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힘"(으)로 총 2,823건 검색되었습니다.
- 레고에 숨겨진 과학기사 l20230319
- 바로 위에는 8개의 기둥이 있었지만 안에는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그래서 맞물리는 힘이 없어 잘 무너졌던 것입니다. 그래서 레고 안에 3개의 뼈대와 위에는 8개의 기둥을 세웠습니다. 블록을 끼우자 ‘딱’소리가 나면서 맞물렸습니다. 그래서 쉽게 무너지지 않고 높게 쌓을 수있는 블록이 되었습니다. 그렇게 레고는 우리가 지금 갖고 노는 형태의 레고로 ...
- 상괭이를 지킵시다!!!!포스팅 l20230316
- 잡는 망에 상괭이가 걸려 숨을 못 쉬게 되면 결국 죽게 됩니다이렇게 망에 큰 바다생물이 걸리는 걸 혼획이라 합니다혼획을 당해 죽지 않게 모두 힘을 모읍시다!!!!!^^(물론 학생은 할 수 없지만)(어과동이나 어수동에 상괭이 기사 써 주세요!!! ... ...
- 빅뱅우주론의 한계와 인플레이션우주론기사 l20230316
- 번째는 인플라톤이 두 개의 얼굴을 가지고 있다는 겁니다. 보통 물체는 서로 당기는 힘으로 작용합니다. 하지만 인플라톤은 서로 미는 힘도 있어서 점점더 커지는 것입니다. 둘째는 ‘공짜 점심 문제’입니다. 일단 인플라톤 속에 중력이 발생하여 에너지가 생깁니다. E=mc^2(E=mc^2 편 참고)에 따라 그것은 질량으로 바뀌고 다시 ...
- 동물들에게 안락사를 해도 될까요?기사 l20230312
- 안녕하세요, 고윤서 기자입니다. 오늘은 조금 무거운 주제를 가지고 왔습니다. 바로 '동물들에게 안락사를 해도 될까?' 입니다. 먼저 왜? 안락사를 시킬까 입니다. 1.더이상의 치료가 무의미하다고 느껴질 때(출처: ... 아파하는 동물은 편히 보내주어야 한다는 의견도 맞지만 추억과 사랑, 그리고 애정이 담긴 동물을 보내기엔 너무 속상하고 힘들 ...
- 스키 타다가 넘어졌을 때 과학적으로 일어나는 방법포스팅 l20230304
- 안녕하세요? 이현우 기자입니다. 오늘은 스키장에서 넘어졌을 때 조금 더 과학적으로 일어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스키를 타다가 넘어졌을 때는 발바닥 밑에 있는 길쭉한 판 (플레이트)을 경사면의 진행 방향과 수직(90°)으로 놓아 ... 왜냐?? A자나 V자 모양으로 하면 평행할 때보다 스키가 앞이나 뒤로 더 잘 밀려나갈 것입니다. 그리고, 손을 엉 ...
- 페르덴도시 홍보~~포스팅 l20230302
- 페르덴도시(사라지듯이 치라는 악상 기호), 팝플공모전 제출작입니다..! 이정도 퀄리티 뽑아내느라 힘들었습니다... 댓글/하트/별 눌러주시면 작품 그리는 데 큰 힘이 돼요~추가로 페르덴도시도 이어서 연재할 계획이 있습니다! 기다려주셔서 감사드리고 더욱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떠나고, 사라지고. 기억 속에서만 존재할 추억 ...
- 팝콘플래닛 공모전 마감 완료입니다~~포스팅 l20230301
- 입니다~ 퀄리티 뽑아내느라 힘들었고 시간이 남아서 표지까지 살짝 제작해 보았습니다! 댓글/하트/별 눌러주시면 작품 그리는 데 큰 힘이 되어요~추가로 나중에 페르덴도시도 이어서 연재할 계획이 있습니다! 기다려주셔서 감사드리고 더욱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이 게시물의 모든 사진은 제가 직접 그린 그림들입니다. ... ...
- 10대들은 왜 아이돌을 좋아할까요?기사 l20230301
- 그들은 나를 모를 수도 있지만, 그들이 존재하는 자체가 나한테는 위로가 되요. 내 마음을 치료해 주는 의사같고, 살아가는데 힘을 주는 것 같아요!"라고 말했습니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10대의 심리적 발달의 관 점에서 볼 때 아이돌을 좋아하는 것은 학업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긴장과 다양한 갈등심리의 해소, 현실의 도피, 대리만족, 역할모델 ...
- 3월 1일, 삼일절, 그리고 유관순 열사의 대하여기사 l20230228
- 유관순 열사만 풀려나지 못했습니다. 끝끝내 모진 고문을 이겨내지 못하고 1920년 9월 28일 순국하였습니다. 대한 독립까지 많은 힘을 쏟아주신 모든 독립운동가 분들에게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내일, 삼일절에 국기를 걸어보시는 건 어떨까요? 요즘 태극기를 다는 분들이 많이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만약 태극기가 없다면 직접 태극기를 그려 달아보는 ...
- 일반상대성이론과 시공간기사 l20230226
- 그대로 무중력일 겁니다. 그런데 만약에 그 우주선이 가속한다면 우리는 관성에 의해 땅바닥에 붙을 겁니다. 그대로 있으려는 힘인 관성 때문이지요. 사과를 놓으면 떨어질 것입니다. (포뮬선을 그으면서. 왜냐하면 시공간이 왜곡 때문에) 빛을 쇠면 왜곡될 겁니다. (시공간이 왜곡 되기 때문에) 그리고 만약 지구에서 비행기가 추락한다면 관성 때문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