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캔"(으)로 총 358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6년 14호 미션] 통조림이나 한 캔 더 어떠냥?놀이터 l20160715
- 안녕하세요~! 현재 진행중인 미션은 14호 미션입니다! '냥이 대장의 별별 천문대'에 나오는 한 장면을 멋지게 따라 하는 거예요. 바로, 이 장면이죠? 이 장면을 따라한 사진을 2016년 8월 1일까지 올려 주세요~! (고화질 파일로 업로드 부탁드립니다~) 그럼, 캐릭터 미션 시작~! ...
- 제2차 화석 발굴 여행: 포항 신생대 마이오세 퇴적층 다양한 화석의 보고기사 l20160419
- 자세히 다뤄볼 예정이다. 내 손으로 직접 파낸 최초의 광물인 황철석. 이 녀석의 이름은 Pyrite-W227P라고 하자. 내가 2월 27일 포항에서 캔 파이라이트란 뜻이다. 깨끗하게 단장해서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잘 보관해야겠다. 화석 및 광물 전문가에게 문의해봐야겠지만, 황철석 근처에서 발견된 점과 꽤 무겁고 사금같이 빛나는 표면으로 ...
- 현수교와 자이로드롭의 너희들의 진짜 정체는? 현수교와 자이로드롭의 대해 알아보자.(출동!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취재)기사 l20160113
- , ⑤ 보강형을 주케이블에 매다는 현수재의 5가지에요. 윗 사진은 황북기 박사님과 함께 만든 현수교 모형 입니다. 현수교를 만들고 캔콜라를 올려봤더니 다리가 무너지지 않고 평평하게 유지됬어요. 이것은 현수교의 케이블이 중심을 잡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 저 지금 제주도예요!!!!!!!!!!!!!!!!!!!!!!!!!!!!!!!!!!!!!!!!포스팅 l20150927
- 처음이라서 이렇게나 빨리 도착하는지 몰랐네요. 도깨비 도로가고 이제는 다른 곳도 가볼려고해요. 도깨비도로에서는 실제로 캔이 오르막길을 올라가는 것처럼 보였어요. 어린이과학동아에 나왔던 넥슨 컴퓨터 박물관과 항공우주 박물관도 가볼 예정이고요, 메이즈 파크, 에코랜드, 성산일출봉등등에 갈 예정이예요. 나중에 갔다와서 사진을 포스팅으로 올릴게요 .. ...
- 흥미로웠던 과학수사 캠프 SCH 과학수사캠프기사 l20150730
- 누가 다 털었을까? 이번엔 형광분말을 이용해 지문을 찾는 체험이었다. 불을 끄고, 형광분말이 묻어 있는 붓으로 캔을 문질렀더니, 캔에 있는 지문이 선명하게 보였다. 또 전단지 같은 종이에도 형광분말을 묻히니 지문이 나왔다. 정말 신기하였다. 7. 그건 아마도 혈액 이번에는 혈흔과 지문에 대한 체험이었다. 간단한 실험을 했는데 범인의 ...
- 두껍아 두껍아 헌집 줄께. 새집 다오.기사 l20150428
- 농수로도 이용이 된다. 덕기제 탐사를 시작하면서 알게 된 사실이 하나 있다. 바로 낚시꾼들이 버리고 가는 생활쓰레기이다. 음료수 캔으로 시작해 라면봉지, 비닐봉지 등이 저수지가에 버려져 있으며, 무엇인가를 태운 흔적을 볼 수 있다. 두꺼비 올챙이를 보러 갔다가 어떤 낚시꾼이 불을 피운 것을 끄기 위해 저수지 물을 퍼서 불을 끈 흔적을 보았다. ...
- 더러운 쓰레기들을 열에너지로!? 김포시 자원화센터를 다녀와서~기사 l20150203
- 넣으면 소각동 기계를 망가뜨린다고 합니다.그리고 쓰레기 자연분해 기간은 플라스틱, 알루미늄이 500년이상 걸리고, 금속캔은 100년, 가죽은 25-40년, 담배는 10-12년, 종이는 2-5년이상 걸리니 정말 놀랍지 않나요? 우리들이 자연환경을 아끼고 사랑하는 길은 재활용 분리수거를 잘해서 쓰레기를 줄이는 일이라고 생각했어요. 우리 동아사이언스 ...
- 서해 갯벌에 무슨 일이? 서해 몽산포 갯벌이 죽어가고 있다…기사 l20141013
- 해양생물이 자리잡고 있는 갯벌. 이번 여름, 우리가족은 2년 전에 갔던 서해 몽산포 갯벌에서 캔 바지락 맛이 생각나서 또 다시 가보았습니다. 설레는 마음으로 찾아갔습니다. 하지만 예전에 비해 조개의 양이 많이 줄어들어 큰 조개는 거의 없고 작은 조개들만 간혹 볼 수 있었습니다. 분명 서해 갯벌은 변해 있었습니다. 2년 동안 갯벌에 무슨 일이 ...
- 어디에나 존재하는 방사선 방사선, 잘 사용하면 유용해요.기사 l20140810
- 공항 물품 검색대 종이공장 캔음료 공장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지구의 중력과 자석의 전자기력 보다 훨씬 센 핵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만듭니다. 핵력의 에너지인 우라늄 1g은 석유 1,800L 와 같은 엄청난 힘을 발휘한데요. 이 밖에도 여러분야에 ...
- 깨끗한 우리의 푸른 지구를 만들자!! 우리의 깨끗한 지구 만들기!기사 l20140610
- 저희 학교에서는 다 쓴 페트병 따위로 장난감을 만드는 방학 숙제가 있었어요. 그런것을 재활용이라고 하지요. 분리 수거는 종이, 병, 캔 류를 분리 배출을 하는 것인데 플라스틱 같은 것은 썩는데 오래 걸리지요. 그래서 1회용 수저. 포크 대신 우리가 집에서 사용하는 철로 된 수저, 포크를 사용하는 것이 환경 오염이 덜 되요. 셋째, 컴퓨터를 ...
이전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