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정
증여
기여
기부
수여
선물
공연
뉴스
"
기증
"(으)로 총 354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 ‘제보자’로 본 ‘줄기세포 3대 스캔들’ 제보자 집중 분석
2014.09.19
스캔들’ 속 제보자를 집중 분석했다. ●황우석 스캔들: 내부 제보자 2004년 난자
기증
논란으로 흠집이 나기 시작한 황우석 박사의 배아줄기세포 연구가 세계를 떠들썩하게 만든 논문 조작으로 번진 건 2005년 내부 연구원 한 명의 제보에서 시작됐다. 한 방송 프로그램 게시판에 익명의 ... ...
당뇨병 환자 피부세포로 배아줄기세포 추출 최초 성공
과학동아
l
2014.04.29
만들어 과학학술지 네이처 온라인판 2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기증
받은 난자의 핵을 제거한 뒤 인슐린을 전혀 만들지 못하는 제1형 당뇨병에 걸린 32세 여성 환자의 피부세포 핵으로 바꿔 넣는 방식으로 배아줄기세포를 만들었다. 연구팀 관계자는 “세포 융합을 유도하는 ‘센다이 ... ...
성인 체세포복제배아줄기세포 성공, 그 의미는?
과학동아
l
2014.04.18
줄기세포 속의 핵 유전자가 환자의 것과 일치해야 하는데, NT-1 속 유전자는 난자를
기증
한 사람의 것이라 환자 맞춤형으로는 무용지물인 셈이다. 이 부소장은 “핵 치환 과정에서 레이저로 난자에 구멍을 뚫는 대신 피펫을 이용해 재빨리 핵을 제거한 기술이 핵심”이라면서 “앞으로 줄기세포 ... ...
황우석 박사 실패한 인간배아줄기세포 확립 성공
과학동아
l
2014.04.18
결과는 생명공학 분야 권위지인 셀의 자매지 셀스템셀 17일자에 실렸다. 연구진은
기증
받은 난자의 핵을 제거하고 75세와 35세 성인 남성의 피부세포의 핵으로 바꿔 넣어 각각 배아를 만든 뒤, 여기서 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배아줄기세포의 유전자가 피부세포의 유전자와 동일하다는 ... ...
백혈병 완치시킨 기적의 면역세포
과학동아
l
2014.04.01
‘가족 간 반일치 골수이식’을 우선 실시했다. 백혈구 항원(HLA)이 완전히 일치하는 골수
기증
자를 찾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부모 자식 간에 절반만 일치해도 골수를 이식할 수 있도록 개발한 방법을 적용한 것이다. 이어 골수 제공자에서 추출한 NK세포를 환자에게 2~3주 동안 매일 한두 차례 ... ...
수정란에서 배아줄기세포 획득 성공
과학동아
l
2014.03.27
지금까지 배아줄기세포를 얻으려면 수정되지 않은 난자를 대량으로
기증
받아야 한다는 한계가 있었는데, 이번 연구는 수정란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배아줄기세포의 윤리적 문제를 완화할 수 있을 거란 기대를 받고 있다. 박세필 제주대 줄기세포연구센터장은 “이번 성과를 사람에게 ... ...
빛으로 부활한 마크 로스코
과학동아
l
2014.03.06
같은 금과 강렬한 색은 그의 트레이드 마크다. 그의 작품 중 1962년에 그려 하버드대에
기증
한 5점의 연작 ‘하버드 벽화’ 시리즈는 창 밖에서 들어오는 햇빛 때문에 심하게 변색됐다. 1979년에 보호를 위해 창고로 옮겨지고, 1988년에는 ‘뉴욕타임스’가 복구가 불가능하다고 보도했을 정도다. 그런데 ... ...
수술 제거된 인체조직 추적조사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5
사용중지 명령 신설 등이 핵심내용이다. 인체조직은행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조직
기증
자에 대한 병력 조사 등을 요청하여 분배·이식 금지 조직 해당 여부를 확인하고 부적합한 조직 발견 시 폐기처분하고 식약처에 보고해야 한다. 식약처의 허가를 받아 인체조직의 채취, 분배, 품질 보증 등의 ... ...
정문술 전 KAIST 이사장, 또 215억 기부
동아사이언스
l
2014.01.10
약정식은 10일 오전 서울 리츠칼튼호텔 금강홀에서 열릴 예정이다. KAIST는 이번에
기증
한 215억 원을 정 전 이사장이 과거 기부해 운영하고 있는 기금과 합쳐 전액 ‘정문술 기금’으로 적립하고 활용할 계획이다. 특히 ‘미래전략대학원‘ 육성과 ‘뇌 인지과학’인력양성 프로그램에 쓸 ... ...
천 년 전에도 두개골 수술 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25
살아남은 사람은 ‘생존자’의 칭호를 얻었지만 죽은 사람의 두개골은 의학교육용으로
기증
됐다”고 말했다. 그는 “천공술은 당시 이 지역에서만 특별히 행해졌다”며 “서기 600년부터 1000년 사이에는 ‘와리왕조’라는 강성한 제국이 있었는데, 이 제국의 몰락과 사회적 혼란이 천공술을 ... ...
이전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