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오염"(으)로 총 682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리모에 대해서!기사 l20201209
- 바닥에서도 빛이닿는 수심2~3m 지점에서 자랍니다.또 담수성 녹조류 이지만 약간의 염도가 있는 물에서도 살 순 있어요.하지만 수질오염에 약해 물이 더러워지면 그 수가 줄어듭니다. 그리고 영하의 온도에서는 버틸순 있지만 따뜻한 물에는 약한 편입니다. 마리모는 조건이 좋다면 10년 내에도 크게 서장할순 있으나 대게는 수 십 년이 걸려야 대형 마리모 ...
- 크리스마스 씰에 대해 알아볼까요?기사 l20201208
- 뽀로로와 친구들이 즐겁게 겨울스포츠를 즐기고 있어요 2014년 크리스마스 씰 백두대간에 사는 동물 20여종을 선정해 환경오염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주기 위한 디자인이에요. 디자인이 정말 아름답죠? 2018년 크리스마스 씰 제가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씰 디자인인데요, 권소현 작가님이 DMZ에 서식하는 멸종위기 동물 10종을 담 ...
-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나선 대기업들을 알아보자!!기사 l20201206
- 환경오염을 줄인다고 발표했을까요? 저희가 햄버거 세트 한가지를 시켜도 햄버거 포장지, 빨대, 소스, 비닐 등의 포장품들을 환경오염이 되지 않는 물질들로 바꾸겠다는 맥도날드의 계획입니다. 맥도날드는 2025년까지 모든 포장지를 재사용이나, 재활용이 되는 물질로 바꾸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앞으로 약 4년이 지나면 맥도날드에서의 다른 포장 ...
- 코로나 19로 바다 환경이 어떻게 변했을까?(동물 피해도 있습니다.)기사 l20201205
- 진예인 입니다. 제가 원래 환경오염에 관심이 많은데 오늘은 그 중에서도 코로나 19로 바뀐 바다 환경을 살펴보겠습니다. 여러분도 요즘 코로나 19로 마스크, 물티슈 등 위생용품을 많이 쓰죠? 그리고 식당에서 밥을 못 먹으니까 배달이나 포장도 많이 하고요. 또 택배도 많이 시켜서 박스 쓰레기도 많이 나옵니다. 이렇게 쓰고 버리는 일회용품 쓰레기 ...
- [소셜] AMONG US 1화포스팅 l20201202
- 유행하는 어몽어스로 소셜을 만들어 볼려고 합니다. 다음화도 많이 기대해주세요! 2050년, 어몽어스 행성. 어몽어스 행성은 환경오염으로 인해 곧 파괴될 예정이였다. 그래서 우주선을 만들었지만, 10명 이상이 들어가지 못한 것이 단점. ...........? 10명 중 2명이 킬러라는 제보가 있었다. 어몽어스 행성은 나라가 1개뿐이여 ...
- 후라이팬이 건강에 않좋다고?기사 l20201202
- 달라 붙지 않게 해줍니다. 또 설거지 할 때도 쉽습니다. 근데...이렇게 편리한 테프론이 단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일단 환경을 오염시킵니다. 이것만해도 잘 안 쓰게 되는데.. 또 임산부가 테프론 코팅이 되어 있는 프라이팬으로 요리를 해먹고 기형아를 나았다는 이야기도 전해지고.... 많이 쓰면 사람이 암에도 걸린다고 합니다...동물들도 뇌에 ...
- 1 ~ 2차 산업혁명기사 l20201130
- , 라디오, 전화기, 텔레비전, 플라스틱, 자동차, 비행기, 합성고무, 화학비료, 세탁기가 발명된다. 그리고 요즘 한창 대두되고 있는 환경오염 문제도 2차 산업혁명에 등장했다고 한다. --------------------------------------------- 제가 이 기사를 쓰면서도 많은 생각을 했었는데요. 특히 2차 산업혁명 때 등장 ...
- 친환경 자동차를 알아보자!기사 l20201130
- 있어서 휘발류가 다 떨어지면 전기를 쓰고, 전기가 다 떨어지면 휘발류를 써서 반반이라는 겁니다. 하이브리드가 휘발류도 써서 환경 오염에 도움이 될거 같지만 전기도 같이 쓰기 때문에 약간 절약 되죠. 전기차의 조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하이브리드를 처음 만든 나라는 일본입니다. 저는 이런 환경을 보호하는 자동차가 나와서 세상을 구했으면 좋겠습 ...
- 우주 탐사가 꼭 좋은 걸까?포스팅 l20201127
- 우리는 우주를 지금까지 탐사해 왔지만정말 우주를 계속 탐사해도 됄까요?먼저 우리는 엄청나게 발전해 왔습니다.그리고 삼단 분리 과정 에서도 이단과 일단이 바닷속으로빠져 환경오염의 주범이 돼기도 합니다.그런데도 계속해서 우주를 탐사해도 됄까요? ...
- 제 2회 환경학술포럼 참석기기사 l20201121
- 서식지의 수질 농도를 측정하고 인간 활동 지역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분석하였습니다. 인간 활동 지역과 거리가 가까운 서식지가 더 오염되었으며, 높은 기형 비율을 보여줄 것이라는 가설과는 다르게 어떠한 상관관계도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네 번째 순서: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동물, 제비의 전국 분포 및 번식지 특성 연구 지구사랑탐사대 연구원이신 정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