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녕
빵꾸
홀
함정
입
바람구멍
바람
뉴스
"
구멍
"(으)로 총 1,128건 검색되었습니다.
리튬이온전지 속 미세 구조물 간격 바꿔 이온 이동량 3.4배까지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5
사이에 두고 놓여있다. 분리막은 직경이 100nm(나노미터, 1nm는 10억분의 1m)인 작은
구멍
을 갖고 있는 나노 다공성 막이 쓰인다. 리튬이온전지의 음극과 양극에 전기 장치를 연결하면 음극에 있던 리튬 원자가 이온화돼 내놓은 전자가 장치로 흘러 들어가 전기가 흐르고 전해액을 타고 양극으로 ... ...
독도 바다에서 비늘베도라치 미기록종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1.04.05
제공 비늘베도라치는 몸은 가늘고 좌우로 납작한 모습이다. 연안 암반
구멍
이나 고둥 패각 등에 숨어 지낸다. 전 세계적으로 약 120여 종이 분포한다. 이중 상당수가 절멸종, 멸종위기종 등으로 지정돼 관리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91년 비늘베도라치 1종이 제주도에서 발견됐고 2017년에는 이번과 ... ...
英저널 "대학 캠퍼스 대규모 선제검사는 비과학적이고 무계획적인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1.04.01
진단검사 수와 양성률 등과 관련된 데이터 수집도미흡한 상황으로 방역 측면에서도
구멍
이 뚫려 있다는 분석이다. 영국 의학학술지 ‘영국의학저널(BMJ)’은 지난 31일(현지시간) 영국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오퍼레이션 문샷’ 프로젝트에 참여중인 대학 216곳을 분석한 내용을 공개했다. BMJ는 ... ...
3D 프린팅으로 나노미터 구조물 수천개 동시에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1
정전기 렌즈가 형성된다. 이 정전기 렌즈를 통해 뒤이어 도달하는 나노입자들을
구멍
중심으로 집중시켜 100나노미터 크기의 에어로졸로 집속시키는 원리를 3D 프린팅 기술에 활용했다. 특히 3D 나노 구조물을 한 번에 수천개 이상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이 개발한 3D 나노 프린팅 ... ...
[지구는 살아있다] 왜 설악산 돌은 밝은색이고, 제주도 돌은 어두운색일까
2021.03.27
많이 보인다. 현무암은 화강암과 달리 광물 입자도 작아 눈에 보이지 않고, 돌에 작은
구멍
이 뚫려 있다. 화강암과 현무암은 모두 마그마가 굳어져 만들어지는 ‘화성암’이다. 지구가 만들어질 때 철을 포함한 무거운 물질은 지구 내부 깊숙이 가라앉아 핵과 맨틀을 이루고, 가벼운 물질은 표면에 ... ...
“우리는 우주쓰레기 사냥꾼”…한국도 우주쓰레기 청소 위성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6
있다. 빠른 속도로 날아가는 우주 파편에 맞으면 정상적인 위성에
구멍
이 숭숭 뚫리는 수준이다. 더 많은 위성을 안정적으로 쏘아올리려면 우주궤도에 버려진 이런 잔해들을 없애거나 위성을 고쳐써야 한다는 지적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이미 발 빠른 국가들과 기업가들이 우주 ... ...
세계 최초 우주청소 위성도 차세대중형위성과 함께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이 올해 1월 27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ISS에서 우주 유영을 하는 우주인의 우주복에
구멍
을 낼 수 있는 소금 한 알 크기의 파편은 1억 개가 넘는다. NASA는 ISS와 인공위성에 가장 위협적인 우주쓰레기는 너무 작아서 추적조차 할 수 없는 파편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우주정거장 ‘톈궁(天宮) ... ...
‘빅뱅 머신’ LHC, 10년 간 힉스 포함 59개 새 입자 발견…국내 중소기업 역할 톡톡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μm는 100만 분의 1m)로 머리카락 한 올 두께의 미세한
구멍
이 촘촘히 뚫려 있다. 이
구멍
사이로 자기장이 흘러 뮤온 입자를 재빨리 잡아낸다. 양 교수는 “대형 포일 세겹이 검출기를 감싸 10억 분의 1초 만에 사라지는 뮤온 입자를 포착한다”고 말했다. LHC는 원래는 검출기 성능을 높이기 위해 ... ...
서울대 도입한다는 신속PCR, 유행상황·검사방식 적절히 고려됐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관심을 모으고 있다. ○ RT-PCR vs. 신속PCR 신속PCR은 환자의 타액을 받거나 코, 목
구멍
에서 검체를 채취한 후 속에 담긴 바이러스 DNA를 수차례 복제해 바이러스를 특정하는 유전자를 대규모로 늘리는 검사법이다. 유전자를 늘려 일정치 이상의 유전자가 탐지될 경우 감염으로 판정한다. 반대로 ... ...
시베리아 바이칼 호수 1.3km 밑엔 세계 최대 수중 ‘유령입자’ 검출기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5
가장 크다. 바이칼-GVD는 얼어 있는 바이칼호수 표면에 뚫어 놓은 직사각형 모양의
구멍
을 통해 호수 아래로 옮겨졌다. 검출기 설치 작업을 위해 얼어 있는 바이칼호수 위에 서 있던 러시아 핵연구합동연구소(JINR) 소속 물리학자인 드미트리 나우모프는 AFP통신에 “우리 발 바로 밑에 중성미자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