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기
기구
장치
도구
기관
엔진
용구
뉴스
"
기계
"(으)로 총 3,861건 검색되었습니다.
“손목에 스마트 밴드 차니 3㎏이 쑥 빠졌네~”
2014.10.05
1시간 안에 세균의 종류와 양을 확인할 수 있다. 침이나 소변 피 등을 종이칩에 묻혀
기계
안에 넣고 기다리면 된다. 콘택트렌즈로 눈물을 분석해 혈당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도 눈길을 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송용원 책임연구원팀은 콘택트렌즈에 삽입할 수 있는 당뇨 측정 센서와 ... ...
과학♥만화 연애한지 10년째 되는 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9.30
과학지식을 확인하고는 이내 안심한다. 2004년 창간 때부터 독자였던 이호용(서울대
기계
항공공학부 석사과정) 학생은 “어과동의 재미에 푹 빠져서 중학생이 되어서도 계속 봤어요. 자연스럽게 과학에 흥미를 느껴 과학고에 진학했고, 지금은 로봇을 만드는 과학자가 되기 위해 대학원에서 열심히 ... ...
연구실 사고 막는 ‘표준매뉴얼’ 보급한다
2014.09.30
연구실에서 내부 모습. 실험복장을 제대로 갖춰 입어야 안전사고 피해를 줄일 수 있다. - 동아일보DB 각종 과학실험 연구실에서의 사고 발생 때 신속한 대응 ... 사고유형에 대하여 사고 대응 시나리오 작성 - 과부하로 인한 화재발생, 위험
기계
사용에 따른 손가락 상해 등 10가지 유형 ... ...
더 튼튼하고 더 친환경적인 시멘트 나왔다
2014.09.29
있다고 설명했다. 또 분자 수준에서 최적의 구조를 설계한 덕분에 이렇게 만든 시멘트는
기계
적 내성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펠렌 교수는 “내성이 강하다는 점에서 이 시멘트가 다양한 분야에 쓰일 수 있을 것”이라며 “건설 현장에 쓰일 수 있는 수준으로 발전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 ...
운전하면서 전기 만든다
2014.09.24
원리를 이용해 전기를 만드는 신개념 풍력발전장치를 개발했다. 김호영 서울대
기계
항공공학부 교수팀과 박종진 전남대 고분자융합소재공학부 교수팀은 KAIST, 삼성종합기술원과 공동으로 자동차가 달릴 때 지붕에 흐르는 바람을 이용해 전기를 만드는 발전기를 개발해 ‘네이처’의 자매지인 ... ...
몽골에 한국 하늘 감시하는 ‘매의 눈’ 설치
2014.09.23
광학 감시 시스템이다. 관측계획의 수립부터 관측결과 분석까지 전 과정을 전자동
기계
제어장치를 이용해 완전 자동으로 진행해 운영 효율을 높였다. 관측자료 수신·처리, 관측소 운용 등 전 과정은 대전 천문연에서 무인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다. 미래부와 천문연은 몽골 관측소를 ... ...
전자섬유, 세탁기 넣고 돌려도 OK
2014.09.05
밝혔다. 지금까지 잘 늘어나고 피부에 붙일 수 있는 바이오전자센서들이 개발됐지만
기계
적으로 약해서 떼고 붙이기를 반복하거나 세척하는 과정에서 쉽게 망가지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은 전자센서를 0.005mm 두께로 매우 얇게 만든 뒤 잘 늘어나는 천에 인쇄하는 방식으로 전자섬유 센서를 ... ...
최만수 서울대 교수, 한국인 최초 국제에어로졸기구 회장 선출
2014.09.05
서울대
기계
항공공학부 교수가 한국인 최초로 국제에어로졸 기구(IARA)의 회장으로 선출됐다. 국제에어로졸 기구는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2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제9차 국제에어로졸 학술대회에서 최 교수를 신임 회장으로 선출했다. 이 기구는 초미세 먼지 관련 환경오염과 사스와 같은 ... ...
로켓 소녀에서 국가 안보 지킴이로
동아사이언스
l
2014.09.02
학생회 활동 등에도 빠지지 않고 더 열심히 학교 생활을 했다.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기계
공학 열유체 전공을 마친 송 연구원은 대다수의 여성 과학자들이 택하는 국공립연구소나 대학이 아닌 기업을 택했다. 실질적인 결과물을 바라는 민간 기업에서 본인이 연구 결과를 바로 실험하고 싶었기 ... ...
세상에서 가장 가는 ‘금바늘’
2014.08.27
미세한 신경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간질이나 파킨슨병 환자의 뇌 전기 치료, BMI(뇌-
기계
연결장치) 기술 개발, 사지마비환자의 신경연결기법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을 걸로 기대된다. 김봉수 KAIST 화학과 교수팀은 단결정 금 나노선을 이용해 세계에서 가장 가는 뇌신호 측정용 ... ...
이전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