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상
image
그림
심상
형상
이메지
상
뉴스
"
이미지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75년 전 개발 ‘트랜지스터’가 가져온 혁명
동아사이언스
l
2022.11.20
봐도 오래된 것 같은 휴대용 라디오를 손에 들고 있는 모습을 클로즈업으로 포착한
이미지
를 표지에 실었다. 이는 1959년 9월 9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회 라디오 및 텔레비전 쇼에서 처음 선보인 휴대용 라디오다. 사이언스는 75년 전 발명된 트랜지스터가 통신과 계산과학, 제어시스템 등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생각없이 해야 실행력 오른다
2022.11.19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중요한 과제의 마감일을 앞두고 있노라면 불안감이 엄습해온다. 어떨 때는 마감이 다가오고 있다는 사실을 떠올리기만 해도 숨이 턱턱 막히기도 한다. 이렇게 불안이 차오르면 불안을 씻어내기 위해서라도 빨리 일을 시작할 것 같다. 하지만 안타까운 사실은 꼭 그렇게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간다 전력망 확대 효과, 위성·AI가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22.11.19
세계 여러 곳에서 공공 정책의 개발과 평가를 방해한다”며 “버크 교수팀은 위성
이미지
를 기계 학습과 결합해 이런 데이터 격차를 줄이는 법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 ...
벽돌로 자동차 수리하는 방법
팝뉴스
l
2022.11.18
제공 해외 인터넷에서 큰 주목을 받은
이미지
다. 한 사람이 자동차를 수리하고 있다. 그런데 크게 부서진 부분을 수리하는 데 쓰이는 재료가 놀랍다. 벽돌과 시멘트이다. 마치 허물어진 벽을 손보듯이 자동차를 수리하고 있는 것이다. 진심일까. 괜찮을까. 많은 해외 네티즌들이 ... ...
아이들, 어른보다 더 빨리 배운다...연구로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2.11.18
게티
이미지
뱅크 아이들이 어른보다 정보나 기술 습득력이 좋다는 사실이 연구로 입증됐다. 타케오 와타나베 미국 브라운대 인지및언어학과 교수 연구팀은 “아이들의 두뇌가 새로운 학습에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반응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16일(현지시간) ... ...
20년 동안 사랑받은 인형
팝뉴스
l
2022.11.16
제공 미국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된
이미지
다. 만일 가만히 뒀다면 왼쪽과 같이 하얀 인형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매일 만지고 안고 때로는 뽀뽀도 했다. 그렇게 20년 세월이 지나서 인형은 누렇게 되고 말았다. 누런 아기양 인형이 더러워보인다고 말하는 네티즌도 일부 있지만, 20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거울 나라는 현실이 될까
2022.11.15
없다는 사실을 관찰했다. 그는 합성 타타르산의 결정이 서로 거울상인 두 가지로 나뉘고(
이미지
) 그 가운데 하나가 포도의 타타르산임을 발견했다. 천연 분자의 비대칭성에 영감을 받은 파스퇴르는 1860년 발표한 논문에서 현실 분자의 거울상으로 이뤄진 거울 세계 존재 가능성을 언급했다. ... ...
산업 폐가스를 화학 원료로 만드는 효소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1.15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산업 현장에서 나오는 폐 가스를 화학 원료로 만드는 효소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김용환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와 이형호 서울대 교수 연구팀이 일산화탄소 전환효소에 단백질 설계기술을 적용, 철강 산업 폐 가스를 화학 원료로 ... ...
“청소년 시기 수면의 양과 질, 최종 학력에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2.11.14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청소년 시기 수면의 질과 양이 최종 학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고려대는 김진호 보건정책관리학부 교수 연구팀이 안젤리나 수틴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의과대학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청소년기 수면의 양과 질이 성인기 학력에 미치는 양상을 ... ...
강한 빛에 적응하는 눈 모사한 인공안구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1.14
그런 다음 빛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광 시냅스 소자’를 개발했다. 조 교수는 “
이미지
센서는 빛이 꺼지면 원 상태로 돌아오는 반면 광 시냅스 소자는 빛 신호를 축적해 실제 눈처럼 빛의 세기가 저장된다”며 “일정 양의 빛 신호가 쌓이면 홍채를 움직여 빛을 조절하도록 하는 신호를 ... ...
이전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