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정보"(으)로 총 4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창조과학부 핵심은 ICT아닌 BMT돼야”동아사이언스 l2013.02.25
- 융·복합 연구를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가 그리는 ‘BINGO’ 시스템은 바이오(B)와 정보통신(I), 나노과학(N)의 기초연구영역이 연구병원 중심으로 함께 가(GO together) 의약품이나 의료기기, u-Health, 신의료기술 등의 성과를 내는 것이다. ●한국엔 연구중심의 병원 없다 우리나라 보건의료 분야 ... ...
- “생명과학 강국 만들기, 전담부처가 필요해”동아사이언스 l2012.12.25
- 아닐까요?”(선경 고려대 의대 교수) “맞습니다. 생명과학분야는 범위가 넓다보니 정보과학기술분야처럼 일원화 돼 있지 못해요. 국가 정책을 책임지고 운영할 수 있는 전담기관이 반드시 필요합니다.”(김대경 중양대 약대 교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이하 정책센터)는 대선 다음날인 20일 서울 ... ...
- [바이오선진화!]“벤처 많아야 바이오 벤처 경쟁력 늘어”동아사이언스 l2012.07.23
- 한다고 박 CTO는 말했다. 마지막으로 박 CTO는 연구자와 창업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모여 정보를 교류하는 ‘기술 장터’가 활성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창업이 100% 성공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5%의 창업 성공률을 2~30%로 끌어올릴 수는 있습니다. 창업에 필요한 각 단계의 성공률을 높이면 전체 ... ...
- “국내 바이오벤처, 산업화 연구의 ‘프로’가 돼야”동아사이언스 l2012.07.09
- 분자 진단을 이용하면 질병을 초기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대량의 분자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기계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진=오가희 기자 solea@donga.com “스티브 잡스는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가 있어도 팀이 꾸려지지 않으면 프로젝트를 시작하지 않았답니다. 아이디어만으로는 ... ...
- “순수 과학자 위한 ‘안정된 직장’ 필요해”동아사이언스 l2012.07.04
- “한미 FTA 발효로 미국 진출을 모색하는 한국 기업에게는 보스톤 바이오산업에 대한 정보를 주고, 이 지역에 한인 생명공학 인재들은 다양한 채용 기회를 엿보는 계기가 됐을 것”이라고 행사의 의미를 평가했다. 강 회장은 해외 젊은 과학자가 국내로 돌아가면 앞선 연구 경험을 전수하는 등 한국 ... ...
- “바이오 강국 위해선 아시아 똘똘 뭉쳐야”동아사이언스 l2012.07.03
- 경우가 많은데, 그러면 이미 지나간 게 많다”며 “많은 경쟁자를 뚫고 살아남으려면 정보가 필요한 만큼 한국 정부가 자주 미국에 와서 사람들은 만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용환 박사는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나, 실험할 수 있는 사람 등 좋은 연구를 할 수 있는 사람이 한국에 못 ... ...
- “구슬도 꿰어야 보배…바이오 인재도 마찬가지”동아사이언스 l2012.07.02
- 생겨야 할 전임상과 임상 분야에서 전문가를 키우고, 변호사·변리사도 있어야 한다. 정보 네트워크를 위한 인문사회과학자들도 대거 BT 쪽에 들어와야 한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 5~6년 정도 더 지나면 BT도 기간산업으로서 첫 발을 디딜 것으로 기대된다. ※ 이 좌담회 시리즈는 ... ...
- 패러다임 전환기 맞은 세계 바이오산업…우리나라에는 ‘호기’동아사이언스 l2012.07.01
- 세포만 선택해 전달되는 나노입자다. 이 입자가 암세포에 도달하면 암을 유발하는 유전정보전달물질(RNA)를 분해시킨다. 바이오니아가 2006년 개발한 새미알앤에이를 활용하면 ‘표적 항암 신약’을 개발할 수 있다. 박한오 바이오니아 대표는 “2001년 질병을 일으키는 단백질의 작용을 막는 RNA간섭 ... ...
- “산학연 포괄 지원 있어야 바이오산업 성공한다”동아사이언스 l2012.06.26
- 지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국가 정책을 통해 과학기술자와 기업인 사이에 필요한 정보소통 창구를 만들어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중기청, 과기인 지원도 양 국장은 “중기청은 철저한 ‘산업체 지원’ 기관이며, 그 중에서도 산업분야 연 사업비 5억원 이하, 사업기간 3년 이하로 ... ...
- “세계적인 제약기업과 병원 등 바이오 분야의 ‘선수’가 필요합니다”동아사이언스 l2012.06.12
- △활짝 열린 바이오의약품 시장을 주도할 세계적인 제약기업 필요 △병원의 축적된 임상정보를 R&D로 이어가는 시스템 필요 안도걸 국장은 1986년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학부 1988년 서울대학교 정책학과 석사 2006년 미국 하버드대 행정학과 석사 2002년 3월~2005년 7월 기획예산처 민간투자제도과장 2005년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