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32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2025 국가전략기술 혁신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5.16
분자 논리를 이해하기 위해'라는 주제로 진행된다. 수토프 교수는 인간 뇌에서 신경
세포
간 신호전달이 어떻게 정밀하게 조절되는지를 분자 수준에서 규명해 온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시냅스 생물학과 신경회로 형성과 관련된 최신 연구 동향을 소개할 예정이다 ... ...
비만이 암
세포
키우는 이유 처음 밝혔다…"지방산 산화 탓"
동아사이언스
l
2025.05.16
핵심 유전자 ‘SLC25A20’을 억제하면 암
세포
성장이 억제됐다. 연구팀은 “SLC25A20은 암
세포
에 지방을 공급하는 핵심 통로로 이를 차단하면 암이 에너지를 제대로 만들지 못하게 된다”며 “부작용이 거의 없어 새로운 항암 치료 전략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립암센터는 김 연구부장이 대표로 ... ...
돌연변이 콕 집어 희귀병 아기 구한 '유전자가위'…세계 최초 맞춤형 치료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5.16
의학저널'에 발표했다. 연구결과는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13~17일 열리는 미국 유전자
세포
치료학회(American Society of Gene & Cell Therapy) 연례 회의에서 발표됐다. 연구팀이 치료한 환자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에서 태어난 아기 KJ 멀둔(KJ)이다. 환자는 태어나자마자 '중증 CPS1 결핍증'을 진단받았다. 중증 ... ...
생명연, '인공아체
세포
기반 재생치료 기술개발사업 연구성과 교류회'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5.05.16
패러다임을 선도하기 위한 실질적 협력과 혁신의 장이 될 것”이라며 “인공아체
세포
연구가 난치성 퇴행성 질환의 치료에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할 수 있는 핵심 기반기술로 발전해 인류 건강한 삶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
박쥐 유래 신종 감염병 '꼼짝마'...최대규모 오가노이드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25.05.16
연구팀이 개발한 2D 플랫폼은 오가노이드 유래
세포
를 평평한 배양판에 펼쳐 균일한
세포
층을 형성해 실험이 용이하고 분석이 빠르다. 코로나19 치료제로 알려진 렘데시비르 같은 항바이러스 후보물질의 효과를 빠르게 실험할 수 있다. 최 소장은 "이번에 구축한 세계 최대 규모 박쥐 ... ...
호흡기 감염병 대응할 인간 폐포 유사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5.15
폐에서 손상된 상피
세포
제거, 산화 지질 흡수, 결핵균 감염 반응 등 실제 폐포 대식
세포
가 수행하는 기능을 정교하게 재현할 수 있어 중증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과 고위험 조류독감 등 호흡기질환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국가전임상지원센터(KPEC)는 개발된 모델을 산·학·연에서 발굴한 ... ...
심리적 고통만으로 '공포 기억' 형성하는 뇌회로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5.15
자극 이후 pIC에서 PBN으로 신호를 보내는 신경
세포
들이 활성화되고 이 신호가 PBN 신경
세포
활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pIC–PBN 회로를 인위적으로 억제하면 시각적 위협에 따른 공포 기억 형성이 현저히 감소했다. 통각 기반의 공포 학습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회로를 ... ...
인삼 약효 성분서 찾은 천식 치료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5.05.15
유사한 면역 조절 효과가 재현됐다. 최수산나 선임연구원은 “인삼 유효성분이 T
세포
간 면역 균형을 조절해 천식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이번 성과를 발판 삼아 천식을 비롯한 다양한 염증성 질환 극복을 위한 새 치료 전략 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설탕 코팅 물질, 치매 원인 '청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14
단계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았다. 연구팀은 “우리 치료 전략은 응집된 단백질이 신경
세포
로 들어가기 전인 질병 초기 단계에서 가장 효과적일 것”이라며 “질병 후기 단계에는 사용 중인 치료제와 병용해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과기원NOW] 자가면역질환·바이러스 감염 조절하는 '면역 스위치' 발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5.14
KAIST는 김유식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와 차승희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교수 공동연구팀이
세포
내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에서 유래한 이중나선 RNA가 면역반응을 증폭시키는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조절하는 단백질 슬러프(SLIRP)가 바이러스 감염과 자가면역질환에서 '면역 스위치' 역할을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