가 많아졌지만, 어디까지나 기술 발전 속도가 지금처럼 유지된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며 “현재로서는 불확실성이 너무 크다”고 말했다. 과도한 ...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사망자, 그리고 2만5000명의 격리자가 발생했는데, 대부분의 감염자는 의료인이거나 병원 내 감염자였다. 의료선진국으로 알려진 캐나다에서 일어나리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던 결과였다. 병원체 다양성의 감소가 병을 불렀다? 인류가 감염병에 취약해진 또다른 진화적 이유는 병원체의 다양성이다. ... ...
이전3573583593603613623633643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