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구역
지대
지구
고장
존
시골
d라이브러리
"
지역
"(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태관광]
지역
주민과 자연이 어우러지는 여행을 고민합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생태관광 디렉터 및 자연환경해설사 양성과정을 운영하고 있다”며 “앞으로 지속적인
지역
주민 교육 및 컨설팅을 통해 지원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1 안산 대부도·대송습지2 서산 천수만3 서천 금강하구와 유부도4 정읍 월영습지와 솔티숲5 고창 고인돌·운곡습지6 무등산 평촌 명품마을7 신안 ... ...
[어덕행덕] 개미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바로 개미죠. 숲곰개미 님에게 이 점은 큰 매력이었습니다. 그는 “언제, 어느 나라, 어느
지역
에 가든 개미를 만날 수 있다”며 “게다가 땅속에서 주로 사는 녀석들이라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생활사도 많다”고 했습니다. 개미를 키우는 모두가 아마추어 연구자아직 밝혀지지 않은 것이 많다는 ... ...
달 토양에서 키운 첫 싹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수 있기 때문이다. 가령 아폴로 11호가 착륙했던 장소는 유독 우주방사선 노출이 많은
지역
이다. 각 식물을 키우는 데 쓰인 달 겉흙은 모두 1g 미만이었다. 한편 대조군으로는 지구의 화산재로 달 겉흙처럼 만든 모사 토양을 준비했다. 이 과정에서 연구팀은 달 겉흙이 물에 대한 반발(소수성)이 ... ...
[화보] 달리고 뿌리면 자란다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6월 17~18일 경북 안동에서 한국유기동물보호협회가 주최한 산타독 프로젝트가 진행됐습니다. 산타독 프로젝트는 씨앗주머니를 매단 개들이 산을 뛰어다니며 산불
지역
... 9월부터 산타독 프로젝트를 다시 시작할 예정”이라며 “현재 강릉, 밀양, 보성 등
지역
과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 ...
[Bridge] “100명 중 99명은 이공계로 보내야”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인재양성을 3대 정책방향으로 설정하고 경쟁국 수준의 지원책을 마련하려 하고 있다.
지역
균형발전도 함께 고려하고 있다. Q. 시스템반도체를 키우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반도체 산업의 시작이자 끝은 인재다. 대만은 설계인력이 25만 명인데 한국은 1만 명 수준이다. 중소형기업이 대부분인 ... ...
[슬기로은 세특 생활] 내신3.9로 고려대 간호대학에 입학한 건에 대하여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이때부터는 생기부에 ‘의사가 아닌 간호사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 소명하기 위해
지역
사회 기관에서 간호 관련 봉사활동을 하는 등 관련 활동 내역을 첨부했습니다. 이처럼 진로 분야가 바뀌었다면, 면접관을 납득시킬 합당한 이유를 미리 만들어 두셔야 합니다.그러면서 생기부에는 간호사와 ... ...
[통합과학 교과서] 안드로메다를 구해줘!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안개를 관찰하고 있죠. 또한 일반인도 인터넷으로 천리안 2B호가 관찰하는 동북아시아
지역
의 해양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요.전쟁과 재난 위기에서도 인공위성은 맹활약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민간 위성사진업체 맥사 테크놀로지는 올해 1월에 있었던 통가의 훙가통가 해저화산 분화,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ISS) 또한 고도 350km의 낮은 궤도의 저궤도 위성이지요. 저궤도 위성은 특정
지역
을 자세히 관찰하는 정찰위성이나 지구관측위성으로 주로 쓰여요. 지구 저궤도는 지구와 가까워 대기의 마찰이 강합니다. 이 때문에 저궤도 위성 등에서 파편이 많이 발생해 우주 쓰레기가 늘고 있어요. 현재 미국 ... ...
[과학뉴스] 서식지 따라 ‘휘파람 이름’ 바뀌는 돌고래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짧은 휘파람 소리를 냈다. 또 작은 무리의 큰돌고래일수록 음높이 변화가 컸다. 반면
지역
에 따라 소리가 달라지지는 않았다.논문의 제1저자인 가브리엘라 라 만나 이탈리아 사사리대 박사는 “큰돌고래가 서식지에 가장 적합한 휘파람 소리를 냈다”고 말했다. doi: 10.1038/s41598-022-10920- ... ...
미개방 동굴에서 박쥐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있는 데이터를 확보한다면 어떨까. 시민 과학의 활성화는 생태계 보호의 시작일 수 있다.
지역
생태계에 통찰력을 주는 이른바 ‘풀뿌리 과학’이 더 활성화되길 바란다.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