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위성은 지구로 운석을 보내기가 쉽지 않다는 점을 들어서 과학자들은 우리가 온 곳으로 화성을 지목했어요(인간들은 생각보다 똑똑한 것 같아요, 소곤소곤). 제가 우주 공간을 떠돌 때의 일인데요, 저 멀리 목성 위성에서 튀어나온 암석이 목성으로 빨려 들어가더라고요! 수성이나 금성에서 암석이 ... ...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예정이라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과학동아 2014년 3월호 기획 ‘핵 쓰레기, 더 이상 버릴 곳이 없다’ 참조).송명재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회장은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2016년부터 사용후핵연료의 포화가 시작되는 원전이 생길 예정”이라고 말했다. 원전끼리 사용후핵연료를 서로 나눠 ... ...
- [life & tech] 거대한 빛을 체험하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만지고 느낄 수 있는 체험형 전시물 비율이 국립과학관 중 가장 높은 수준인 80%다. 다른 곳에서 맛보기 힘든, 공감각적 경험을 할 수 있다. 루체리움을 대표하는 체험전시물은 단연 2층 상설전시관에 있는 ‘소리빛’. 미디어아티스트 전병삼 작가가 2012년에 만든 미디어아트 작품이다. 작은 극장처럼 ...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문제가 해결된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 뇌세포의 미세소관을 양자 중첩이 일어나는 곳으로 지목했다. 여기에 대한 주류학계의 반응은 냉랭하다. 양자 중첩이 인간의 의식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한다는 어떤 실험적 증거도 아직 없기 때문이다. 생명체 내에서 결맞음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세계적인 곤충박사 ‘징그러 몬만지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곤충박사 ‘징그러 몬만지네’와 함께 탐사를 떠났다. 사람의 손이 한 번도 닿지 않은 곳이라 아직까지 발견하지 못한 새로운 곤충을 찾기 위해서였다.“여기에 사는 곤충들은 아마 한 번도 본적이 없는 녀석들일 거야.어쩌면 머리가 뛰어나게 좋은 녀석이 있을지도 모르지.”미션1 잎을 잘라 나르는 ... ...
- 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한다. 만약 교수와 뜻이 맞지 않으면 과감히 떠나라. 그리고 뜻을 펼칠 수 있는 새로운 곳을 찾아서 열심히 일해야 한다.마찬가지로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먼저 찾아라. 그래야 오랫동안 열심히 일할 수 있다. 만약 그 일을 찾았다면, 나중에 후회하지 않을 정도로 모든 것을 바쳐라.크기가 작은 ...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몰두하면 ‘작업기억’이라고 하는, 컴퓨터로 치면 램 같은 기억 공간이 가득 찬다. 이곳을 비워야 다음 작업을 할 수 있는데, 이리저리 산만하게 수많은 작업을 하게 되면 이 과정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김성찬 서울탑마음클리닉 분당클리닉 원장은 “시각 자료를 보고 난 뒤에는 뇌에 잔상이 ... ...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누가 누군지 구별했다. 몸에서 가장 많은 정보를 담고 있고, 다양한 특징이 숨어있는 곳이 바로 얼굴이다. 독일 프라운호퍼 디지털미디어기술연구소 알렉산더 루스 연구원은 2013년 8월 침팬지 얼굴인식 프로그램을 만들었다.얼굴에서 눈, 코, 입의 위치를 파악하고 점과 주름을 인식해 개체를 ... ...
- 봉 지아, 브라질 월드컵!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월드컵 기간 동안 베이스캠프가 있는 이과수에서 머물 예정이에요. 그런데 이곳은 러시아와 첫 번째 조 예선 경기를 치를 쿠이아바와 기후가 많이 달라요. 6월에 쿠이아바는 기온이 약 23.5℃로 따스하고 습도도 65%로 서울과 비슷하지만, 이과수는 기온이 15℃로 서늘하고 습도도 85%로 높지요. ... ...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수학동아 l2014년 11호
- 폭로해 세계적으로 논란이 됐다. NSA가 특수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인터넷 기업 9곳의 서버에 접속해 일반인의 개인정보를 무차별적으로 수집했다는 내용이 실려 있었기 때문이다.이후 NSA에서 일하고 있는 수학자들의 윤리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영국의 수학자 톰 레인스터와 미국의 수학자 찰스 ... ...
이전356357358359360361362363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