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간"(으)로 총 2,5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인류의 진화는 지금도 진행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손바닥이 하늘로 향하도록 손을 들어보세요. 그리고 엄지와 새끼손가락을 붙이면, 손목 중간에 길쭉하게 올라오는 근육이 보이나요? 이 근육은 긴손바닥근(장장근)이에요. 근육이 보이지 않아도 걱정하지 마세요! 10~15%의 사람은 이 근육을 가지고 있지 않거든요. 긴손바닥근은 나무를 타고 다니는 ... ...
- [이달의 PICK] 귤, 붕어빵, 군고구마...겨울 간식 3대 천왕의 비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답했습니다. 한국영양학회가 정한 비타민C의 성인 1일 영양권장량은 100mg입니다. 중간 크기의 귤을 하루에 2개씩 먹으면 충분하죠. 대한영양사협회는 귤은 1회에 1개가 적정 섭취량이라고 보고했습니다. 아니, 고작 1개라니! 귤을 먹기 전에 주무르면 더 달콤해질까요? 과일은 과육에 있는 전분이 ... ...
- Part 4. 제1회 수학동아 전국 반장회의, 소집해제!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그러나 정규교육과정에서 경험해 볼 수 없었던 것들을 시도해볼 수 있고 이를 통해 중간 성적대의 학생들이 보다 편하게 수학에 접근하는 모습을 더러 봤기 때문에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송지숙 인천 산곡여중 수학 교사는 “학생들이 재미를 느끼고 과정과 원리를 제대로 ... ...
- Part 4. 태양계 밖 - 외계행성의 비밀을 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크기의 뜨거운 외계행성은 ‘GJ 3470b’와 ‘GJ 436b’가 거의 유일하지요. 천문학자들은 ‘중간 크기의 행성들은 증발되어 크기가 줄어들기 때문’이라고 추측했답니다. 그런데 최근 스위스 제네바대학교 빈센트 버리어 박사팀은 허블우주망원경이 측정한 GJ 3470b 행성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하지만 내신 성적이 나빴던 건 아니다. 학교 선생님들이 수능 기출 문제를 변형해서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문제를 출제했기 때문에 결국 수능을 공부한다고 생각하고 내신도 공부했다. 하 씨는 고등학교 3학년 때 수학 과외를 잠깐 한 것을 제외하면 사교육을 받지 않았다. 그는 자신의 공부 ... ...
- Part 4. 美 민간 기업과 손잡고 2026년 달 정거장 만든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목적이었다면, 이제는 달을 심우주에 도전하기 위한 전초기지로 삼고자 한다”며 “달을 중간 기착지처럼 사용하면 화성에 가는 것이 비용적, 기술적으로 수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JPL 내에서는 이러한 화성 탐사에 대한 열망을 더욱 강하게 느낄 수 있었다. 그는 패서디나 북쪽에 위치한 JPL의 ... ...
- [Tech] 프로펠러 없이 하늘 난 비행기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띤 금속판을 놓는다. 그러면 앞에서 이온화된 기체(+)들이 뒤쪽(-)을 향해 달려가게 된다. 중간에 전자기 장치를 놓아 이온을 가속할 수도 있다. 이런 식으로 이온이 항공기 뒤쪽으로 빠르게 분사되면 항공기는 앞으로 향하는 추력을 얻게 된다. 이미 1920년대 이온엔진의 개념은 나왔다. 하지만 여전히 ... ...
- [통합과학 교과서] 수호와 채윤이의 마지막 미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피젯 스피너를 망연자실 바라볼 때, 수호가 소리쳤죠. “이것 봐, 채윤아! 부서진 스피너 중간에 구슬이 하나 더 있어! 우리가 가진 붉은 구슬이 4개라구!” ●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 - 태양 에너지의 비밀은 핵융합! 태양은 엄청난 에너지를 방출하고 있어요. 태양이 1초 동안 내뿜는 에너지를 ... ...
- Part 2. 실크로드 다리 위를 달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구간이 있다. 먼저 중국 주하이 쪽엔 기둥 사이를 268m까지 벌린 사장교 구간이 있고, 중간쯤 기둥 사이가 258m인 사장교 구간이 하나 더 있다. 또 해저터널 근처엔 기둥 사이를 458m까지 벌린 사장교 구간이 있다 인공섬 | 해저터널로 들어가는 길은 넓이가 10만m2(제곱미터)인 인공섬 두 개로 이루어져 ... ...
- Part 5. 실크로드 전기도 왔다 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거예요. 이때 대부분의 전력은 교류 형태로 만들어지는데, 교류 전력 케이블을 이용하면 중간에 새는 양이 많아 30~50km가 넘는 지역까지 전력을 보낼 수 없다는 게 문제지요. 이를 위해 과학자들은 직류 형태로 전력을 보낼 수 있는 HVDC 케이블을 만들고 바닷속에 설치할 수 있는 ‘해저 케이블’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