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울철
동계
한천
동기
스페셜
"
겨울
"(으)로 총 46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양이 혓바닥이 까끌까끌한 이유
2018.12.25
부피는 3%에 불과하다. 나머지 97%는 공기인데, 이런 구조 덕분에 단열(보온)이 잘 돼
겨울
에도 체온을 잃지 않고 버틸 수 있다. 대신 혀로 핥을 때는 털이 쉽게 눌려 털층의 두께가 평균 37㎜에서 불과 1.2㎜로 줄어든다. 그 결과 길이 2.3㎜인 돌기가 피부까지 닿고 침이 털 뿌리까지 골고루 전달될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
2018.12.18
예방접종주사를 맞을 때 코에 MD3603 AAV 스프레이를 뿌려주면 비강의 세포에 침투한 AAV가
겨울
한 철 동안 조합항체를 생산해 독감 바이러스가 들어와도 바로 퇴치하기 때문이다. AAV가 사람의 면역세포를 대신해 더 효과적인 항체를 만드는 셈이다. 물론 이 기술이 사람에 적용될 때까지는 갈 길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몸통 검댕 나노입자의 탄생
2018.12.05
나흘은 미세먼지’라는 신조어에서는 ‘차라리 추운 게 낫다’는 뉘앙스로 바뀌었다.
겨울
철 미세먼지는 서풍의 영향과 중국의 난방에서 기안한 영향이 크지만 한가롭게 남의 탓만 할 수는 없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대응방안을 속속 마련하고 있다. 지난주 환경부는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열정에 도리어 먹히다
2018.11.10
보이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눈 때문에 자전거를 타는 것이 위험한
겨울
에도 계속해서 자전거를 타는 모습을 더 많이 보였다. 강박적 열정이 장기적으로 큰 해가 되는 부상 위험를 높였다는 것이다. 도박을 단순히 즐기는 정도가 아니라 ‘중독’에 빠진 사람들 역시 그렇지 않은 ... ...
[과학게시판] KAIST 중소기업 사업화 유망기술 설명회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1.06
4년 연속 세계 3위를 기록했다. ■ 국립과천과학관이 ‘2018년 창의과학아카데미
겨울
학기’ 수강생 846명을 모집한다. 창의과학아카데미는 청소년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재미있는 주제를 선정하고 다양한 실험과 실습을 통해 과학 원리를 학습하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팔 잘린 사람은 손목 잘린 아픔을 모른다
2018.09.08
때로는 최악의 공감능력을 보이는 현상이 나타난다(Ruttan et al., 2015). 연구자들은
겨울
에 찬 물에 들어가는 경기대회에 참가했거나 참가 예정인 사람들을 대상으로, 원래 매우 참가하고 싶어 했지만 막상 찬 공기가 피부에 닿으니 갑자기 싫어져서 경기를 포기한 사람이 얼마나 한심하고 ... ...
남북한은 면역력도 다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6.21
우리 몸 안에 들어가 질환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성 질환’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겨울
이면 찾아오는 독감 인플루엔자나 콧물감기의 주요 원인인 라이노바이러스, 장염을 일으키는 로타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등이다. 의료계에서는 남북의 의료 격차가 통일 이후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
2018.05.29
않았다. 지난해 봄과 가을 환절기에도 비염 증세는 없었고 올봄도 무사히 지나갔다. 지난
겨울
엔 운 좋게 감기도 걸리지 않았다. 밀가루 음식을 확 줄인 뒤 알레르기 비염 증세가 사라진 것이다! 물론 이런 결과를 토대로 “그동안 밀가루 음식 때문에 비염이 생긴 것”이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
2018.04.17
‘네이처’ 제공 필자는 지난해 이맘때 위산과다 증상이 재발해 두 달 넘게 고생했다.
겨울
동안 운동 부족에 감기몸살로 밥을 제대로 못 먹었더니 몸무게가 저체중 범주(체질량지수(BMI) 18.5 미만)로 떨어져 급한 마음에 식사량을 좀 늘렸다가 일주일 만에 탈이 난 것이다. 매일 아침 마즙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무는 어떻게
겨울
잠을 잘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4.14
알뿌리, 종자 등에 아브시스산이 많이 들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겨울
이 되고 식물이 빛에 노출되는 낮의 길이가 줄어들면 아브시스산과 해당 호르몬 수용체가 늘어나면서 반응이 증폭되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런 변화는 세포 사이 구멍을 막아 원형질 연락사가 통신을 중단시키는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