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판단"(으)로 총 3,00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STAGE 3 민주주의의 미래. AI로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한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누구인지 알아내는 첨단 기술로 시위대를 억누르려고 했어요. 또 국민들이 올바른 판단을 내리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걱정도 있어요. 유튜브에 들어가면 내가 좋아하는 영상을 골라 보여주듯이 SNS가 내 입맛에 맞는 의견만 듣고 보게 한다는 거예요. 이렇듯 한쪽으로 치우친 정보만 얻게 되는 ... ...
- [이슈] 별별자전거로 떠나는 세계여행, 자전거랜드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밥을 타지 못하게 했어요. 스키나 스노우보드와 같은 곳에서 달리기엔 안전하지 않다고 판단한 거예요. 스키 밥을 스키 종류로 인정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가 법적으로 정해지지 않았거든요. 그래서 자전거 회사들은 상체 힘으로 자전거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하고 핸들을 이용해 돌발상황에서 ... ...
- [여섯 번째 대멸종]의 시작? 하나둘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후 발견되지 않았어요. IUCN은 로스트상어가 100년 이상 계속된 남획으로 멸종됐을 것으로 판단했지요. 멸종위기에 처한 건 동물만이 아니었어요. 참나무 430종의 평가 결과 113종이, 남반구에 사는 프로테아과 식물은 1464종 중 637종이 멸종위기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답니다 ... ...
- [한페이지 뉴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국내 첫 접종 시작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백신 효능이 통계적으로 입증되지 않았다는 질병관리청 산하 예방접종전문위원회 판단을 고려해서다. 정부는 3월 말쯤 공개될 예정인 아스트라제네카의 미국인 대상 3상 임상시험 결과(65세 이상 고령층 약 22% 포함) 등 추가 자료를 확보해 65세 이상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 ...
-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합니다. 만약 지구가 사과라면 우리는 직접 먹어보지 않고도 사과가 맛이 있을지 없을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과거 경험을 통해 사과의 맛과 색깔의 상관관계를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명체가 살기 좋은 환경인 지구(맛있는 사과)가 먼 우주에서 어떻게 보이는지(사과의 색깔), 생명체가 ...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 인공지능이 심판 본다! 청기백기 게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게임의 핵심 기능은 여러분의 왼손과 오른손이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 인공지능이 판단하는 거예요. 이를 위해 엔트리에 있는 다양한 비디오 인식 기능 중 ‘사람 인식’ 기능을 사용할 거예요. 사람 인식 기능을 활용하면 아래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엔트리 인공지능이 여러분의 팔, 몸통, ... ...
- 이루다의 이루다 만 꿈, 대화형 AI의 미래는?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밝혔습니다. 더 많은 데이터를 적절히 이용해 알고리듬이 옳고 그름을 조금 더 잘 판단할 수 있도록 개선해 서비스를 다시 시작할 것이라 밝혔죠. 혹시 이번 이루다 사건으로 AI에 대해 실망했나요? 그렇다면 조금 더 기다려주세요. 이번 일을 계기로 더 나은 AI와 우리가 될 테니까요 ... ...
- 명화 속 빛의 비밀, 데이터는 알고있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그림 스타일을 많이 바꿨는지, 혹은 일관된 스타일의 그림을 그렸는지는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2018년 정 교수팀은 1300년부터 2014년까지의 작품 18만여 점을 분석해 시대가 변하면서 그림이 어떻게 다양해졌는지를 확인했다. 그 결과 시간이 흐를수록 화가의 작품 스타일은 점점 다양해지는 ...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사원들이 고양이를 좋아하는 특징이 있다고 파악했고, 그것이 20대 사원들의 유행이라고 판단했다.그래서 김 부장은 자기가 사는 아파트 근처로 잠깐 사냥하러 나와 있는 별님 아파트의 고양이를 붙잡아 자기 집 안으로 데려 갔다. 그리고 다음날 회사 직원들과 마주칠 때 마다, 자기가 “고양이 한 ... ...
- AI 윤리│공정성을 보는 세 가지 시선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여성에게 불리한 사회적 조건 전체를 비판하는 일이 된다. 결국 ‘공정’에 대한 규범적 판단은 모두의 지지를 얻는 것부터 논쟁의 여지가 다분한 주장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존재한다. 우리가 AI에게 요구해야 할 공정성 역시 이렇게 다양한 스펙트럼 안에서 어떤 공정성인지 파악할 필요가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