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스페셜
"
전기
"(으)로 총 1,307건 검색되었습니다.
KAIST가 뽑은 미래혁신 운송수단은
동아사이언스
l
2021.11.26
일상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혁신적 설계와 가격경쟁력을 고루 갖춘
전기
상용차라는 평가를 받았다. 지난해 1회 시상식에서 국내 자동차 브랜드 출품작이 모두 탈락했다. 2회 때는 현대자동차가 2개 부문에서 수상하는 성과를 거뒀지만 올해에는 다시금 국내 자동차 브랜드 출품작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고전역학에서 양자역학으로
2021.11.25
행성들 마냥 핵 주위를 빙빙 돌아야 하는데, 19세기에 완성된 고전 전자기학에 따르면
전기
를 띤 입자가 이처럼 원운동을 하면 전자기파를 방출해야 한다. 그 결과 전자는 계속 에너지를 잃어버리게 되고 공전반경이 점차 줄어들어 결국에는 원자핵으로 추락하고 만다. 또 이 과정에서 방출되는 ... ...
[과학게시판] 제1회 소셜테크페어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1.25
연구 주제는 정부출연연구기관 포털(https://portal.re.kr/)로 공유될 예정이다. □ 한국
전기
연구원(KERI)이 24일 창원본원에서 ‘HVDC 국제공인 시험인증 기반구축 사업 착공식’을 개최했다. HVDC는 발전소에서 생산된 대용량의 전력을 고압 직류로 변환해 원거리까지 전송하는 기술이다. 선로 손실이 매우 ... ...
[매드사이언티스트2021]육군 "UAM 한반도 도시지역 작전서 유용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1.11.24
한화시스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과 한 팀을 이뤄 2019년부터 유무인 겸용
전기
수직이착륙기인 ‘오파브(OPPAV)’를 개발하고 있다. 유무인 겸용 방식 또한 군사적 활용도가 높다는 분석이다. 도 차장은 “UAM은 고속에서 진동 등 처리하기 힘든 힘이 발생하고 회피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도 많은 ... ...
[랩큐멘터리]단 2g만으로 운동장 덮는 물질로 신소재 혁명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24
예측해 재료를 설계하고 재료의 물성과 구조간 상관관계를 연구해 에너지 저장 및
전기
화학 촉매 산업에 적용하려는 것이다. 박 교수는 “MOF에 대한 엑스레이 구조 분석을 통해 물질의 정확한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게 굉장히 매력적”이라며 “실제로 새롭게 디자인해서 만든 물질이 어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멀고 힘들 수밖에 없는 탄소중립의 길
2021.11.24
화학적으로 환원시킬 수 없다. 수소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인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전기
를 생산하는 일도 만만치 않다. 진정한 의미에서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발전 수단은 공상 과학 영화에나 등장하는 환상일 뿐이다. 친환경으로 알려진 태양광·풍력의 극심한 변동성·간헐성을 극복하는 ... ...
[과기원은 지금] 김일두 KAIST 교수팀, 맥신·물 이용
전기
발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1.24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해당
전기
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친환경 발
전기
도 개발했다. 연구팀은 사물인터넷(IoT)와 착용형(웨어러블) 기기 분야에 활용이 가능한 원천 기술을 확보한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23일 자율주행차 인프라 핵심 요소인 차량사물통신(V2X) ... ...
[매드사이언티스트2021]2025년 목표 레이저 대공무기 개발 중…2030년대 탄도탄 요격 가능해
동아사이언스
l
2021.11.23
만들어 레이저가 집중되지 않고 흩어지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주한 서울시립대 전자
전기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선진국은 어느 정도 공격용 레이저 개발이 거의 완료됐다고 생각하며 어떻게 막아낼 것인가 까지 연구개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군사용 레이저 학회에서는 최근 우주쓰레기 ... ...
[한 토막 과학상식]자이로스코프 정확도 4배 높이는 이론
동아사이언스
l
2021.11.23
자이로스코프는 회전체의 운동을 관찰하는 실험기구로 처음 개발됐다. 최근에는 미세
전기
기계시스템(MEMS) 기술을 적용해 초소형 전자부품으로도 생산된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에 쓰이고 있다. 자이로센서 중에서는 빛이 간섭계에서 갈라지는 중 간섭계가 회전하면서 갈라진 빛 사이 ... ...
미국 네 번째 민간 우주로켓 기업 탄생…'아스트라' 발사체 궤도 진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11.22
보도했다. 아스트라가 개발중인 발사체는 길이 13m, 지름 1.32m의 2단 발사체다. 1단에는
전기
펌프 방식을 활용한 액체인진 ‘델핀’ 5기가 장착돼 약 144kN의 추력을 낸다. 이날 로켓 3.3은 이륙 약 9분 후 목표 고도인 500km에 초속 7.61km 속도로 도달해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 발사체에는 미국 국방부의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