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외모"(으)로 총 3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 최초 로봇 호텔, 일본에서 오픈과학동아 l2015.02.18
- 계획이다. 일본 오카사대 연구팀이 개발하고 로봇 기업 코코로사가 만든 이 로봇은 외모는 어린 일본 여성을 닮았으며 현재 일본어, 중국어, 한국어 그리고 영어를 말할 수 있다. 호텔을 찾는 고객들은 얼굴 인식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숙박할 방에 출입한다. 물론 일반 키를 선택할 수도 있다. ... ...
- 짜게먹는 네 자매, 비만-고혈압 닮은꼴… 무서운 ‘습관 DNA’동아일보 l2015.01.30
- 불규칙하니 건강할 리가 있겠어요?” 정순영 씨(62)는 4자매 중 셋째다. 이들 자매는 외모뿐 아니라 사는 모습도 비슷하다. 이들 모두 젊은 시절 산후 조리도 제대로 안 하고, 하루 12시간 이상 일하며 생활전선에 뛰어들었다. 호남지방 출신인 네 자매 모두 젓갈이나 짜디짠 반찬을 즐겨 먹는다. ... ...
- 휴머노이드, ‘에이바’가 아닌 ‘헬렌’을 꿈꾸며…2015.01.26
- 나름대로 진실을 담고 있다는 생각도 든다. 소설이나 영화에 나오는 로봇보다 성능(외모와 지능)이 한참 떨어지는 휴머노이드라도 사람들의 정서를 건드릴 수 있는 단계에 와 있기 때문이다. ●로봇 대화 막으면 권리 침해라고 느껴 글 앞에 인용한 문구는 지난해 6월 일본 소프트뱅크의 손정의 ... ...
- “세계는 줄기세포 전쟁중… 미국에만도 연구팀이 1000개 이상”동아일보 l2015.01.26
- 단어로 영어를 구사해 알아듣기 어렵진 않았다. 하지만 때로 발음이 명확하지 않았다. 외모에서 드러나지만 미국 태생이 아니라 카자흐스탄 출신이다. 변방의 국가에서 세계 중심부로 와서 스타 과학자가 되기까지 걸어온 여정이 궁금했다. “소련연방 시절 카자흐스탄에서 태어나 고등학교까지 ... ...
- 북극곰이 줄고 있다, 정말로! 과학동아 l2014.12.10
- 북극곰이다. 사실 북극곰은 북극의 대표 동물도 아니고 곧 멸종될 종도 아니지만, 귀여운 외모(?) 때문인지 기후변화에 살 곳을 빼앗긴 대표 동물로 자리매김해 왔다. 그런데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후변화로 해빙이 녹으면서 실제로 북극곰의 개체 수가 빠르게 줄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2014.10.27
- 키도 필자는 고맙게 받아들이고 있다(선생님, 160은 넘었습니다!). 동아일보 DB 제공 외모를 따지는 게 천박한 짓이라지만 사실 키와 얼굴은 그 사람 인생에 결정적인 변수가 될 수 있을 정도로 중요한 게 현실 아닐까(남자에게는 키가 여자에게는 얼굴이 더 큰 비중으로). 정작 남자들은 ... ...
- 멍 때리다 떠오른 생각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2014.07.13
- 刊) 공대생은 대부분 남학생이다. 따라서 공대에 몇 안 되는, 게다가 이중에 외모가 돋보이는 여학생은 ‘공대 아름이’로 불리며 주목 받는다. 특히 컴퓨터공학 분야는 전기전자, 기계공학과 더불어 공대 중에서도 남학생의 비율이 높다. 이 분야의 대표 인물도 남성인 빌 게이츠, 스티브 ... ...
- 이제 유전자치료도 편집의 과학?2014.06.30
- 이런 편집의 힘이다. 운이 좋아 편집이 잘 된 유전체를 받으면 남과 비슷하게 먹고 자도 외모도 준수하고 오래 사는 반면 안 좋은 조합이면 사는 게 고생이다. 예를 들어 19번 염색체에는 APOE라는 유전자가 있는데 2, 3, 4 이렇게 세 변이가 있다. 그런데 APOE4 변이를 하나 갖고 있으면 ... ...
- 엑스맨은 돌연변이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4.06.08
- 가치 판단의 문제로 비춰졌기 때문이다. 현실에서 돌연변이는 뭔가 특이한 외모나 능력을 지닌 사람을 지칭할 때 많이 쓰인다. 최홍만 선수의 부모의 키가 각각 160cm, 150cm라는 것을 들어 그를 돌연변이라고 여기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이는 개체마다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 ...
- 일벌레 '막 단백질'에게도 '순애보'가 있답니다과학동아 l2014.06.08
- 모양을 바꾸고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나왔다. 마치 사람이 연인이 생겼을 때 외모와 행동이 변하는 것처럼 말이다. 아서 라가너스키 영국 옥스퍼드대 박사팀은 MscL, AqpZ, AmtB 세 개의 막 단백질을 세포막에서 분리했다. MscL은 결핵균의 세포막 단백질이며 나머지 두 개는 대장균의 막 ... ...
이전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