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
신체
육체
인체염색체
염색체
몸채
사람몸
스페셜
"
인체
"(으)로 총 900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 자연에서 캐낸 생체 소재가 가져온 의료혁신
동아사이언스
l
2021.01.19
활용되는 것을 보는 것이 가장 큰 기쁨일 것”이라고 말한다. 분자생명공학연구실에서는
인체
에 사용할 수 있는 혁신적인 생체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의료 분야와 약물, 세포 전달 같은 제약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인류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포스텍 분자생명공학 연구실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백신, 코로나19에 맞서는 인류의 신무기
2021.01.19
백신은 후천면역의 기억이라는 특징을 이용한다. 즉 특정 병원체의 전부 혹은 일부를
인체
에 사전 노출시켜, 감염이나 증상 없이 면역학적 기억이 생기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코로나19 과학 리포트 1]의 Vol.8과 Vol.9에 기술되어 있다. 다음 편에서는 백신의 종류와 각 백신별 특징에 ... ...
[팩트체크] 월성 원전 삼중수소 논란 핵심 쟁점 뜯어보니
2021.01.18
전문가들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의 오염수 방류 시 함께 방출될 삼중수소에 대해서도
인체
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했다. 정 교수는 “후쿠시마 원전에 있는 삼중수소의 총량은 3g이 채 안 된다”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태평양에 방류한 뒤 해류를 따라 한반도에 도달한다고 해도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면역 체계, 돌연변이 방어할 수 있나?
2021.01.15
후천면역의 양대 축인 T 세포를 활성화한다. 바이러스 돌연변이가 이 같은 여러 겹의
인체
면역 무기를 극복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RNA기반 백신, 플랫폼 활용한 ‘업데이트’ 용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단기간에 백신을 무력화할 만큼 진화할 것 같지는 않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돌연변이가 ... ...
WHO 조사팀 中 우한 도착…코로나19 사태 1년만에 과학적 기원 찾기 나서
동아사이언스
l
2021.01.15
면역글로불린M(IgM)과 IgG 항체 검사를 다시 받고 있다. IgM과 IgG는 바이러스에 먼저 결합해
인체
세포 감염을 차단하고 다른 면역세포를 불러와 바이러스를 공격하도록 하는 항체로 IgM은 항체 IgG 다섯 개가 별 모양으로 연결된 형태다. 이와 관련해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 ...
코로나19 폐렴의 '진짜 위험', 느린 확산 뒤에 숨겨져 있다
연합뉴스
l
2021.01.15
항생제 집중 치료를 하면 이런 폐렴은 대개 위중 단계까지 가지 않고 통제된다. 물론
인체
의 면역 반응도 염증 억제에 도움이 된다. 그런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에게 생기는 폐렴은 확산 패턴과 속도가 전혀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우선 코로나19 폐렴은 다른 ... ...
[소재의 미래]⑼ 고압 송전선 감시, 소재에서 돌파구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3
에너지를 얻는 전략이다. 전류가 흐르는 도체는 자기장이 발생한다. 자기장은
인체
에 해롭거나 전자기기 오작동을 일으켜 줄여야 할 대상으로 여겨지나 에너지 공급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문제는 선로에서 나오는 자기장이 작아 충분한 전력을 얻기 어렵다는 점이다. 코일을 감아 자기장에서 ... ...
코로나19 백신 접종 간격 연장 두고 의견 갈린 과학계
동아사이언스
l
2021.01.12
코로나19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유전정보를 담은 mRNA를 지질로 이뤄진 나노입자로 감싸
인체
에 주입한다. 체내 세포가 이 유전정보를 이용해 코로나19 단백질을 만들면 면역세포가 여기에 대응할 항체를 만든다. 임상시험에서는 mRNA 백신의 1, 2차 접종 간격이 한 달 이내였기 때문에 현재 1차 ... ...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주시할 필요는 있지만 과민대응할 필요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1.01.12
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영국에서 발생한 변이바이러스 ‘B117’은 바이러스가
인체
숙주에 침입할 때 활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과 외피 단백질 부근에 집중돼 있다는 점을 눈여겨 봐야 한다는 게 안 교수의 설명이다. 염기 변이로 아미노산 17개가 변이를 일으켰는데 이 중 11개의 아미노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19와 장내 미생물
2021.01.12
넘어오므로 이를 소화해 대사산물을 내놓는 미생물(Ruminococcus 등)이 쉽게 증식해
인체
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사이언스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직접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