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뭉치
덩이
다발
타래
쌓아올린 더미
솜뭉치
사리
뉴스
"
덩어리
"(으)로 총 674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③ 게임보다 더 직관적인 로봇 외과의사
동아사이언스
l
2019.05.03
감도는 벽이 보였다. 천천히 앞으로 나가보니 커다란
덩어리
가 나타났다. 한쪽 손으로는
덩어리
를 집고, 다른 손으로는 조금씩 자르면서 스테이플러로 묶었다. 스크린에서 벌어지는 일이 실제 상황인지, 가상현실인지 헷갈렸다. 지난달 9일 서울 신촌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에서는 민병소 ... ...
日무인탐사선 하야부사, 소행성에서 물 가져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발표했다. 소행성 이토카와는 가로 약 200~300m, 세로 약 540m 크기로 두 개의 돌
덩어리
가 붙은 땅콩 모양이다. 지구와 태양 간 거리의 1.3배 거리에서 태양을 18개월 주기로 돈다. 2003년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발사한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 1호'는 소행성 이토카와를 탐사해 2010년 ... ...
반도체에 ‘그래핀 고속도로’ 깔았더니…신호전달 효율↑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해결하고자 그래핀에 불순물을 얇게 덮는 방법을 생각해 냈다. 그래핀 표면에 탄소
덩어리
(비정질 탄소)를 흡착시켜 일종의 ‘코팅’처럼 둘러싼 것이다. 약하고 구멍이 패인 고속도로에 시멘트를 입혀 구덩이를 메우고 길을 튼튼하게 만든 것과 같다. 연구 결과 이 과정에서 신호 전달을 ... ...
[표지로 읽는 과학]그래핀 탄소와 수소 공유결합 '소리'가 붙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8
덴마크 오후스대 물리학, 천문학 및 학제간 나노과학센터 교수팀은 육각형 탄소
덩어리
가 얇은 판을 이루는 그래핀에서 탄소와 수소 간 공유결합이 생길 때 음파가 접착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수소원자(그림에서 하얀색)가 그래핀(검은색)과 충돌할 때, 일시적으로 탄소와 ... ...
“동해 지진, 동해 사라지는 전주곡일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로 변하고 있다고 결론 내렸다. 한반도와 동해가 사실상 두 개의 분리된 거대한 지각
덩어리
(판)로 돼 있고, 이 두 판은 서로 충돌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는 한반도와 동해가 하나의 거대하고 안정된 지각
덩어리
(판)로 돼 있고, 가장 가까운 판 경계부도 동일본과 태평양 판 사이 등으로 멀어 ... ...
세포 분비 물질로 심근경색 치료…세포 치료 패러다임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심근세포가 섬유화(섬유아세포)되는 것을 막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혈액이 굳어
덩어리
가 되는 혈전으로 혈관이 막히면 심근경색이 생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급성 심근경색은 초기 사망률이 30%~50%에 이를 만큼 위험하다. 심근경색이 발병하면 심근세포가 섬유화돼 심장의 ... ...
핏방울로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정확도 최대 90%
동아사이언스
l
2019.04.18
많이 들어 있다. ③ 샘플 중 하나(B)에만 EPPS를 넣는다. ④ B에 든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
덩어리
가 풀어졌다. ⑤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을 항원으로 하는 항체(초록색) 반응으로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양을 측정한다. ⑥ 건강한 사람은 EPPS를 적용한 것(B)과 적용하지 않은 것(A)에 대한 결과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백내장과 녹내장은 왜 생기는 걸까
2019.04.09
밝혀지지 않았지만 스테롤이 수정체 세포에 있는 샤프롱 단백질을 활성화시켜 단백질
덩어리
를 녹여내는 것으로 보인다. 샤프롱(chaperone)은 다른 단백질들이 올바로 접히게 도와주거나 잘못 접혔을 때 바로 잡아주는 단백질이다. 수정체에 있는 크리스탈린 단백질은 여러 종류가 있는데 이 가운데 ... ...
6600만년 전 그날 거대한 불
덩어리
가 떨어졌다…소행성 충돌 직후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19.03.31
미국 연구팀이 노스다코타의 지층을 관찰해 칙술루브 소행성이 지구에 떨어진 직후 수십 분~수 시간 동안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를 추정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그림은 쓰나미에 휩쓸린 동식물을 상상한 것. 로버트 드팔마 제공 미국 과학자들이 수천 만 년 전 대멸종의 원인이었던 소행성이 충 ... ...
[강석기 과학카페] 사람도 지구자기장을 느낄 수 있을까
2019.03.26
유일한 예가 박테리아 마그네토박터(Magnetobacter bavaricum)에 있는 자철석 결정이다(검은
덩어리
들). ‘네이처’ 제공 연구자들은 이번 결과가 지구자기장 감지 메커니즘 두 가지 가운데 ‘자철석 모형(magnetite model)’을 지지한다고 덧붙였다. 자철석 모형은 한마디로 우리 몸(아마도 뇌)의 세포 안에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