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된일
뉴스
"
힘든일
"(으)로 총 1,022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하루 만에 다시 300명 넘어…오늘부터 거리두기 격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거리두기 2단계를 앞둔 23일 오후 서울 마포구 홍대 앞 거리. 정부는 국내 인구의 절반이 밀집한 수도권의 코로나19 확산세가 심상치 않다는 판단에 따라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24일 0시부터 2단계로 상향 조정키로 했다. 연합뉴스 제공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일일 ... ...
불타오르네, 불타는 식탁과 초연한 남자
팝뉴스
l
2020.11.22
팝뉴스 제공 남자는 나무 탁자를 식탁으로 이용하려고 했다. 그런데 사진이 도저히 설명하기 힘든 상황을 담고 있다. 어떤 이유에서인가 탁자 주변에 불길이 타오르기 시작한 것이다. 어떤 일이 있었을지 종잡기 어렵다. 더 미스터리한 것은 남자의 반응이다. 아무렇지 않은 듯이 그 자리에 ... ...
불꺼진 사무실 홀로 돌아다니며 스스로 소독하는 똑똑한 ‘방역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0.11.22
김강건 KIST 선임연구원이 방역로봇을 소개하고 있다. KIST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방역작업과 소독을 자동으로 할 수 있는 방역 로봇이 개발됐다. 자외선(UV)소독과 소독약 분사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으며 자율주행과 인공지능(AI) 기술 적용으로 방역 ... ...
[코로나19 연구속보]코로나19 ‘잠재적’ 치료 가능 신약 화합물 발견
2020.11.18
미국 메릴랜드 의·약대 소속 과학자들이 코로나바이러스, 필로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잠재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신약 화합물을 발견했다. 사진 세계보건기구 갈무리 미국의 과학자들이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잠재적 치료가 가능한 신약 화합물을 발견했다. 지난 13일(현지시각) 미국 ... ...
독일 연구진 "번아웃되면 업무 스트레스 더 심해진다"
연합뉴스
l
2020.11.12
탈진 상태선 스트레스 대응력 크게 떨어져 종단 연구 48건·2만6천 명 분석…국제 심리학 저널에 논문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번아웃(Burnout) 증후군은 일 중독에 빠져 탈진 상태에 이르는 걸 말한다. 어떤 일에 몰두하다가 신체적·정신적 스트레스가 지나치게 쌓이면 무기력증, 불안감, 자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자가 트럼프와 싸워야 할 이유
2020.11.0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네바다주 헨더슨의 한 중장비 생산공장에서 유세를 마친 뒤 지지자 수천명의 환호를 받으며 박수치고 있다. AFP/연합뉴스 제공 “만약 내가 과학자의 말을 들었다면 우리는 지금처럼 급성장하는 경제 대신 엄청나게 침체에 빠진 경제를 가질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요거트와 노벨상
2020.10.22
올해 노벨화학상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의 작동 원리를 최초로 규명한 두 명의 과학자에게 수여되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이미 십여년 전부터 노벨상 수상이 당연하게 생각되던 분야였을 정도로, 생명과학의 판도를 바꾼 발견이다. 복잡한 분자적 기제를 제외하고 설명하자면, 크리스퍼 유 ... ...
질병청 백신 관련성 제기된 '아나필락시스'란 어떤 증상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10.21
항체인 이뮤노글로불린E(IgE)가 알레르겐과 반응하는 과정을 설명한 그림이다. 1. 알레르겐이 침입하면 2. IgE가 알레르겐에 결합한다. 이 때 일부는 비만세포(6이라고 표시된 빨간 세포) 표면에 붙어 있어 수용체(3)에 신호를 준다. 그 결과 4. 히스타민을 분비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킨다. 이 반응이 ... ...
ITER 7개국에 도전장 낸 작은거인 '스파크' 2035년 핵융합발전 불꽃 타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6
커먼웰스퓨전시스템즈(CFS)가 개발중인 핵융합로 모식도. CFS 제공. 미국 과학자들과 이들이 설립한 기업이 미래 청정에너지원으로 꼽히는 핵융합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핵융합로를 2025년 풀 가동한다는 야심찬 비전을 내놨다. 2025년 완공해 2035년 풀 가동을 목표로 프랑스 남부 카다라슈에서 건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 수상도 준비를 해야
2020.10.14
노벨상 수상자 발표를 앞두고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연구단장)가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면서 7일 오후 관악구 서울대 연구실 앞에 많은 취재진이 몰렸다. 사진은 연구실에 도착한 현택환 교수의 모습이다. 연합뉴스 제공 올해 노벨 과학상 수상자 발표는 유난히 떠들썩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