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작은길"(으)로 총 4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에서 가장 작은 돌고래, 바키타기사 l20161118
- 안녕하세요! 세검정초 김민성입니다. 저는 요즘 해양포유류에 관한 기사를 쓰고 있는데요. 이번엔 '바키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바키타,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생소한 이름입니다. 저도 바키타에 대해 얼마 전에 알게 되었습니다. 바키타는 돌고래속에 속하는 돌고래로 평균 몸길이가 1.5m로 다른 돌고래들보다 작은 돌고래입니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큰 ...
- 털 한 가닥이 90cm까지 긴 털매머드 탐사기사 l20161113
- 나는 11월 5일에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자격으로 대전 천연기념물센터에 갔다. 그곳에는 털매머드를 취재하러 갔다. 사람들은 보통 매머드가 한 종류인 줄만 안다. 하지만 매머드는 종류가 여러 가지다. 그중에 나는 가장 대표적인 털매머드를 취재하게 된 것이다. 털매머드는 털의 길이가 최대 90cm다. 털매머드는 이갈이를 할 때 아래에서 위가 아닌 뒤에서 앞 ...
- [서울 성북 발자국] 귀화식물161013-2탐사기록 l20161013
- 서울 성북구개운산산책로종암중 뒤편 초입 부분에서는 많이 있었지만다행히 개운산 길을 탐사하는데 안보였음.작은 서양등골나물 한포기만 보임 ...
- 생태계의 보물 창고, 국립생태원에 가다기사 l20161011
- 여러분은 국립생태원을 알고 계시나요? 국립생태원은 충남 서천에 위치한 30만 평 규모의 국내 유일 생태복합기관입니다. 그야말로 우리나라 속 작은 지구죠. 저는 이곳을 다녀오고 못 가본 분들께 추천해 드리고 싶어서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이 글이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정문으로 들어가자 생태원의 상징인 높이 8m의 조형물이 서 있었습니다(아 ...
- [서울 성북구 라이노비틀즈]20160924귀화식물 현장교육이 끝나고, . .탐사기록 l20160925
- 청설모 독?나방화산을 만든 개미들동글동글 노린재내장과 알주머니가 돌출되어 죽은 왕사마귀류리즈팀과 한조로 활동하며 잡은 장지뱀애매미???애매미랑 좀 다르게 생겼는데. . . 개미,거미,여치,나비. . . 무궁화가 그렇게 좋을까!!무궁화 위 여치양봉꿀벌의 천국네발나비 천지도토리를 좋아하는 아기 바구미아기바구미벤치위를 길때 당시 모습너무 귀여워 눈도 못 떼고. ...
- 문화재지킴이 기자단 - 윤증고택기사 l20160826
- 문화재지킴이 기자단으로 윤증고택을 다녀왔습니다! 윤중고택은 예전 양반 집입니다. 지금 살고 계신 분은 13대 후손이신 윤안식님입니다. 윤증고택은 윤증선생의 제자들이 스승에게 고마움을 표시하기 위해 1709년에 지어 308년이 되었습니다. 6•25 전쟁 때에는 가족들과 주민들이 힘을 모아 고택을 지켜냈다고 합니다. 안채는 여자들이 쓰는 집, 사랑채는 ...
- [생생취재상] 파리에서 ‘별이 빛나는 밤에’의 반 고흐를 만났습니다기사 l20160812
- '예술의 도시'라는 별명을 가진 도시, 파리는 그 별명에 걸맞게 회화, 건축, 역사, 음악, 미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적인 중심지로 이름을 떨치고 있습니다. 이번 여름방학을 맞이해, 낭만의 도시 파리로 가 보았습니다. 니스에서의 테러와 프랑스 성당 테러가 제 여행의 발목을 잡을 뻔도 했지만 이왕 마음 먹은 거, 이번에 다녀오기로 했습니다. ...
- 인기를 끌고 있는 SANDBOX NETWORK에 대하여기사 l20160809
- 여러분~! 혹시 SANDBOX를 아시나요? 요즘 대부분의 친구들이 SANDBOX 유튜브를 보고 있죠, 또한 인기도 많고 최근엔 COEX MAGABOX에서 팝콘으로 도티 잠뜰 콤보를 팔기도 하고 부스를 만들어서 행사를 하기도 하고 심지어 TV까지 섭렵했습니다. SANDBOX 채널을 좋아하는 친구들에게 "왜 좋아?"라고 물으면 그들의 대답에는 한가지 공통점 ...
- 우리 과학, 장영실을 만나다.기사 l20160708
- 지난 7월 1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573년만에 다시 움직인 자격루와 자격루를 복원하신 서준 선생님을 만났다. 조선시대에는 종을 쳐 백성들에게 시간을 알리거나 성문을 여닫았다. 또는 통행금지 시간을 알리기도 했다. 해시계는 낮에만 이용이 가능했기 때문에 물시계가 표준으로 사용됐다. 하지만 물시계 관리가 시간을 제때에 알리지 못하면 백성들이 ...
- 573년 만에 다시 움직인 조선의 표준시계 자격루기사 l20160706
- 7월 1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문화재 속에서 과학 찾기’ 현장을 취재 했어요. 1. 573년 만에 다시 움직인 자격루 여러분들은 자격루를 아시나요? 자격루를 모르시더라도 조선시대 과학자 장영실은 알고 계시죠? 시간을 자동으로 알려주는 물시계가 바로 자격루예요. 자격루를 더 정확히 말하면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만든 물시계와 자동 시보 장치를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