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영
반영
반향
영향
성찰
고찰
숙고
뉴스
"
반사
"(으)로 총 980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재의 미래_마지막 이야기]"소재 혁명은 학문의 경계서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현상 때문이다. 유기물로 만든 필터는 플라스틱과 비슷해 가볍고 휘어지면서도 빛을
반사
하지 않아 잔상이 맺히지 않는다. ○ 필터색소 전문 벤처도 설립 연구팀은 이렇게 개발한 필터 색소를 상용화하고 기술을 선점하기 위해 2018년 1월 벤처기업 힘테크를 설립했다. 필터 소재는 작년 12월 ... ...
[한 토막 과학상식]빛이 경계면 따라 흐르는 광스핀홀 효과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2.16
설계한 물질을 뜻한다. 연구팀은 한 편광의 빛은 투과하고 다른 편광의 빛은
반사
하는 메타표면을 설계했다. 한 편광의 빛만 계속 투과하면서 광스핀홀 효과가 증폭하도록 설계한 것이다. 이를 이용하 1mm 이하 파장을 가진 마이크로파와 같은 고주파 영역에서 투과된 빛의 편광을 분석한 결과 ... ...
고래의 노랫소리로 바다 밑 지질도 그린다
2021.02.15
고래에게서 곧바로 전파된 소리 기록 외에도 해수면에 일부
반사
된 소리, 해저면에서
반사
된 소리도 함께 기록됐다. 이들 신호를 분석한 결과 지진계 아래 지질층은 퇴적층과 현무암, 반려암 등 세 층으로 이뤄진 것을 확인했다. 퇴적층의 두께는 약 500m, 그 아래 현무암 두께는 1800m인 것도 ... ...
[프리미엄 리포트]왜 애플카에 열광할까
과학동아
l
2021.02.13
12일 발표한 ‘아이폰 12 프로’에 라이다(LiDAR) 센서를 탑재했다. 라이다는 레이저를 쏴
반사
되는 시간을 측정해 물체와의 거리를 알아내고 공간을 3차원(3D)으로 파악하는 센서다. 전파를 쏴 물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더와 원리는 유사하나 라이다는 레이더보다 공간 분해능이 훨씬 뛰어나다. ... ...
드론으로 북극 해빙 고해상 촬영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2.10
특성에 관련된 값을 계산할 수 있다. 북극 해빙은 북극으로 들어오는 태양빛을
반사
해 지구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지구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최근 40년간 해빙이 40%가량 줄어들면서 북반구의 이상 기후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인공위성으로도 해빙을 관측할 수 있지만, ... ...
[프리미엄 리포트]브레이크 없는 수상태양광, 물 속 생태계는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21.02.06
햇빛양이 줄어들면서 광합성하는 수초가 감소했고, 경쟁 관계인 식물성 플랑크톤이
반사
이익으로 늘어난 것이다. 하지만 이 부연구위원은 “실험에서 저수지 면적의 75% 이상을 가리개로 덮은 특수한 경우였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라며 “태양광 패널이 저수지를 얼마나 덮는지, 또 어떤 ... ...
"태양광으로 전기 생산" 차세대 투명 태양전지 개발
연합뉴스
l
2021.02.04
문제는 나노 표면구조를 갖는 저
반사
광 산란층을 설계해 해결했다. 들어오는 빛의
반사
를 최소화하고 산란은 크게 증폭해 광 흡수층 내에서 빛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도록 했다. 발전 효율은 10%(단면 기준)로 기존 투명 태양전지 효율(5∼6%)보다 두 배가량 높고, 양면으로는 최대 15%의 효율을 낼 ... ...
세계의 얼음이 기록적으로 녹고 있다
2021.01.26
저자인 이소벨 로렌스 CPOM 연구원은 “북극의 해빙은 태양에서 방출되는 복사 에너지를
반사
해서 북극 온도를 낮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며 "이 해빙이 줄어들면 지구내 다른 어느 지역보다 북극이 더 빠르게 온도가 상승해서 빙하와 빙상이 녹고 그 결과 해수면이 상승한다”고 설명했다. ... ...
딱딱한 집게형 대체할 손가락장갑형 심박수 측정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4
천에 삽입했다. 장갑처럼 손에 끼면 손 끝에서 흐르는 혈액양의 변화에 따라 LED 빛의
반사
세기를 전자소자가 감지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임 책임연구원은 “손가락장갑형 심박수 측정기는 편안하고 부드러운 느낌으로 측정자에게 쉽게 다가갈 수 ... ...
[표지로 읽는 과학] 역사 속으로 사라진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동아사이언스
l
2021.01.17
전파망원경은 1963년 푸에르토리코 아레시보 남쪽에 아레시보 천문대와 함께 건설됐다.
반사
판의 지름이 305m로 2016년 지름이 500m인 중국의 구면전파망원경(FAST)이 등장하기 전까지 단일 망원경 중에는 전 세계에서 크기가 가장 컸다.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은 주로 외계에서 오는 신호를 포착하는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