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뉴스
"
학자
"(으)로 총 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
2015.01.11
‘우주’가 원리적으로 알 수 있으면 관측이 일어난 것이다. 이와 같은 관측을 물리
학자
들은 ‘결어긋남(decoherence)’이라 부른다. 결어긋남이라는 용어가 좀 이상할 수도 있겠다. 파동이라도 여러 줄무늬를 보이려면 결이 잘 맞아야한다. 결이 맞지 않은 파동은 결어긋난 파동이라고 한다. 따라서 ... ...
나치가 원자폭탄을 먼저 개발했다면…
2015.01.11
것은 물론 뮤온 중성미자를 발견한 공로로 1988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저명한 물리
학자
다. 저자들은 페르미연구소의 테바트론 가속기를 이용해 이룩한 연구 성과와 함께 힉스를 발견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로 얻어낸 연구 결과를 자세히 기술했다. 하지만 저자들의 ... ...
조울증, 결국 뇌세포가 원인이었어!
2015.01.06
연구하는
학자
들이 주목한 적이 없는 부위여서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금까지
학자
들은 주로 전두엽 부위를 집중적으로 연구해 왔다. 만약 소뇌에서 일어나는 뇌세포 대사활동이 조울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면 조울증 치료제로 쓰이는 리튬을 대신할 물질을 찾는 데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보낸 e메일이 생각났다. 끈이론의 허구성을 주장한 글이었는데 당시 필자는 ‘수
학자
분이 왜 이런 글을…’이라고 생각하며 모르는 체했다. 그때 ‘초끈이론의 진실’을 알고 있었다면 좋은 기획거리가 됐을 거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 ...
두 얼굴의 양자역학
2015.01.04
들러붙지 않고 그 구조를 유지하는 것은 전자가 정상파를 이루었기 때문이다. 물리
학자
드 브로이는 이 사실을 알아낸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실제로 원자에서 전자의 파동은 정상파가 허용하는 특정 파장만 가진다. 원자는 이에 해당하는 띄엄띄엄한 에너지만 가질 수 있다. ... ...
드디어 나왔네요, 인터스텔라의 과학
2015.01.04
과학 실험에 참여한 H. M의 기록이 자세히 들어있다. H. M은 저자를 비롯한 100명 이상의 과
학자
들이 진행한 수백 건의 연구에 참여했고,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기억과 학습에 관한 뇌의 작용은 모두 H. M 덕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저자는 “H. M과 수십 년에 걸쳐 작업해온 내게는 한 가지 ... ...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20세기 최고의 물리학 이론은?
2015.01.02
진행됐다는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국 교수는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과
학자
집단의 노력에 따라 과학적 성과의 중요성에 대한 우선순위가 바뀔 수 있음을 통감했다”며 “대중과의 공감 없이 나 홀로 발전하는 과학은 현실과 엇나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21세기는 일반상대성이론의 시대”
2015.01.02
일반상대성이론에 관한 책 '완벽한 이론'을 펴낸 영국 옥스퍼드대 페드루 페레이라 교수. - 페드루 페레이라 제공 “21세기는 틀림없이 일반상대성이론의 ... 마지막 베일을 벗겨 내고 있다”면서 “현대 물리학의 중대한 변화의 시기에 물리
학자
로 일하고 있어 행운아”라고 말했다. ... ...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3쪽자리 논문에서 시작된 100년의 혁명
2015.01.02
일약 스타덤에 올랐다. 공상과학(SF) 영화의 단골소재인 시공간 여행도 미국 수
학자
쿠르트 괴델이 일반상대성이론을 풀어 얻은 답을 근거로 하고 있다. ‘빅뱅의 흔적’으로 불리며 지난해 처음 검출되면서 세계적으로 화제가 된 중력파 역시 일반상대성이론이 옳다면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대한 깊은 통찰을 얻게 된다. 컬럼비아대에서 병리학 수련의로 있던 아이젠은 면역
학자
인 마이클 하이델버거를 알게 된다. 하이델베르거는 항체가 단백질임을 밝힌 사람으로 현대 면역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모교인 뉴욕대 생화학과에 자리를 잡은 아이젠은 항체에서 항원과 결합할 수 있는 ... ...
이전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