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표"(으)로 총 1,497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미백 화장품으로 하얀 피부 만들 수 있나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100~280nm)로 나뉩니다. 자외선C는 오존층에서 대부분 걸러지고, 자외선A와 자외선B가 지표까지 도달합니다. 자외선A는 주로 이산화티탄(TiO2)이나 산화아연(ZnO) 분말을 이용해 물리적으로 산란시킵니다(무기 자외선차단제). 자외선B는 옥시벤존(벤조페논-3), 뷰틸메톡시디벤조일메테인 같은 약 20가지의 ... ...
- Part 2. 폭풍성장 사춘기의 몸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급성장은 사춘기 후반에 나타난다. 신체의 성적 성숙도는 ‘태너 척도(Tanner stage)’를 지표로 삼아 판단한다. 태너 척도는 1차 성징과 2차 성징을 기반으로 육체의 발달을 가늠해, 유방, 성기, 음모의 크기나 발달 정도를 기준으로 삼는다. 1단계가 아이, 5단계가 발달을 마친 성인이며, 2단계부터 초기 ... ...
- Part 4. 중국 탓에 심해졌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못하고 정체 현상을 빚는다. 즉, 대기가 정체되는 고도 이하에서는 대기오염물질이 지표면 가까이에 축적되는 셈이다. 이날 대기 혼합고도는 약 503m로 관악산(629m)보다도 낮았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은 미세먼지의 성분도 분석했다. 그 결과 질산염으로 인한 NO3-의 농도가10배 이상 증가한 반면, ... ...
- [과학뉴스] 중금속 오염수를 깨끗한 식수로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배출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은 스위스 론 강과 폐수 처리장, 지중해에서 각각 지표수와 오염수를 채취해 MOFs로 납과 수은을 제거했다. 그 결과 1분간 전체 중금속의 약 70%가 사라졌고, 1시간이 지나자 약 90%까지 제거됐다. 24시간 뒤에는 중금속의 99.8%가 제거됐다. doi:10.1021/acscentsci.7b0060 ... ...
- 교내 대회의 의미와 중요성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그러나 교과 성적을 중심으로 정량평가(양을 측정하는 것으로 숫자로 표현할 수 있는 지표들을 통해 평가하는 방식)를 진행하는 학생부교과전형과 달리, 학생부종합전형은 정성평가(수치로 표현하기 어려운 동기, 노력, 과정 등 다양한 부분에 대해 평가하는 방식)로 평가한다. 그러므로 수상의 ... ...
- Part 1. 남극에서 보물을 찾는 사람들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세종과학기지가 위치한 남셰틀랜드 군도 해역을 탐사했어요. 탄성파 탐사는 인공적으로 지표 부근에 파동을 발생시킨 후, 파동이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과 파형을 분석해 지질구조를 알아내는 방법이에요. 탐사 결과, 연구팀은 막대한 가스하이드레이트층을 발견했답니다. 가스하이드레이트는 ... ...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인공위성의 궤도도 계산했다. 인공위성이 처음 궤도에 안착한 높이가 지구 중심에서 지표면까지 거리의 3배라면, 인공위성이 움직이는 속도는 약 3.63km/s였고, 지구를 한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4시간 48분이었다. 하지만 꼭짓점을 지날 때마다 지구와 인공위성 간 거리가 가까워져 만유인력이 ... ...
- Part 1. 진화하는 사춘기 이론과학동아 l2018년 04호
- 1970년 영국의 소아과 의사인 제임스 태너가 사춘기의 신체 변화를 살필 수 있는 5단계 지표인 ‘태너 척도’를 발표했다. 태너는 신체 변화를 중심으로 사춘기를 정했다. 여아의 경우 11~15세, 남아의 경우 12~15세를 사춘기로 정의했다. 15세는 2차 성징이 완성돼 신체적으로 성인과 유사해지는 시점이다 ... ...
- Part 1. 호킹의 말로 되돌아 본 그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4호
- 000만 권 넘게 팔렸다. 하지만 어려운 내용 탓인지 오늘 날 출판계에는 ‘호킹 지수’라는 지표가 있다. 책의 전체 페이지를 100페이지라고 가정할 때 실제 읽은 페이지를 나타내는 숫자로, ‘시간의 역사’를 실제로 읽은 사람이 거의 없다는 점에 착안해 만들어졌다(참고로 ‘시간의 역사’의 호킹 ... ...
- 움직임을 지배하는 운동의 법칙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중의 수증기가 비 또는 눈의 형태로 지표에 떨어져 낮은 곳으로 흐르며 오랜 기간에 걸쳐 지표를 변화시키는 원동력 역시 중력이다. 사람의 귀에는 중력을 감지해 평형을 유지하는 전정기관이 있다. 대부분의 동물은 다리로 몸을 지탱하며 식물의 뿌리는 중력을 감지해 땅속으로 자란다. 중력이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