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체염색체
인체
뉴스
"
염색체
"(으)로 총 453건 검색되었습니다.
‘벌레 온 어 칩(On A Chip)’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22
개발한 장비는 나노입자의 존재와 함께 유해성까지 파악할 수 있다. 예쁜꼬마선충의
염색체
를 형광으로 염색, 은 나노입자를 먹고 독성을 나타내는 지 여부를 관찰하는 방식이다. 최 교수는 “환경 및 인체 유해성이 제기되는 나노 물질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미세 유체 동물 칩을 개발한 ... ...
60년에 한 번 오는 붉은 닭의 해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7.01.03
이뤄져 있다. 닭의 DNA 정보는 1번부터 28번, 그리고 30번부터 33번까지의 상
염색체
와 성
염색체
(W, Z) 등 12.3억 염기쌍이 밝혀진 상태다. GIB 제공 ● 인류의 동반자 된 치느님, 사라지는 적색야계의 혈통 선조 적색야계의 대퇴골은 약 7cm로 전체 무게는 900g 정도로 추정된다. 오늘날 농장에서 자라는 ... ...
약점을 강점으로 바꾼 무궁화의 생존 전략은?
동아사이언스
l
2016.12.20
지속적으로 유전자 손실이 일어났음도 확인됐다. 김용민 연구원은 “비정상적으로
염색체
수가 늘어난 4배체는 구조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말했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2배체로 돌아가기 위한 ‘이배체화 현상’의 결과로 유전자 손실이 일어났다는 설명이다. 보통 ... ...
식물 개화시기 결정하는 진짜 메커니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19
히스톤 단백질(하늘색 원) 8개가 DNA(보라색 선)에 감긴 형태다. - IBS 제공 식물의
염색체
를 이루는 뉴클레오솜은 히스톤 단백질 8개가 DNA에 감긴 형태다. 효소에 의해 아세틸화가 일어나면 히스톤과 DNA의 연결이 느슨해지고, DNA의 정보가 RNA로 전환되는 전사가 일어나며 유전자가 활성화된다. 반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1] 잠과 꿈의 유전학 - 잠꾸러기 생쥐와 꿈 안 꾸는 생쥐
2016.12.05
정상 생쥐와 별 차이가 없었다. 게놈에서 변이가 일어난 부분을 확인한 결과 14번
염색체
에 있는 Nalcn 유전자의 엑손에서 염기 하나가 티민(T)에서 아데닌(A)으로 바뀌어 있었다. 그 결과 315번째 아미노산이 아스파라긴에서 라이신으로 바뀐 변이 단백질이 만들어졌다. Nalcn은 양이온 채널 단백질로 ... ...
한국인 특이질환 찾아 낼 ‘표준 유전자 지도’ 나왔다
2016.11.24
계획이다. 코레프를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발표된 역대 10개 인간게놈지도에서 8번
염색체
를 비교한 그림. 인간표준게놈지도에는 코레프 등 9개 게놈지도에서 나타난 특정 DNA 영역이 빠져 있다. - 울산과학기술원 ... ...
미국 대통령이 알아야 할 6가지 과학 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16.10.23
다른 점이다. 연구팀은 7년에 걸쳐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의 유전체를 해독했다. 각
염색체
에 있는 반복서열을 분석하는 등 4만여 개의 유전자 정보를 밝혀 공개했다. 또 분석 결과를 ‘서양 발톱 개구리’ 유전체 해독 결과와 비교해 보기도 했다. 그 결과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가 서양 발톱 ... ...
실험동물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 유전체 비밀 풀었다
2016.10.20
질병 연구와 신약 개발도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특히 암이나 선천적 기형처럼
염색체
배체수 변화와 관련된 질병을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인공 난자 첫 성공… 불임-유전병치료 새 길 열려
2016.10.18
- 동아일보 제공 이번 연구결과를 접한 이건수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체세포를
염색체
수가 절반뿐인 생식세포로 분화시키는 일이 어려운 것인데, 그 과제를 해결한 셈”이라고 평가했다. 연구를 이끈 하야시 교수는 본보와의 e메일 인터뷰를 통해 “불임 치료에 사용하거나 멸종위기 ... ...
여드름 피부 가지는 사람, 더 천천히 늙는다
2016.10.04
GIB 제공 먼저 텔로미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텔로미어는 세포 속에 있는
염색체
의 양쪽 끝에 붙어있는 부분으로, 그리스어로 ‘끝’을 의미하는 텔로스(Telos)와 ‘부위’를 뜻하는 메로스(Meros)의 합성어입니다. 세포분열 시 유전정보를 담은 DNA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요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