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쇼킹 사이언스] 페루에서 길이 37m 그림 발견! 2000년 된 고양이라옹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한몫했고요. 고양이 지상화를 발견한 페루 고고학자이자 나스카문화유산 관리책임자인 조니 이슬라 연구원은 “그림은 기원전 200~100년 사이에 만들어졌다”고 추정했어요. 이 시기 꽃 피웠던 파라카스 문명의 유적에도 고양이 그림이 있거든요.나스카 사막에서는 고양이 외에도 벌새, 원숭이, 사람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해마, 우리은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역할과 인간의 기억을 이해했답니다. 우리 은하(銀河, milky way galaxy) 1000만 개부터 100조 개까지 수많은 별들의 집단을 은하라고 불러요. 우주에는 약 2000억 개 이상의 은하가 존재하지요. 은하는 모양에 따라 타원 은하, 나선 은하, 렌즈형 은하 등으로 나뉘어요. 그 중에서도 우리가 살고 있는 ... ...
- [과학뉴스] 아프리카, 소아마비와의 전쟁 끝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생길 정도로 치명적이었어요. 그러다 1955년 미국 의학연구자이자 바이러스 학자인 조너스 소크 박사가 백신을 개발하면서 전 세계에 활발히 보급되기 시작했어요. 소크 박사는 백신이 널리 쓰이길 바라는 마음에 특허권을 등록하지 않았거든요. 1994년엔 아메리카 대륙에서 감염자가 사라졌고, ... ...
- [헥!헥! 물리학자] 이 사막에서 원자 폭탄을 실험했다고? 맨해튼 프로젝트 한강에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나와 다음 핵에 충돌하며 ‘연쇄반응’을 일으킨다는 점이었어요. 전체 핵의 질량이 조금만 줄어도 여기에 빛의 속도를 두 번 곱한 만큼의 에너지가 방출되는데, 연쇄반응까지 일어난다면 원자 폭탄의 위력이 상당할 거라 실라르드는 우려했던 거지요.반대로 수소처럼 가벼운 핵은 헬륨핵처럼 ... ...
- 우주 개척 시대의 열쇠는 민간 기업에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생겼죠. 조종 장치 또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해 깔끔하게 만들었으며, 대부분이 자동으로 조종되도록 만들었고요. 즉, ‘우주 비행은 어렵지 않다’는 이미지를 사람들에게 심어준 거예요. 이는 사람들에게 일반인의 우주 여행이 현실로 다가올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줬을 거예요. Q. 민간 기업이 우주 ... ...
- [만화뉴스] 카메라를 등에 짊어진 딱정벌레가 바라본 세상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있고, 블루투스 칩으로 통신하지요. 곤충이 움직이지 않아도 연구팀이 카메라의 각도를 조aq절해 원하는 방향의 영상을 찍을 수 있어요. 연구팀이 카메라를 단 딱정벌레를 관찰한 결과, 딱정벌레는 자갈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고 나무를 오르기도 했어요. 또, a실험 후 1년 이상 살았지요. 골라코타 ... ...
- [헥!헥! 핵물리학자] 과장은 없다! 이게 바로 광속...‘핵’ 빠르게 던지는 가속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발견해왔어요. 지금도 핵 충돌 실험에서 새로운 현상을 발견하려고 노력 중이랍니다. 조그마한 두 모래알을 충돌시키려면?세계 곳곳에 있는 다양한 가속기 중 입자를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시키는 것은 LHC와 RHIC예요. 특히 LHC의 길이는 어마어마해 둘레가 서울 가로 길이보다 고작 3km 짧은 27km에 ... ...
- 서울시 3D 지도 나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HD 지도를 일상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실시간으로 지도를 갱신하는 기술도 필요하다. 조 교수는 “클라우드 기반 지도에 자율주행차가 인식한 새로운 정보를 입력해 실시간으로 지도를 갱신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며 “지도를 통해 위험 상황을 다른 차량에 공유할 수 있다면 각종 사고도 ... ...
- 천문대장이 내는 이달의 퀴즈 / 이달의 천체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목록의 최종본에 수록했지요.이 은하는 지름이 17만 광년으로 우리은하보다 커요. 약 1조 개의 별이 있는데, 이는 우리은하보다 두 배 많은 정도예요. 큰 은하답게 중력이 강해 주변에 있는 작은 은하들을 끌어당기고 있답니다 ... ...
- 또 하나의 태양을 지구에 재현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원소의 원자핵을 분열시켜 에너지를 얻으면 핵분열이라고 부른다. 물론 원자는 아무 조건 없이 안정한 상태로 변하지 않는다. 원자핵은 양전하(+)를 띠고 있기 때문에 서로 밀어내는 힘을 갖고 있다. 이를 극복하고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이 과정은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