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필
저작
저술
작문
뉴스
"
쓰기
"(으)로 총 679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메모리 CB램 성능 100배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6
CB램의 경우 다른 차세대 메모리인 플래시램에 비해 100배 적은 전력으로 읽기와
쓰기
작업이 가능하다. 그러나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선 결정화 온도를 높여야 한다. 연구팀은 CB램의 구조 내에서 절연체를 활용해 저항성을 높일 방법을 찾았다. CB램은 금속-절연체-금속 구조인데 지금까지 GST를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마다가스카르 여우원숭이가 인간에게 준 숙제
2019.01.27
것은 인간의 탓이 큽니다. 인구가 늘고 빈곤이 지속되면서 벌목이 성행합니다. 땔감으로
쓰기
위해서 나무를 베어내고 있는데, 점점 숲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화전을 하기 위해서 불을 지르기도 합니다. 여우원숭이가 살 곳이 아예 사라지는 것이죠. 심지어 여우원숭이를 사냥하기도 합니다. ... ...
근육세포 울퉁불퉁한 표면에서 잘 자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같이 배양했을 때 서로 결합하는 정도가 떨어진다는 점이다. 이식에
쓰기
위한 완벽한 근육조직을 만드는 데 어려움이 있을뿐 아니라 근육로봇을 개발할 때도 생체 신호가 아닌 전기 자극을 가했을 때만 움직이는 문제가 나타난다. 연구팀은 골격근이 자라는 환경에서 홈이 있는 형태의 세포 ... ...
올해 기후·환경 분야 연구에 1082억원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19.01.23
위한 기술 개발에 906억원을, 친환경적 수소생산 및 저장기술 개발을 위해 102억원을
쓰기
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런 내용이 담긴 ‘기후·환경연구개발사업’의 2019년 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23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하여 선도적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 ...
세포 내로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생체분자 나노구조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전하 문제로 세포 안으로 제한적으로 전달된다. 기존의 방법은 대부분 화학적 소재를
쓰기
때문에 독성이 높고 화학 합성을 하다보니 균일하지 않아 실어나를 단백질의 양을 조절하기 어렵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연구진은 생체 분자인 DNA를 기반으로 나노 구조체를 제작했다. DNA와 DNA의 ... ...
이산화탄소 석유화학 원료로 바꿔주는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중 이산화탄소는 대표적인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힌다.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 최종 산물의 전 단계인 메탄올이나 디메틸에테르 등의 중간체로 전환한 후 다양한 석유화학 원료로 합성하는 촉매기술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문제는 촉매로 쓰이는 금속 나노입자가 쉽게 ... ...
몸 상태 읽고 곧바로 치료하는 '올인원 칩'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0명 중 3명이 걸린다. 약물치료도 잘 듣지 않아 ‘천수신경조절술’이라는 신경 치료술을
쓰기
도 한다. 엉덩이 아래에 전기자극기와 배터리를 삽입해 골반뼈 속 천수신경을 주기적으로 자극해 배뇨감을 줄인다. 이 치료법은 다른 신경에도 영향을 줘 위험성이 있었다. 연구진은 과민성 방광 증상을 ... ...
식량자원부터 장기이식 연구까지...과학자는 돼지를 사랑해~
과학동아
l
2018.12.28
재래돼지 ‘축진참돈’을 복원해 품종등록을 마쳤다. 그런데 재래돼지를 사육돼지로
쓰기
에는 생산성이 떨어졌다. 한 번에 낳는 새끼 수도 두세 마리 적다. 지방도 두꺼워 최근 식문화에 잘 맞지 않았다. 국립축산과학원은 외래종인 두록 종을 국내 환경에 맞도록 개량한 ‘축진두록’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받는 기쁨보다 주는 기쁨이 더 오래간다
2018.12.22
쓰지 않고 쌓아두기만 했을 때는 종잇장일 뿐이지만 자신을 행복하게 해주는 방향으로
쓰기
시작할 때 비로소 행복을 가져올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다. 또한 일반적으로 물건들은 여러번 보면 금새 익숙해지고 별 다를 것 없이 느껴지는 데 반해 경험은 ‘추억’처럼 시간이 지나도 떠올릴 때마다 ... ...
3D프린터로 배터리 모양 자유롭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되는 전해질로 인화성이 높은 유기 용매를 쓰지만 아연이온 배터리는 물을 전해질로
쓰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고속 충·방전이 가능하도록 탄소 섬유를 양극의 집전체로 사용했다. 한국화학연구원과 함께 소형 인체 착용형 광센서 반지에 3D 프린팅으로 제작한 아연이온 배터리를 적용해 정상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