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632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개와 함께 달려볼까…주말 대전서 즐기는 기상천외한 과학 체험
동아사이언스
l
2025.04.18
소형모듈원자로(SMR) 모형도 전시된다. 같은 장소에서 참가자들은 공경철 KAIST 기계
공학
과 교수팀이 개발한 웨어러블 로봇 '엔젤슈트 에이치텐'을 입어보고 이해신 KAIST 화학과 이해신 교수팀이 만든 뿌리는 신개념 탈모케어 '그래비티'를 체험할 수 있다. 피부에서 얻은 줄기세포로 인공 미니 뇌를 ... ...
KAIST, 자율비행 드론 레이싱 세계대회서 3위
동아사이언스
l
2025.04.18
자율비행 드론 레이싱 세계대회에 출전해 종합 3위를 차지했다. KAIST는 심현철 전기및전자
공학
부 교수팀이 4월 12일 아랍에미리트(UAE) 정부 후원으로 개최된 아부다비 자율 레이싱 대회(A2RL)의 드론 챔피언십 리그(DCL)에서 세계 3위를 차지했다고 18일 밝혔다. 대회는 아부다비 국립 전시 센터 마리나 ... ...
흐르는 혈액의 적혈구 배열까지 분석하는 전기 진단법
동아사이언스
l
2025.04.18
나타나 헬스케어와 진단기기 응용이 기대된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양성 기계로봇
공학
과 교수팀이 혈액이 흐르는 상태에서 적혈구 배열은 물론 적혈구 내부의 헤모글로빈과 수분층 상태까지 분석할 수 있는 정밀한 센서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1월 25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 ...
한입 크기 닭고기, 실험실서 키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8
배양육의 상업화 가능성을 높일 뿐 아니라 재생 의학, 바이오 하이브리드 로봇
공학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고 말했다. 연구팀의 다음 과제는 중공섬유가 자동 제거되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고기가 만들어진 뒤 수동적인 방법으로 중공섬유를 제거했다 ... ...
[과기원NOW] KAIST, 인공지능으로 효소 기능 예측·설계법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설계 전략을 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7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생명
공학
동향'에 공개됐다. 효소는 세포 내에서 생화학 반응을 촉매하는 단백질이다. 효소 기능을 규명하고 새로운 효소 설계법을 개발하면 미생물을 활용한 '세포공장' 구축에 활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AI 모델 ... ...
게임 기술 적용해 핵융합 시뮬레이션 속도 15배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설계 효율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윤의성 원자력
공학
과 교수팀이 가상 핵융합 장치 내에서 고속입자가 충돌하는 지점을 빠르게 판별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인공태양으로 불리는 핵융합 발전은 핵융합로 내부를 태양처럼 뜨겁게 달구기 ... ...
생존율 낮은 췌장암, 치료 효과 높일 '유전자 변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전은성 의생명연구소 교수, 김송철 간담도췌외과 교수가 최정균 KAIST 바이오및뇌
공학
과 교수팀과 췌장암의 종양미세환경을 분석해 면역세포가 많으면 환자 생존율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췌장암은 5년 생존율이 16.5%로 낮은 치료하기 힘든 암종에 속한다. 대부분 ... ...
하버드대 로봇벌, 각다귀에게 우아한 착륙법 배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식물의 인공 수분도 잠재적 활용 분야로 꼽힌다. 연구팀은 "로보비는 생물학과 로봇
공학
의 접점을 탐구할 수 있는 훌륭한 플랫폼"이라며 "곤충의 생물학적 영감은 로봇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무수한 방법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 doi.org/10.1126/scirobotics.adq305 ... ...
[과기원NOW] UNIST, 사탕수수 찌꺼기로 그린 수소 만들어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장지욱·서관용 에너지화학
공학
과 교수팀과 조승호 신소재
공학
과 교수팀은 사탕수수 찌꺼기에서 나온 바이오매스와 실리콘 광전극으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개발한 기술은 외부 전력 없이 햇빛으로만 수소를 생산한다. 생산 속도는 미국 ... ...
뇌처럼 생각하고 반응하는 반도체 소자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정운형·김근영 신소재
공학
과 연구원이 공동 제1저자로 참여한 연구의 결과는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에 8일 게재됐다. -DOI: 10.1002/adma.20241912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