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 노트]새로운 태양을 기다리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핵융합 발전은 지구에 무한한 에너지원인 태양이 하나 더 생기는 엄청난 일입니다. 2018년 타계한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는 지구가 당면한 가장 큰 위험 중 하나로 기후변화를 꼽으며, 최고의 해법은 핵융합 에너지를 통해 친환경 에너지를 얻는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죠. 아직까진 그 누구도 ... ...
- [한페이지 뉴스] 뉴스페이스 코리아 업리프트, 우주 산업의 ‘별’ 모였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일본 우주 벤처 ‘악셀스페이스’의 나카무라 유야 대표는 13일 기조연설을 통해 “2023년까지 지구상의 모든 지역을 하루 한 차례 촬영할 수 있는 마이크로위성 네트워크인 ‘악셀글로브(AxelGlobe)’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드론 택시에 들어가는 전기항공기용 배터리 모듈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 ...
-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국산? 멸종위기 구상나무를 구하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시작한 나무가 뒤늦게 닥치는 추위로 피해를 입는 것이다. 한편 국립생태원에서는 2015년부터 구상나무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와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 예로 구상나무 주변 기후가 고온, 건조, 고농도 이산화탄소(CO2) 상태로 변할 때 구상나무의 유전자 ...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열중했다.김 부장은 “한국의 핵융합 기술 역사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 비해 수십 년 이상 짧지만, 훌륭한 연구원들과 뛰어난 장치 덕에 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까지 기술 수준이 성장했다”며 “미래 에너지원인 핵융합 발전을 상용화하기 위해 KSTAR가 해야 할 역할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 ... ...
- [인포그래픽] 핵융합 에너지가 도시를 밝히기 까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단계로 이어진다.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KSTAR)부터 핵융합 발전소가 건설되기까지 약 50년이 걸릴 것으로 예측되는 초장기 프로젝트다. 각 연구 과정에서 필요한 장치의 특징과 중점적 연구분야 등을 알아봤다 ... ...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물러나고 새로운 세대가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그들이 바로 현재 청소년들이죠. 지금까지 선배 연구자들이 이뤄낸 성과를 바탕으로, 핵융합 에너지의 상용화는 똑똑하고 창의적인 미래 세대의 연구자들이 완성해 나가주길 바랍니다.지금도 잊혀지지 않는 한 초등학생의 질문이 있습니다. ... ...
- 세계 상위 0.1% AI 고수를 만나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AI가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비로소 빛을 보는 것 같다”고 말하는 그가 지금까지 참가한 대회의 수는 무려 44개다. 1년에 평균 15개 대회에 참가해 우수한 성과를 거둔 셈이다. “알고리즘 개발에 고집은 통하지 않는다” 그중에서도 가장 기억에 남는 대회는 지난해 5월부터 8월까지 영국 연구 프로그램 ‘위상 공간에서의 ... ...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7m, 무게가 227㎏인 위성을 60개씩 발사하고 있다. 전체 위성군 완성 기한은 완화돼 앞으로 9년간 총 1만 2000대의 위성을 발사하며 빠르면 2021년 후반부터는 실제 인터넷 서비스도 제공하겠다는 목표다. 예상되는 연간 수익은 300억 달러(한화로 약 35조 6000억 원) 이상이다. 스페이스X는 9월에 "첫 번째 ... ...
- 2020 이그노블 팩트체크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없는 우주’로로 나뉩니다. 현재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허블우주망원경으로는 약 134억 년 전까지의 우주를 관측할 수 있습니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우주망원경으로 볼 수 있는 우주를 기준으로 해답을 내놓았습니다. 별이 모이면 은하를 이룹니다. 따라서 우주에 있는 별의 총 수는 ‘은하 ... ...
- [융복합파트너@DGIST] 스테레오 카메라로 자율주행차 가성비 높인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2019.89679703일 만에 논문 좌절, 자율주행 연구는 속도전임 교수는 이제 부임 1년차가 된 1989년생 ‘젊은’ 교수다. 학부와 석사, 박사과정을 쉬지 않고 졸업하고,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에서 6개월간 근무한 뒤 바로 DGIST에 부임했다. 이렇게 쉴 새 없이 달려온 이유가 뭘까. 그는 “자율주행 기술은 그 ... ...
이전356357358359360361362363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