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뉴스
"
최대
"(으)로 총 7,065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환자 10명 한꺼번에 검사한다'는 취합검사법이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지난달 24일 브리핑에서 “우리 진단검사팀은
최대
32명까지 한 번에 검사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며 당시 취합검사법 도입을 검토 중이라 밝혔다. 이날 브리핑서 실제 취합검사법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다만 확진 여부 판단보다는 감염 위험군의 질병 감시 ... ...
당신이 잠든 사이에 스마트폰이 코로나19 약물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내려받은 후 60개의 계산을 동시에 실행한다. 충전기와 연결돼 있으면 한 대가 6시간 동안
최대
2만 4000개 문제를 풀 수 있다. 연구팀은 “하루 24시간 실행되는 옥타코어 프로세서 컴퓨터가 300년 걸리는 문제를 스마트폰 10만 대 네트워크가 3개월 만에 풀어낼 수 있다”고 비교했다. 보다폰은 드림랩 ... ...
'절대0도에 근접한 궁극의 차가움' 극저온 분자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나노켈빈 수준으로 냉각시키는 데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분자는 이 상태를
최대
1초 유지했다. 손 연구원은 “지난 15년간 충돌을 통해 분자를 효율적으로 극저온으로 냉각시키는 일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여겨져 왔다"며 "입자의 스핀을 통제하는 방법으로 분자를 냉각시킬 가능성을 ...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환자 사흘째 50명 안팎…中도 해외유입 골머리
동아사이언스
l
2020.04.08
0배가 증가했다. 지난 2월 29일 미국 첫 코로나19 사망자가 나온 지는 37일 만이다. 코로나19
최대
확신지인 뉴욕에서는 6일 기준 하루 사망자가 731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영국과 이탈리아 등 유럽 국가들의 코로나19 확산세는 주춤하고 있다. 이탈리아의 누적 환자는 이날 10시 기준 총 13만5586명으로 ... ...
코로나19에 세계
최대
규모 '바이오USA'도 디지털 전환
연합뉴스
l
2020.04.08
최근 결정했다. 바이오USA는 매년 6월 초 미국의 주요 도시를 순회해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 콘퍼런스다. 지난해에는 전 세계 67개국에서 1만6천개사가 참여했다. 한국에서만 37개 제약·바이오 기업이 참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이오 업계에서는 해외 동향을 파악하고 다국적제약사, ... ...
미 의사협회 "정치 아닌 과학으로 코로나19 대응해야"
연합뉴스
l
2020.04.08
아니라 과학과 연구, 증거"라고 강조했다. AMA는 20만명의 이상의 의사가 가입한 미국
최대
의 의사 단체다. 해리스 박사는 이날 연설에서 특정 정치인과 정당의 이름을 거론하지 않았지만, 백악관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겨냥해 "과학에 기반한 의사 결정"을 촉구한 것으로 보인다고 포브스지는 ... ...
나비에게 배우는 ‘완벽한 검은색’
과학동아
l
2020.04.08
빛 흡수율이 높은 검은색 나비는 날개의 반사도가 0.06~0.4%에 불과했다. 이는 들어온 빛의
최대
99.94%를 흡수한다는 뜻이다. 반면 대조군 나비는 날개의 반사도가 1~3%로 측정됐다. 연구팀은 날개 표면의 구조와 반사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각각의 날개를 관찰했다. ... ...
ETRI·SK텔레콤, 데이터센터 전력소모 10분의 1로 줄이는 저전력 AI 반도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4.07
절반인 가로세로 5mm 크기로 고효율 회로 설계와 딥러닝 알고리즘 메모리 요구량은
최대
70분의 1로, 연산요구량은 20분의 1로 줄인 소프트웨어를 탑재했다. 사람이 물체를 감지하는 것과 비슷한 수준인 초당 30회 물체 인식이 가능하면서도 전력은 기존 반도체의 10분의 1인 0.5W만 들어간다. 연구팀은 ... ...
평면렌즈 하나로 6m 거리까지 선명하게 찰칵!
과학동아
l
2020.04.07
수 있는 거리가 다양한다. (아래) 숫자는 렌즈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다. MDL은 20cm부터
최대
5.943m 떨어진 지점의 피사체 초점을 동시에 맞추는데 성공했다 ... ...
꽃가루 성분 종이로 만든 스스로 움직이는 소프트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7
수축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사람 손바닥 위에만 올려도 습기를 머금어서 면적이
최대
1.9배까지 커졌다. 종이 중 습기를 머금은 면은 급격히 늘어나지만 반대 면은 늘어나지 않아, 종이는 전체적으로 마치 오징어를 구울 때처럼 동그렇게 오그라들었다. 이를 다시 건조한 곳에 놓으면 반듯하게 ... ...
이전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