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정
기획
의도
설계
스케줄
일정
구상
스페셜
"
계획
"(으)로 총 400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양하고 넓어진 BT… 정부 부처간 연계가 반드시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2.04.11
수도 있다. ▽ 이영식 위원장=매번 5~10년을 내다보고 생명공학육성기본
계획
을 세우지만
계획
의 기준은 ‘현재’로 놓는다. 빠르게 변하는 과학 발전에 맞춰 체계적으로 미래 기술을 예측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 이은영 과장=부처간 영역을 정하는 것은 이제 한계에 왔다. 바이오테크놀로지가 ... ...
“단기 성과만 봐서는 바이오산업 성장 어렵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3.26
많이 창출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박종호 국장의 ‘이것만은 꼭!’ △ 단기
계획
과 장기
계획
을 함께 고려 △ 부가가치가 높은 분야를 중점으로 육성 △ 산림자원 분야 전문 인력 양성 필요 박종호 국장은 1981년 서울대학교 임학과 1997년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임업정책 석사 졸업 2008년 충남대학교 ... ...
“한반도의 배꼽, 동북아 제일의 바이오 허브 만들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3.19
같은 보건의료분야 연구지원을 위한 국가 연구센터도 차차 건립할
계획
이다. 60여 개의 첨단 제약·의료기기 업체도 입주할 예정이다. 그는 “오송에 건립된 6대 보건의료 국책기관과 5대 바이오메디컬 시설, 60여 개 첨단바이오기업이 연계하면 세계적 수준의 바이오클러스터가 구축된다”며 ... ...
생명공학 발전은 ‘네트워크’에서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12.03.07
연구비를 ‘그랜트’ 형식으로 지원한다. 그랜트 형식의 지원이란 기초연구개발에 대한
계획
이 우수할 경우 결과에 관계없이 연구비를 투자하는 시스템이다. 양 단장은 “그랜트 지원 시스템은 연구자들이 장기간 연구에만 전념할 수 있게 도와준다”며 “단기간의 성과로 연구비가 수시로 ... ...
“바이오 연구, 재구조화로 산업적 성과 이끌어 내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2.13
과정이 느려 병목 현상이 발생한 겁니다.” 2007년부터 시작된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
계획
‘Bio-Vision 2016’은 지난해 1단계를 마치며 바이오 분야 논문 세계 11위라는 성적표를 내놓았다. 올해부터 시작할 2단계에는 실험실의 연구를 실제 산업으로 잇는 노력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기초원천 ... ...
“‘원숭이’가 우리를 살릴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1.24
어류 등 자연환경에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안전성연은 올해부터 이 분야 연구를 시작할
계획
이다. 이미 경남 진주에 ‘환경독성연구소’를 건립해 지난해 말 준공검사를 완료했다. 올 봄에 완공식을 진행할 예정이다. 지하1층 지상 3층, 건설면적 2000평(약 6612㎡) 규모다. 이 소장은 “대전 본원의 ... ...
“한반도 기후 아열대화는 위기이자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11.12.26
온실가스 발생을 44% 감축할 수 있는 물걸러대기를 현재 50%에서 70%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
”이라고 밝혔다. 물걸러대기는 논을 항상 담수상태로 유지하지 않고 며칠간 물을 뺀 다음 다시 관개하는 논농사 방식이다. 이와 더불어 축산업에서는 소가 장에서 음식물이 발효시킬 때 메탄가스 배출이 적은 ... ...
“암덩어리에 BT발전 열쇠가 있죠”
동아사이언스
l
2011.12.13
국내 최대 규모다. 다른 인체자원과 협력해 내년 까지 20만 건 이상의 인체자원을 확보할
계획
이다. 김 교수는 “바이오뱅크 사업을 활성화 시키려면 인체자원을 모두 통합해 관리하고 함께 사용하는 체제를 조속히 만들어야 한다”며 “특히 자신의 신체를 잘 기증하지 않는 사회 분위기를 극복해야 ... ...
“바이오도 양보다 질로 K-POP처럼 세계 흔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12.05
정보, 기기 분야가 기본
계획
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생명과학 최정점에 있는
계획
안인 만큼 IT 정보 분과도 포함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춘근 강원대 교수도 "중복을 피할 수 없다면 각 부처 공동의 로드맵을 만들어 간극을 줄여가라"고 제안했다. 박준기 충북대 교수는 융합을 위해 ... ...
“국내 신약개발, 사업화 역량만 키우면 승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11.01
그것이다. 그리고 오송과 유사한 형태의 의료복합단지는 대구에도 들어설
계획
이다. 두 센터의 차이점을 묻는 질문에 센터장은 “오송은 바이오, 생명과학을 기본으로 사업을 벌인다면 대구는 화학기술을 기본으로 하는 ‘합성신약’에 주력하는 점이 다르다”며 “대전 대덕연구단지 인근에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