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연세대"(으)로 총 1,590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픈 주사 대신 팔에 붙이는 패치형 백신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23.01.26
- 피부 안쪽으로 흡수되도록 설계해 백신을 정량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정형일 연세대 교수는 “주사형 백신을 대체할 패치형 백신 상용화를 위해서는 효율적이면서도 간편한 적용기가 필요했다”며 “새로운 적용기 시스템을 활용한 백신 개발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양휘석 주빅 대표는 ... ...
- 공학한림원 일진상에 박성진·장웅성, 해동상에 강소연·항우연 홍보실동아사이언스 l2023.01.26
- 한국공학한림원이 수여하는 제19회 일진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강소연(62) 전 연세대 교수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홍보실은 제18회 해동상 수상자로 뽑혔다. 한국공학한림원은 제19회 일진상과 제18회 해동상 수상자를 26일 발표했다. 일진상은 일진과학기술문화재단(이사장 허진규 일진그룹 회장 ... ...
- 尹 대통령, 순방 후 첫 일정은 젊은 과학자와 오찬동아사이언스 l2023.01.24
- 함께 과학자 6인이다. AI 분야에선 전병곤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 김선주 연세대 컴퓨터과학과 교수, 우주 분야에서는 윤효상 KAIST 항공우주공학부 교수, 바이오에서는 윤태영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우재성 고려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참석했다. 양자 분야는 손영익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 ...
- 소변 유래 순환 RNA 이용해 '전립선암' 진단동아사이언스 l2023.01.19
- 왼쪽부터 신용 연세대 교수, 김청수 이대비뇨기병원 교수, 구본한 연세대 박사후연구원. 연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소변에 담긴 메신저 리보핵산(RNA)을 이용해 전립선암을 진단하는 ... 일 게재됐다. 소변 유래 순환 RNA를 이용해 전립선암을 진단하는 기술 'HAZIS-CirR'의 원리. 연세대 제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헬리코박터가 한세기 늦게 알려진 이유2023.01.17
- 전기생리학적 연구 방법을,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의학의 역사를 공부했다.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에서 16년간 생화학교수로 일한 후 2014년부터 의학교육학으로 전공을 바꾸어 경쟁력 있는 학생을 양성하는 데 열중하고 있다. 평소 강연과 집필을 통해 의학과 과학이 결코 어려운 학문이 ... ...
- 나노기술로 암·알츠하이머 유발 단백질 형성 원리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23.01.10
-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천진우 나노의학연구단 단장(연세대 화학과 교수), 곽민석 연세대 고등과학원 교수, 전영욱 캘리포니아주립대(UCSF) 교수가 공동으로 나노기술과 세포공학 기술을 이용해 조직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노치(Notch) 수용체 신호 활성화 과정과 알츠하이머의 원인으로 알려진 ... ...
- [인사] 연세대의료원동아사이언스 l2023.01.09
- ◇연세대의료원 △디지털헬스실 데이터서비스팀장 김영아 △디지털헬스실 정보서비스팀장 강은혜 ◇세브란스병원 △의공기술팀 팀장서리 방영호 △의공기술팀 영상생체기기파트장 김희숙 △의공기술팀 수술검사기기파트장 문승호 ◇강남세브란스병원 △새병원추진본부 건축팀 건축파트장 ... ...
- 은하 사이 '떠돌이별' 기원 종지부..."암흑물질 추적자"동아사이언스 l2023.01.05
- 초기 은하단에서 떠돌이별이 만들어내는 은하단내광 검출에 성공한 것이다. 지명국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교수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5일 게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허블우주망원경을 이용해 현재 우주 나이의 3분의 1에 불과한 초기 ... ...
- 눈에 착용하면 치매 진단하는 인공수정체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3.01.05
- 개발됐다. 한국기계연구원은 이재종 기계연 나노공정장비연구실 책임연구원팀이 연세대 의대, 용인세브란스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과 공동 연구를 통해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안구 내 삽입형 스마트 인공수정체 개발에 성공하고, 관련 내용을 국제학술지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천년 이어진 장기 이식...'이식용' 부족 해결해야2023.01.03
- 전기생리학적 연구 방법을,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의학의 역사를 공부했다.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에서 16년간 생화학교수로 일한 후 2014년부터 의학교육학으로 전공을 바꾸어 경쟁력 있는 학생을 양성하는 데 열중하고 있다. 평소 강연과 집필을 통해 의학과 과학이 결코 어려운 학문이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