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d라이브러리
"
사실
"(으)로 총 10,989건 검색되었습니다.
트론 : 새로운 시작(Tron: Legacy)
과학동아
l
201101
다가오고 있다. 1982년에는 전편의 이야기가 허무맹랑했지만, 2010년 트론의 이야기는
사실
처럼 다가온다. ▲트론: 새로운 시작은 탄탄한 줄거리보단 화려한 영상과 액션이 돋보인다.▲트론에선 다양한 탈것들이 감각적으로 재구성돼 많은 볼거리를 제공한다. ▲케빈 플린은 그리드를 ... ...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 Q&A
과학동아
l
201101
갔는데, 가서 잡초뽑는 일을 했어요. 힘들었지만 땀흘려 돕는 일이 더 가치있다는
사실
을 알게 됐어요. 앞으로도 방학 때마다 꾸준히 가서 도울 생각이에요.”배울 수 있는 기회를 얻은 것만으로도 충분히 감사할 일이라고 말하는 김규현 학생. 수학·과학에 대한 열정을 3년간 가져갈 수 있는 ... ...
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
과학동아
l
201101
소식을 듣고 이제는 대등한 파트너로 공동연구를 하기 위해 리켄을 찾은 것이다.“
사실
초고체 현상은 아직까지 이론으로 명쾌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 가설을 세우고 이를 입증하는 실험을 계속해 나가야지요.”김 교수의 말에 챈 교수는 스승답게 멋진 멘트를 날렸다.“몇몇 ... ...
Part 3. 외계생명체 탐사는 어떻게 바뀔까
과학동아
l
201101
띠기 때문에 피가 청록색이 된다. SF 영화에서 피가 초록색인 외계인이 나오는 것은 이
사실
에 근거를 두고 있다.효소에 쓰이는 아연 대신 카드뮴을 이용하는 생명체가 발견되기도 했다. 아연은 우리 몸에서 200개 이상의 효소에 들어 있는 성분이며 DNA와 RNA를 만드는 데도 관여한다. 반면 카드뮴은 ... ...
아름다움과 슬픔의 공존 - 서해5도
과학동아
l
201101
이렇게 적었다.“어둠 사이로 장산곶이 손에 잡힐 듯 가깝다. 저곳이 바로 북한 땅이라는
사실
이 믿겨지지 않았다. 그때 주머니에 넣어둔 휴대전화가 울렸다. 그런데 왠지 마음이 짠하다. 북한 땅이 손에 잡힐 듯 가까운 바다에서 받은 전화 한 통에 이상하리만치 가슴이 아팠다.” [❶ 꽃게잡이에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01
연구소는 미국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가 공대인 것처럼 명칭만 ‘연구소’일 뿐
사실
상 세계적인 의대다. 2010년부터 부총장을 맡고 있는 얀 안데르손 교수는 2007년부터 노벨 생리의학상 심사위원도 겸하고 있다.안데르손 부총장은 200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예로 들며 “후천성면역결핍증 ... ...
아라온 호 '남극 200일'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101
호수 속에 바이러스부터 원생동물까지 다양한 미생물이 복잡한 생태계를 이룬다는
사실
을 밝혔다.극지 생물학자들은 이런 미생물의 효용 가치에 관심이 많다. 극한의 환경에서도 살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진화해 왔기 때문이다. 2003년 남극 세종기지 앞 해안에서 찾아낸 박테리아인 ... ...
성적이 계속 떨어져서 고민이라면?
과학동아
l
201101
떨어져서 앞에 나서는 걸 꺼려하게 됐을 거야. 좀 더 자신감을 갖도록 해야 해.” K학생은
사실
하고 싶은 게 뭔지 스스로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을 못할까봐 지레 겁먹고 걱정부터 해서 ‘꿈’이라고 당당히 밝히지 못하고 있는 게 아닐까. “꿈이 있으면, 그걸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를 ... ...
Part 1-1. 1초의 위대함, 오차 0에 도전!
수학동아
l
201101
내가 자세히 설명해 줄게. 아~. 내가 생각하던 1초는 아주 옛날에 사용했던 정의구나.
사실
지금까지 나는 1초 때문에 전전긍긍해 본 적이 없어서 1초를 정확히 정의해야 할 필요성을 못 느꼈던 것 같아.클락, 잘 생각해 봐. 너 저번에 소녀시대 콘서트 티켓을 선착순으로 예매할 때 1초 늦어서 ... ...
PART 2-1. 째깍째깍, 수학으로 가는 시계
수학동아
l
201101
수정이의 이야기를 들으며 골똘히 생각에 빠진 클락. 시계를 과학자가 만들었다는
사실
에 한 번 더 놀랬다. 그런데 세슘이는 수학도 잘해야 한단다. 아~ 과학도 어려운데….근데 있잖아. 나는 컴퓨터의 오른쪽 밑에 나오는 시계나 휴대전화 시계, TV나 라디오 시계가 가장 정확한 시계인 줄 알았거든. ... ...
이전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