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미
관심
호기심
취미
감흥
취향
잼
스페셜
"
흥미
"(으)로 총 41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물에서 D/H비율이 비슷하다는 건 두 물이 같은 기원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흥미
롭게도 태양의 D/H비율(태양풍에 포함된 물분자를 분광학적으로 측정)은 0.00002로 지구의 7분의 1에 불과하다. 따라서 현재 바닷물이 지구 형성 과정에서부터 존재한 물이었다고 보면 수소의 동위원소비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
2015.02.02
회복 때문이 아니라 커다랗고 위험하면서도 멸종 위기에 몰린 맹수류에 대한 사회의
흥미
때문이라는 것. 1995년 옐로스톤국립공원에 늑대가 복원된 뒤 엘크 개체수(왼쪽)와 늑대 개체수(오른쪽)의 변화 추이. 늑대복원이 생태계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③] 장애인 돕는 인공 팔다리
2015.01.20
80년대 이전 개봉됐던, 많은 영화를 보면 그 시절 예상했던 현재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어
흥미
로울 때가 많다. 시간여행을 그린 영화 ‘백투더 퓨쳐2’에는 2015년 현재의 모습을 그리고 있는데, 영상 통신 기술이나 각종 미디어 환경에 대한 묘사는 현재 기술이 영화 속에서 상상했던 것보다 더욱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힉스입자 아이디어를 추가한 논문을 ‘피지컬리뷰레터스’에 보낸 것이다.
흥미
롭게도 이해 7월 구럴닉은 학회 참석차 이탈리아 코모호수에 머무르던 스승 길버트를 방문했다. 당시 이들이 서로 진행 중인 연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면 아직 ‘기회’가 있었을 텐데 그저 가족끼리 담소만 ... ...
국내 최초의 노벨화학상 후보에 오르다
IBS
l
2014.12.16
찍은 자신의 사진이 들어가 있는 명함을 보여주며, "2009년 '네이처'에 논문이 실릴 때
흥미
있는 논문으로 뽑혔는데, 저자 인터뷰를 했던 기사에 나갔던 사진"이라고 설명했다. 2009년 2nm 두께의 나노판 제올라이트를 합성해 '네이처'에 발표한 뒤, 2011년에는 큰 구멍이 있는 육각기둥 벽에 작은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받아드릴 수 없다고 하더라도 아무튼 술이 센 사람들이 있는 건 사실이다. 그런데
흥미
롭게도 숙취와 알코올 중독은 반비례 관계가 있다고 한다. 즉 숙취가 심한 사람일수록 알코올중독에 빠질 위험성은 낮다고. 워낙 고통스럽다보니 ‘내가 다시 술을 마시면 성을 간다’며 결심을 하고 ... ...
빅데이터 덕분에
흥미
진진해지는 세상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2.11
산업현장에서의 발전은 당연하고 자연과 우주에 이르기까지 온갖 분야에서
흥미
진진한 일들을 겪게 될 것이다. 빅데이터 기술을 '미래의 창'이라 부르는 이유다 ... ...
영화 속에서 나타난 바이러스와의 전쟁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2.11
그 특성이 에볼라를 연상시켰고, 전체적인 내용에 음모론이 내재되어 보는 이들의
흥미
를 유발시켰다.〈컨테이젼〉은 바이러스의 전파 과정을 가장 사실적으로 그려냈다고 평가 받는다. 테리 길리암의〈12 몽키즈(1995)〉도 대표적인 바이러스 영화다. 12 몽키즈라는 조직이 퍼뜨린 바이러스에 의해 ... ...
[이달의 역사] 입 밖으로 나온 소리, 녹음 기술로 주워 담는다
KISTI
l
2014.12.08
목소리를 지금도 또렷하게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정작 에디슨은 축음기를 발명한 이후
흥미
가 시들해졌다. 신기하고 재밌지만 별 쓸모가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1886년 치체스터 벨(Chichester Bell)과 찰스 테인터(Charles Tainter)가 은박지 대신 밀랍을 씌운 원통을 사용한 ‘그라포폰(graphohone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사회적 배제 논문의 제1 저자인 우충완 씨는 필자에게 보낸 e메일에서 “(이런 연구의)
흥미
로운 아이디어를 미디어와 많은 연구자들이 심각하게 받아들였고” 그 결과 “정책 결정에도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여겨지기 시작하는 단계에 이르렀다”고 오늘날 상황을 설명했다. 실제로 미디어의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